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그런 영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REESIA Sep 05. 2018

<살아남은 아이>

오늘에 안주하지 않고, 기꺼이 어제의 기억에 마주하고자 하는 영화

어떻게 된 건지, 아무도 모르잖아요.
출처: 영화 <살아남은 아이>

아들을 죽인 아이.

아들을 살린 아이.

그 어느 쪽으로도 설명할 수 없는 이 아이는 그저 '살아남은 아이'일 뿐이다. 


아들 은찬이가 물에 빠져 죽었다. 그런 아들이 살린 아이가 있는데 바로 기현이다. 성철은 기현이의 여의치 않은 상황을 보며 자신이 일하는 도배 작업 현장에 나와서 일을 배우라며 챙겨주기 시작한다. 미숙은 아들을 잃고 난 후, 은찬이의 방을 얼른 정리해버리려 하고 또 자식을 낳으려 하며 깊은 슬픔의 수렁에서 헤매고 있었다. 그런 순간에 만난 기현이란 아이가 처음에는 많이 미웠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그 아이에게 왠지 모르게 정이 간다. 늘 챙겨주는 사람 없이 외로웠던 기현이도 성철과 미숙과 함께 있는 시간들이 좋았다. 하지만 그 행복이 마냥 자신의 것이 아닌 것만 같다. 기현이가 꺼내지 못하고 있는 비밀이 무엇일까.

출처: 영화 <살아남은 아이>

<아이 캔 스피크>, <신과 함께>를 비롯하여 <미스터 션샤인>까지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두루 섭렵해 어린 나이에도 탄탄한 연기력을 보여주며 앞으로 그가 채워나갈 필모가 기대되는 배우인 성유빈은 이번 <살아남은 아이>에서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기현 역을 맡았다. 가족의 따뜻한 사랑을 받지 못한 채 누구보다 먼저 어른이 되어야만 했던 기현이의 차가움과 이후 성철과 미숙과의 만나면서 드러내는 아이 같은 면모를 오가는 그의 연기는 보는 이로 하여금 연신 엄마 미소를 짓게 하면서도 어린 나이에 짊어져야 했던 삶의 무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끔 한다. 미숙 역을 맡았던 김여진 배우와 성철 역을 맡았던 최무성 배우 또한 사랑하는 자식을 잃은 부모의 슬픔과 그에 따른 현실적인 행동들을 보여주며 많은 이들의 마음을 자극한다.


특히나 성철과 미숙이 기현과의 만남과 그가 안고있는 비밀을 마주하면서 겪게 되는 감정의 변화를 보는 것 또한 이 영화의 주력 관람 포인트다. 더불어 플래쉬백이 없는 이 영화는 은찬이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보여주지 않아서 오히려 객관적으로, 또 어쩌면 현실적인 시선으로 그들의 상황을 바라볼 수 있다. 진실을 아는 건 그 날, 그 순간일 뿐 결국엔 사람의 진술로 묘사되는 게 전부이기 때문이다. 가족이 죽었다고 해서 신파로 몰고 가지 않는다. 감정이 격해질 때 즈음이면 다음 장면으로 넘어간다. 가족의 죽음 그리고 그로 인해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이 영화는 격해지는 감정을 절제하며 우리가 현실에서 놓치고 마는 진짜 현실을 보여준다.


진정한 위로란,


은찬이를 잃은 성철과 미숙에게 주변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애도한다. 학교에서는 다른 학우를 구한 은찬이의 희생을 기리며 상패 수여식을 마련한다. 그리고 소방청은 의사자로 지정된 은찬이에 대한 보상금을 수여한다. 모임 식사자리에서 한 학부모는 진심 어린 위로는 커녕 눈치 없이 은찬이의 보상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물어본다. 당사자가 되어 보지 않으면 그 심정은 쉽게 헤아릴 수 없다. 상을 받는다고 해서, 보상금을 받는다고 해서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고이 접어 둘 순 없다. 한 사람에 대한 기억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생각하지 않으려 해도 맘 한 구석이 아려오는데 어떻게 이를 그만둘 수 있는가. 


