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두루주 Nov 11. 2020

14. 유목민의 옷장

옛날 유목민들은 옷장이 있었을까. 아마 없었겠지. 매일 옮겨 다녀야 하니까 집도 없었을텐데 옷장이 웬말이야. 문득 내 옷장을 바라보며 역사책에서 본 유목민들을 떠올렸다. 유목민들은 어떻게 여기 저기 옮겨다녔으려나. 그들의 이동생활도 궁금해졌다. 무엇이든 과장하는 버릇이 있는 나는 요즘 상황이 유목민 같다고 느껴서였다. 떠날 채비를 항시 하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나를 설명하기 제격인 듯 했다.(다시 말하지만 과장이 좀 심한 편이다.) 


여행업에 종사하던 나는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로 업을 잃고 직장에서 발급해준 비자마저 만료될 위기에 놓였다. 물론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 비자를 연장할 수 있으나 이것이 워낙 어려운지라 언제든지 한국에 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염려가 방 안에 있는 모든 물건의 부피를 눈대중으로 재게 만들었다. 


방은 내가 처음 이사왔을 때와 크게 달라진 점이 없었다. 어찌 이 년이나 살았는데 그간 살림이 늘어나지 않았다. 옷장은 그 중에서도 가장 심각하게 그대로였다. 가장자리가 터진 여름 운동화와 때가 껴서 이젠 회색이라고 해도 믿을 겨울 운동화를 봉지에 담아 문고리에 걸었다. 2년 사이 새로 산 신발은 한 켤레, 선물받은 신발이 한 켤레였다. 사계절 옷들도 이 곳에 올 때와 그대로였다. 그래서 버릴 것도 특별히 챙길 것도 눈에 띄지 않았다. 팀장님한테 선물받은 패딩 하나 정도가 새로 생긴 외투였다. 이년 동안 산 옷은 스카프 한 장과 모자 세 개 그리고 여름 옷 조금이 전부였다. 


한국에 간다면 이사짐을 택배로 부쳐야 하나 고민하던 것들이 우스울 만큼 챙길 것들이 그리 많지 않았다. 새삼 맥시멀리스트의 삶을 살던 내가 다른 사람처럼 느껴졌다. 


한국에 있을 적 나는 무엇이든 많이 가지는 사람이었다. 특히 머리만 쏙 넣으면 상의와 하의가 다 해결되는 원피스를 주로 사고 모았다. 봄과 가을에 입을 원피스는 하도 많아 한 번씩만 입고 다시 안 꺼낸 것도 있었다. 오죽하면 엄마가 어느 날 전화해서 원피스를 무료나눔해도 되냐고 물은 적이 있었다. 엄마의 물음에 나는, "딸 영영 프라하에서 사는 것도 아닌데 왜 벌써 내 물건 정리 해?!" 하고 나무랐다. 


옷만 많은 것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얼마나 많이 만나고 다녔는지. 일주일에 약속이 없는 날을 손에 꼽기 힘들 정도였다. 어쩌다 하루라도 친구들을 안 만나는 날에는 집에 콕 박혀서 잠을 내리 잤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에 만날 친구들과의 일정을 소화할 수 없었다. 매일을 피곤하면서도 무엇이든 많은 것이 좋은 것이라며 달력에 일정을 꽉꽉 채워넣었다. 옷장도, 하루 동안 할 일도, 만나야 하는 사람도 무엇이든 터지도록 많이 가지고 있던 다다익선의 대표주자였다. 그런 내가 이 년 째 그대로인 옷장을 보니  옷장의 주인이 과연 내가 맞나 의문이 드는 것이었다.


그러고 보면 이년 째 물건은 그대로지만 나는 많이 바뀐 듯 했다. 같은 옷을 자주 입고, 적은 사람을 자주 만나고, 오늘만큼의 일을 하고, 진심인 말만 뱉었다. 그 덕에 덜 피곤하고 더 쉬어가며 살고 있다. 한때 체코병에 걸려서 모든 이로운 점은 다 체코에 살기 때문이라고 믿었다. 그때는 체코의 공기가 좋아 이젠 피곤하지 않은가 보다 했었다. 그런데 다시 떠날 채비의 마음으로 옷장을 바라보니 덜 가져서 덜 무거운 마음일 수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체코에 산다고 물욕이 없어졌다면 거짓말이다. 여전히 가지고 싶은 것이 많고 하고 싶은 일도 많다. 그저 언제든 떠나야 하기 때문에, 떠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언가를 짊어지기 두려워 안 사 버릇하고 작별이 두려워 많은 이들과 친해지길 그만 두었다. 그런데 그것이 내게 가벼운 마음을 들게 할 지 몰랐다.


'(...) 그런데 의미심장한 것은 치히로가 힘든 모험을 마치고 빠져 나오는 통로가 다리가 아닌 터널이었다는 사실입니다. 다리가 텅 빈 공간에 '놓는' 것이라면, 터널은 꽉 차 있는 공간을 '뚫는' 것 입니다. 그러니 다리를 '더하기의 통로'라 한다면, 터널은 '빼기의 통로'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결국 삶의 단계들을 지날 때 중요한 건 얻어낸 걸 어떻게 한껏 지고 나가느냐가 아니라, 줄여야 할 것들을 어떻게 훌훌 털어내느냐 인지도 모릅니다.'


좋아하는 글 중에 이동진 평론가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관해 쓴 것이다. 평론가는 인생에서 중요한 것이 더하기가 아닌 빼기일 수 있음을 말한다. 우리가 줄여 나가야 하는 것을 훌훌 털어야지 인생의 도돌이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정답이 없어서 무엇이 더 내게 맞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더하기의 삶을 내리 살다가 이년 간 빼기의 삶을 산 나는 현재의 유목민같은 옷장이 싫지만은 않다. 삶이 하나의 여행이라면, 언제라도 떠날 지 모른다는 이 마음가짐이 언제든 죽을 지 모른다는 중요한 사실을 상기시켜 줄 때도 있다. 영원한 정착과 영원한 소유는 없는 법이니 말이다. 


더하기와 빼기 사이에서 옷장을 채우고 비우며 유목민의 삶을 상상한다. 내 인생의 옷장에는 무얼 담아야 하나, 무얼 빼야 하나, 어느 날 갑자기 인생을 떠나는 날이 다가온다면 나는 그 여행을 후회없이 마치려나. 어느 부족에 섞여 말을 타는 상상을 하며 그들의 생각을 따라가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13. 거리의 사람들(下)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