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네 집과 아들네 집을 몇 달씩 오가던 그 할머니가 장남 집에 최종적으로 똬리를 튼 것은 순전히 그 집 맏며느리 덕분이었다. 그 집 맏며느리의 고생담이라면, 귀가 닳도록 들었다. 요즘 같은 때 시어머니를 자발적으로 모시겠다는 여자도 많지 않거니와 아침저녁으로 불편 없이 잠자리며, 때마다 맛깔스러운 제철 음식과 간식을 해 올리며 별난 시어머니 구미를 딱딱 맞출 수 있는 여자도 그녀밖에 없었다. 그 집 며느리로 말하자면 시댁, 친정, 주변 지인 할 것 없이 어려울 때마다 그녀가 보여준 관심과 실제적인 도움에 대해 고마워하지 않는 사람이 없는데... 한마디로, 어려운 사람을 보고 챙기지 않으면 스스로 못 견디는 그런 부류의 여자였던 거다. 그러니, 그런 며느리를 두고 그 집 시어머니가 딸들에게 며느리 욕을 하기 시작하자 '이거 치매가 아닌가'하는 이야기가 돌기 시작했다.
"얘, 이거 봐라. 쟤가 나 밥을 안 줘... 나를 이렇게 굶긴다. 이거 봐라, 내 배 홀쭉한 걸."
그런 일이 반복되고, 마침내 그 집 며느리가 병원에 가서 우울증 진단을 받을 지경이 되자, 가족회의가 열렸다. 어머니를 병원에 모셔야 하는 게 아닌지 의논을 하기 시작한 거다. 누군들 노모를 병원에 밀어 넣고 싶어 넣겠는가. 멀쩡한 며느리가 병을 얻을 지경이나 되니, 이런 결정까지도 오게 된 것 아닌가. 요양병원에 가고 싶다고 갈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병원에 입원하려면 '환자'로서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치매든, 퇴행성 질환이든 노인성 질환의 기준에 해당되는 진단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검사를 받을 때마다 이 집 어머니의 진단은 '아무 이상 없음'으로 나온다는 것. 어쩔 수 없이 자식들은 다시 어머니를 이 집 저 집에서 몇 달씩 모시자는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데, 이번에는 결정적으로 늙은 어머니가 버텼다. 다른 자식 집에는 절대 가지 않겠다고 했다. '밥도 주지 않고 맨날 학대하는' 며느리 곁에 꼭 붙어 떨어지려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집 어떻게 됐대?"
그리고 몇 달 만에 다시 만난 지인을 통해 그 집 소식을 들었을 때 나는 그만 깜짝 놀라고 말았다.
"글쎄, 어머니가 그렇게 버티니 다른 집에 갈 수도 없고, 결국 낮동안 노인 돌봄 도우미를 불렀나 봐. 아니나 다를까, 도우미들이 올 때마다 할머니한테 질려서 얼마 못 버티고 그만두고 그랬지. 근데 최근에 한 도우미가 왔는데, 어쨌는지 알아?"
나는 호기심에 눈을 반짝였다.
어머니한테 '막 하는' 도우미가 온 거야.
그 도우미는 어머니에게 맞춰주지 않았다. 어머니가 요구하는대로 받아주지 않았다. 주는 대로 먹지 않으면 야단을 치고, 말도 안 되는 투정을 부리면 무시했다. 놀랍게도 며칠 뒤, 말끝마다 트집을 잡고 불평을 늘어놓던 어머니가 입을 닫았다.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이란 책이 있다. 당시 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으로 우리 사회 갑질 현상에 대한 관심이 높던 때라 출간되자마자 일약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책. 강사이자 저자인 정문정 씨는 비상식적인 갑질이 우리 사회에 가능해왔던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그들은 한 번도 제재당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런 일을 벌인다고. 그 사람의 지위가, 그 사람이 누려온 권위가 아무도 그에게 '잘못되었다'라고 말하지 못하게 했기 때문에, 그는 잘못인 줄 모르고 그 짓을 반복한다고.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이 되었다고.
갑질 하는 것이 시어머니뿐이랴. 그 뒤로 나는 친정 엄마에 대한 원성도 여러 경로를 통해 들었다. 한 친구는 아버지에게 평생 사랑만 받던 친정 엄마가 나이 들어서까지 공주 노릇 하는 꼴은 더 이상 못 봐주겠다고 했다. 이웃 집 선배는 젊은 시절 고생만 하시던 엄마가 불쌍해 효도 좀 하려고 모셨는데, 온 식구가 얼마나 떠받들었던지, 요즘은 엄마가 본인이 코 푼 휴지 한 장도 그 자리에 그대로 놓아둔다 했다. 아버지를 부르더니, 눈으로 까딱하며 "치우라" 하신다는 거다. 주로 가부장 사회에서 희생자의 역할로만 바라보던 여자들의 삶은 저마다 또 다른 관계와 질서 안에서 위계를 떨치고 있었다. 비단 여자들 뿐이 아니다. 남자와 여자, 상관과 부하 직원,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식, 어디나 있다. 누군가의 배려와 수고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관계 속에늘 존재한다.
그리고 얼마 전, 끝까지 며느리 집에서 버티던 그 집 시어머니가 마지막에 요양병원으로 옮겨 1년 정도 계시다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직까지도 그때 얻은 후유증으로 우울증 약을 복용하고 있는 그 집 맏며느리는 어머니가 남긴 유품을 정리하며 다시 한번 뒷목을 잡았다 했다. 일기장은 처음부터 끝까지 입에 담을 수 없는 자식들에 대한 불평과 원망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 일기장을 차마 자식들에게 보여줄 수 없었던 맏며느리는 조용히 유품을 소각했다. 어머니가 평생 아끼시던 성경 필사본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