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감성달 Oct 04. 2020

부부와 남이라는 건 종이 한 장 차이

언니를 바라보는 동생의 마음


  



예상하지 못했던 일은 갑작스럽게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은 놀랍다기보다는 그냥 무덤덤하기도 하다.


 “우리 갈라서기로 했어.”

명절에 언니에게 그 말을 듣고는 내가 생각했던 최악이지만 일어나지는 않겠지라고 하던 일이 일어났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냥 적당히 싸우며 사는 평범한 부부라고 생각을 해왔고 저러다가 나이 들면 덜 다투겠지 했었다.


10년 세월을 뒤로하고 도장 하나에 남이 되어가는 모습을 보며 부부로 사는 게 참 다 뭔가 하는 마음이 든다. 서류 한 장이 어떤 걸 보장해주지 못한다는 걸 살면서 알게 된다. 노력하고 애쓰고 배려해도 서로 맞지 않는다는 건 어떻게 설명이 되어야 할까.


각자 나름의 배려의 척도를 가지고

나름의 행복의 척도, 적당함의 척도,

씀씀이의 척도를 가지고 있는데

결혼을 하면서 그 척도를 상대가 나에게 맞추기를

또 맞추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둘만 잘 살면 되는 게 아니더라.

하루하루 각자 서로의 집안에서의 ‘나’로 살아가야 하는데

두 집안의 중간 합의점을 잘 찾고 잘 합의가 된다면

각자 살아온 두 집안에서의 역할도

큰 문제없이 잘 해나가게 된다.

두 집안의 끄나풀이 평생 연결되어 있는데

둘만 잘살면 된다는 건 일반적인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자라서 결혼한 사람들에게는 웃기는 소리일 것이다.



그렇게 연애 때부터 봐왔던 커플, 부부는 헤어진단다.

서로 각자의 집안으로 다시 돌아가기로 했다.

그 익숙한 집안에서 기존의 구성원의 역할만

하게 되는 것이 행복하다는 언니.


결혼과 동시에 며느리라는 사위라는 새로운 역할이 부여되고 잘 모르는 집의 구성원이 된다.

새로운 구성원이 들어와도 각자의 집안 문화는 그대로이기에 새롭게 들어간 사람이 알아서 적응하고 알아서 자리를 잡아가야 한다.

그 과정에서 역할에 대해 과도한 짐을 주거나 그 집안 문화만을 고집하게 되면 새로운 구성원은 당황하고 반발심이 들것이다.

아직은 며느리라는 역할은 후진적인 개념을 가진듯하다.

며느리는 이렇게 해야 한다고 되어있지는 않지만 결혼과 동시에 주변으로부터 스스로의 학습된 개념으로부터 어떤 걸 해야 하는지 대충 알게 된다.



결혼을 해도 ‘나’라는 큰 원 안에 부부로서 남편과 아내라는 작은 원들이 생기고 그 안에 더 작게 며느리와 사위가 생긴다. 하지만 결혼을 하면 ‘나’라는 큰 원이 며느리가 되었다 생각하고 부인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애엄마가 되었다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원하든 원치 않든 그 원의 개념이 바뀌는 순간 불행이 몰려온다고 생각한다.


‘나’는 나이기에 변하지 않는다.

내 인생은 내가 살아가는 것인데 그 역할들에 매몰되어 살지 않았으면 한다. 그 소역할들이 내 삶을 행복하게 하고 가치 있도록 가득 하게 하려면 ‘나’로 살아가고 있음을

부부 서로가 알고 있어야 할 것 같다.


어떤 사람에 대해 어떤 것도 단정 짓기도

한계 짓기도 싫다.

나이 마흔에 아이 둘 두고 이혼했다고

불행하거나 불쌍하거나 어리석다거나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는 그이기에 그의 인생을 살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동생인 나는 그냥 마음으로 응원하고

그가 모든 순간은 아니더라도

행복하길 기도할 뿐이다.


부디 행복하길.

후회는 조금만 하길.

건강하길.

앞날에 기대가 되는 인생을 살길.





작가의 이전글 사실은 아래나 위나 똑같은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