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N Dec 17. 2019

'엄마' 향

엄마는 나를 키우느라 회색 냄새가 배었다.

생일을 핑계 삼아 향수를 샀다. 내 기억에 (어릴 때 장난감 같은 고체향수를 한 번 샀던걸 제외하고는) 내 돈 주고 향수를 산 것 자체가 평생 처음인 것 같다. 냄새에 무척 민감하다 보니, 정작 내 몸에는 향을 못 뿌렸다. 무엇보다 인규를 갖고, 낳고, 키우면서 인규한테 안 좋을까 봐, 심지어 향이 나는 로션조차 쓰지 않았다.


그런데 요즘 출입처에서 좋아라 하는 타사 여기자가 향수를 즐겨 쓰는 걸 보면서 뭔가를 느꼈다. 멋있었다. 어디선가 킁킁 좋은 향이 나서 주위를 둘러보면 그 기자가 보였다. 향으로 존재를 알릴 수 있다니. 멋있지 않은가! 사실 카리스마 넘치는 그 친구는 굳이 향으로 알리지 않아도 존재감을 뿜어내는 멋진 여성이다. 오랜만에 복귀한 '빡센' 출입처. 나는 뭘 해도 워킹맘인데. 그 친구는 그냥 여기자인 게 멋있어 보였던 거 같다.


이제 '졸업'했다는 '인증'도 필요했다. 나는 만 4년 인규를 키워놓고 이제 본격적으로 사회생활에 복귀했으니. '향'좀 풍기고 다녀도 되지 않을까 하는. 마침 최근 눈여겨보는 브랜드에서 적당한 향도 찾은 터였다. 풀잎 향 같기도 하고. 뿌린 듯 만 듯 독하지도 않고. 남편 표현으로는 '깔끔한 문구점 향'이라고 했다.

(나보고 '문구점 향을 좋아한다'면서 놀린 거였는데. 그 표현이 너무 맘에 들어서, 역시 이 사람과 결혼하길 잘했다-고 생각했다.)


엄마가 한참 고단하게 일하던 때. 퇴근하고 돌아오면 나는 특유의 쎄-한 냄새가 있었다. 나는 엄마한테 깊게 배인 그 회색 같은 쎄-한 냄새가, 엄마의 오랜 노동의 흔적인 것만 같다. 그래서 이제라도 그 냄새가 없어졌으면 좋겠는데 좀처럼 안 없어지고, 그래서 자주 마음에 걸린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서 송강호 가족이 자신들의 신분을 처음으로 들킨 건, 집주인 아이가 맡은 '지하 냄새'였다. 섬유린스를 바꿔봤자 소용없다는 그 냄새. 지하방을 탈출하지 않으면 사라지지 않을 그 냄새. 계층 차이를 보여줄 상징으로 냄새를 선택하다니. 그 디테일함이 '참 못됐다' 싶었다.


  @ 영화 <기생충> 포스터 스틸         


몇 년 전 '김남주 오일'이 유행이라길래 엄마를 사드렸는데 '향이 좋다'며 참 좋아하셨다. 지금까지도 즐겨 쓰시는 그 오일을 쓸 때면. 엄마한테 회색 대신 부드럽고 우아한 '브라운' 냄새가 났다. (뭔가, 갈색 말고 브라운.)

엄마가 그 향을 너무 좋아하고, 엄마한테 그 향이 너무 잘 어울려서. 우리 엄마는 원래 그런 사람인데, 지금껏 회색을 쏟아붓고 살았구나 싶었다. 그 덕에 나는 이렇게 '향수를 사는 어른'으로 컸다.


한번은 퇴근하고 인규를 껴안았는데 엄마의 그 오일 향이 묻어났다. 우리 엄마는 인규를 얼마나 껴안았길래 향이 옮겨갔을까 싶어서, 살풋 웃음이 나왔다. 인규한테 만큼은. 외할머니가 좋은 향이 나고, 포근하고, 따뜻했으면 좋겠다. 마치 회색 향이 없는 사람인 것처럼.

매거진의 이전글 이제 이해'는' 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