그런 성철과 미숙에게 다가온 기현이란 그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했던 위로의 전형이 아니었을까. 더불어 외롭게 살아온 기현이에게 성철과 미숙도 하나의 위로였을 것이다. 작업 현장에서 잘 못한 것에 대해 꾸짖고, 일일이 모르는 것들을 가르쳐주는 성철의 모습에서 기현이는 아빠의 든든함을 떠올렸을 것이다. 간식을 챙겨주고, 눈물을 흘리는 기현이를 따뜻하게 안아준 미숙에게서 기현이는 엄마의 포근함을 느꼈을 것이다. 아픈 기억을 도려내라는 게 아니다. 잊어버리라는 게 아니다. 이제는 그만둘 때도 되었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 굳이 말하려 하지 않아도 서로의 상처를 함께 나누고, 그 아픔을 함께 기억하려 할 때 우리는 그걸 '위로'라고 하는 것이다. 성철과 미숙, 그리고 기현이가 서로의 빈자리를 채워주었듯이 말이다.


잘못된 기억은 바로잡아야 하는 법


출처: 영화 <살아남은 아이>

도배작업에 있어서 하자가 있는 건 벽지를 다시 뜯어내고 새로 고쳐내야 한다. 우리의 기억 또한 마찬가지다. 특히 사람에 대한 기억은 애초에 바로잡지 않으면 오랫동안 얼룩으로 남겨지게 된다. 기현이가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은 이후 성철과 미숙은 은찬이가 죽었을 당시 함께 있었던 아이들을 모두 고소한다. 그때, 아이들의 부모가 하는 말. 


'우리 아이 힘들다.'

'기억이 안 난다.'

'왜 시간 아깝게 오고 가라고 하느냐'


보상금을 학교에 장학금으로 기부했던 터라 학교에서는 이 소식을 듣고 학교 평판이 떨어진다는 말을 에둘러서 설득한다. 


'어머니, 아버지도 은찬이가 의사자로 기억되길 원하시잖아요.'


그래, 수면 위로 드러난 사실을 묵인한다면 모두가 편안할 것이다. 성철과 미숙, 기현이도 함께 가족처럼 지낼 수 있을 것이다. 은찬이도 피해자가 아닌 의사자로 좋게 기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성철의 변화는 상당히 인상 깊게 다가온다. 은찬이의 상패를 소중히 어루만지던 성철이 도리어 선생님의 터무니없는 말에 상패를 부숴버린다. 그리고 기현이에게 먼저 다가섰던 사람이었던 성철은 기현이를 죽을 위기로 내모는 사람으로 변모한다. 기현이가 말한 비밀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확실치 않다. 제 3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우리 또한 이 상황을 멀리서 지켜볼 뿐이다. 오직 한 아이만이 다른 말을 할 때,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엇갈리는 기억의 증언 속에서 명확한 진실을 찾는 것보다 더 나은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알고 있던 기억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는 건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성철과 미숙의 그 용기가 얼마나 힘겨웠을지 알기에 마음 한편이 묵직하게 쓰라리면서도 눈물 나게 희망적이기도 하다.


다시 살아남은 아이


출처: 영화 <살아남은 아이>

슬픔 앞에서 우리의 희망은

오늘을 흘러가게 두지 않고,

어제를 다시 돌이켜 보고,

내일을 바로 향할 때 비로소 샘솟는다. 


자책하며 죽으려고 했던 기현이를 다시 잡아끄는 미숙과 성철. 무거운 짐을 떠안고 걸어간 물길을 다시 거슬러 간다. 기현이의 옷 주머니에 있던 돌들이 하나씩 빠져나가기 시작한다. 그렇게 기현이는 살아남았다. 


너무 힘이 들었던 미숙과 성철은 그들이 그토록 싫어하던 '그만하자'는 말을 스스로 내뱉었다. 그리고 모든 것을 포기하고 홧김에 다른 누군가에게 원한을 풀고 싶기도 했다. 그러나 그들이 다시 발길을 돌려 기현이를 살리는 선택을 함으로써 거짓과 허영의 헤엄 속에서 은찬이를 살리는 최선의 길을 택한 게 아니었을까.


평점: ★★★ 3.0



매거진의 이전글 <대관람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