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의 비밀 12장은 사회, 중국어의 변화를 연결해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이었어요. 외국어 공부를 하면서 그 나라의 역사가 궁금해질 때가 있잖아요. 문화를 이해하게 되면 그 언어를 배우는 것이 더 재밌어져요. 사회, 관계의 맥락에 따라 적절한 모국어와 외국어를 쓰는 것, 평생의 과제입니데이
p487 언제나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똑같은 말투를 쓰는 사람은 없다. 사회에서의 역할 관계와 언어를 둘러싼 여러 외적 요인들, 즉 나이와 성별, 직업, 계층, 친소, 상하관계, 인종에 따라 담화 전략 및 말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
언어학에서는 사회적 거리에 따른 방언, 성별에 따른 방언(genderlect), 개인에 따른 방언(idiolect)등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방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사회 방언은 사회언어학의 중요한 탐구 대상 중 하나이다.
p488 문법에 맞는 정확한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 못지않게 사회적 맥락과 대화 상대에 따라 적절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다.
p489 유행어와 신조어는 사회상과 시대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이기도 하다.
P490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보급된 인터넷과 모바일 문화는 신조어와 유행어가 만들어지고 확산되는 중요한 산실이 되고 있다.
박종한, 양세욱, 김석영 지음/중국어의 비밀/궁리출판사
일상에서 내가 하고 있는 말투가 많이 떠올랐어요.
집에서 하는 말, 친구에게 하는 말, 모르는 사람에게 하는 말,
모두 사회적 거리에 따라 다른 ‘방언’을 쓰고 있더라고요.
유행어, 신조어가 사회상과 시대변화를 담듯이 내가 쓰는 말도 상황과 맥락을 포함한 살아있는 생명체가 같이 느껴졌어요.
그리고 이왕이면 그 생명력을 좋게 발휘하고 싶어요.
p514부터 이어진 내용 중국의 언어 정책이 특히 흥미로웠어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기울어가는 중국의 운명에 위기의식을 느끼던 근대 중국의 지식인들이 한자를 폐지하고 표음 위주의 전혀 새로운 문자를 도입하여 중국어를 표기하는 문제를 고민하였다니,, 루쉰(魯迅,1881~1936)이 했다는 “한자를 없애지 않으면 중국은 반드시 멸망한다(漢字不滅,中國必亡)”는 말이 충격적이었어요.
한자 폐지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결정적인 원인이 아편전쟁의 패배와 국가 위기의식 때문이라는 말에 ‘아’ 하는 탄식이 나오더라고요.
p515 중국의 이러한 빠른 몰락을 비관하던 이들의 시야에 이내 들어온 것이 서양의 문자와는 너무도 대조적인 한자였다.
박종한, 양세욱, 김석영 지음/중국어의 비밀/궁리출판사
저는 이 내용에서 나는 중국어로 어떤 일을 할 것인가 하는 질문이 떠올랐어요. 위기의식에 사로잡힐 때 남과 다른 나의 특징을 버리고 싶었어요. 나의 특징이 강점이 된다기보다 지워야 한다고 여겼어요. 그런 시간을 지나 요즘은 나의 특징, 개성을 좀 더 잘 드러날 수 있게 꾸준히 계속해보는 게 확신, 재능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한자를 폐지하고 새로운 표음문자를 도입하자는 중국 지도부의 입장이 논의 과정을 거쳐 바뀌게 됩니다. 한자 없는 중국어를 좋아하기 힘든 저는 다음 내용들을 다시 읽어봅니다.
p517 한자를 폐지하는 대신 1956년 중국문자개혁위원회가 제출한 '한자간화방안'(漢字簡化方案)에 따라 개량된 간화자를 사용하는데 만족해야 했고, 1958년 '한어병음방안'(漢語拼音方案)을 통해 새롭게 도입된 '한자병음자모'는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는 보조문자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