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교관 Jun 16. 2021

하루키 소설


하루키의 ‘잠’이라는 단편 소설이 어느 단편집에 실려있는지 잊어버렸다. ‘잠’은 ‘빵가게 재습격’처럼 독단적으로 독일의 일러스트레이터의 그림과 함께 출판이 되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하루키의 이 ‘잠‘이라는 단편 소설이 하루키 세계의 ‘상실‘이라는 것을 가장 잘 표현해내고 있다고 생각된다.

시나가와 원숭이에서는 퍼시버가 ‘상실’에 대해서 접근하는 방식이라면 ‘잠’에서는 퍼시버와 리시버가 동일하게 ‘상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그렇다고 느꼈다.

이 소설의 특징이라면 주인공이 여자다. 여자가 주인공인 하루키의 소설이 또 뭐가 있을까. ‘회전목마의 데드히트’라는 단편집에서 ‘레더호젠‘라는 단편 소설이 있는데 거기서 ‘아내‘의 이야기로 이루어지는데 화자가 여자인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어떻든 이 소설은 주인공이 여자다.

치과의사로 유망한 남편과 그를 닮은 아들과 함께 집안일을 하며 수영을 매일 하면서 평온하게 일상을 보내는데 그 속으로 무례하게 불면이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조금씩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엇이, 비커 속의 물에 요오드 용액이 번지듯이 빠져나가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잠이 있어야 할 자리에 ‘깨어있음’이 대신을 하면서 마치 움직이지 않고 에너지의 소모와 근육의 손실을 겪는 기분을 주인공은 느낀다. 이런저런 방법으로 불면을 이겨보려 하지만 끝내는 받아들인다. 그러면서 깨어있는 자신은 잠이 든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 가족의 모습을 본다. 남편이지만 솔직히 나의 모든 것을 걸 만큼 사랑한다고 할 수 없는 사람이 잔다. 아들의 이름을 지을 때 남편의 모친은 어딘가(이상한 점집)에서 아들의 이름을 이상하게 지어와서 그것으로 부르려고 했다. 하지만 남편은 그것에 대해서 아무런 말도 하지 않는다. 그런 남편이 잘 자고 있다. 그리고 너무나 귀엽기만 한 아들도 잠을 자고 있다.

하지만 아들도 나중에 남편의 모습을 그대로 흡수할 것이라는 걸 안다. 점점 자신과는 모두가 멀어질 거라는 것도 느낀다. 남편이 싫어한다고 해서 좋아하던 초콜릿을 먹지 않았고 아들을 낳은 후 술도 마시지 않았다. 그렇게 좋아하는 책도 아이의 엄마로, 남편의 아내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멀리하게 된 자신을 돌아본다.

분명 들어온 만큼 뺐는데 원래 구멍이 더 커져 있는 것이다. 주인공은 이 괴리에서 자신의 잠과 그리고 잠듬과 깨어있는 것과 그리고 수면이라는 것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아니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그걸 생각하게 된다. 아주 짤막한 소설로 모든 문장이 마치 시로 이어진 것처럼 느껴지는 단편 소설 ‘잠’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빵가게를 습격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