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투자하는 아재 Mar 20. 2022

리벨런싱과 줍줍의 시간     <004>

쌀 때 줍고 비쌀 때 리벨런싱 해라

투자를 하면서 완전한  저점과 고점을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모든 투자의 대가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이점이 항상 분할 매수와 매도의 습관을 들여야 하는 이유이다

주식 시장에서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오른다"라는 말이 있는데 분할 매수와 매도를 습관화한 투자자들과는 거리가 먼 얘기이다

혹시라도 자신의 실수로 조금 비싼 가격에 샀을지라도 일부만을 투자했기에 더 저가에서 줍줍 하여 회복의 기회가 있다 반면 내가 일부만 매도해서 수익을 얻었다면 주가가 더 상승할 때 꾸준한 분할 매도로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나의 판단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겸손"을 인정하는 것이다 저명한 투자가들은 "주식 시장은 겪을수록 나를 겸손하게 만든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 말의 의미를 깨달아야 한다.

내가 아무리 주식을 잘한다 할지라도 시시각각 변화하는 안갯속의 주식시장을 100% 꿰뚫어 볼 수 없는 것이다


일부의 사람들은" 분할 매수로 조금밖에 사지 못했는데 더 오르면 어떡해요? 분할 매도로 조금밖에 못 팔았는데 주가가 떨어지면 어떻게 하죠?"라고 반문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변동성이 심한 한국시장엔 줍줍 할 기회가 오히려 넘쳐나서  현금을 아껴야 하는 일이 생겨난다  

혹시라도 줍줍 할 종목이나 저평가된 투자 자산마땅하지 않다면 가만히 놔두어라 "현금도 종목"이다 그것이 실패의 확률을 높이는 매수보다 현명한 결정일수 있다 손해의 범위가 제한된 저렴한 가격에서 매수하는 습관을 들이다 보면 어느새 계좌는 빨갛게 물들 것은 당연하다

 "명심해라 주식시장은 기회가 많다" 다만 조급한 마음의 눈이 그 기회를 보지 못하게 하는 것뿐이다 또한 자신의 선택  종목이 성장이 답보된 주식이라면 언젠가는 상승할 것이다 믿고 또 믿어라 충분히 추적, 관찰하고 공부했다면 반드시 그 결과에 도착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주식시장에서의 조급함은 "독"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럼 언제쯤 사고 언제쯤 팔아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해보겠다


1. 골든크로스(golden cross)와 데드크로스(dead cross)

차트의 단기 이동평균선(5일, 10일, 20일)과 장기 이동평균선(120일)의 교차로 상승장과 하락장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 평(균) 선이 장기가(동) 평(균) 선을 돌파해 올라가는 현상으로 강세장으로 전환점을 말한다 반면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 아래로 떨어지는 약세장을 말한다

* 나는 다소 정확성이 떨어져 신뢰하지 않는다
좌 데드크로스, 우 골든크로스

2. 지수(코스피, 코스닥) PBR 기준

각 지수에 포함되어있는 기업의 시가총액의 합을 순자산의 합으로 나눈 비율로 아래와 같이 2004.01부터 현재까지의 코스피의 평균 PBR은 1.194이고(코로나 폭락장에 PBR은 0.71이었다) 최고는 1.8이다. 현재는(22'3.18) 1.1의 PBR로 다소 저점 구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kosis 국가통계 포탈 금융=> 증권ㆍ 파생상품=> 지수=> 코스피 에서의 통계와 KRX 정보 데이터 시스템의 자료를 합하여 편집한 것을 차트로 만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인 수치와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매우 유용한 사이트가 아닐까 싶다


3. Put call ratio(풋콜레이쇼)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판단하는 기술적 지표로 지수의 상승기 때는 call옵션이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많아지게 되며 반면 하락기 때는 put옵션의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많아지는 것에 착안한 지표이다

풋콜레이쇼(PCR)=(put 거래량(거래대금)÷ call 거래량(거래대금))× 100

지표의 안정적인 방향성 확인을 위해 3 거래일의 평균값으로 계산하면 좀 확률 높은 추세를 알 수 있다

마틴 즈그웨이가 1987년 블랙먼데이를 정확하게 예측해 유명해진 지표이다

분석해본 결과 70 이하일 때 지수 저점 150 이상이면 고점 시그널로 판단하면 될 듯싶다

×100을 하지 않은 수치, 아래 코로나 폭락장과 비교

통계 - KRX | 정보 데이터 시스템에서 편집한 자료이다

코로나 상승장때 PBR
PCR은 내가 가장 신뢰하는 지표로 지수 PBR과 함께 활용하고 있다


4.VIX(Volatility Index)

 미국 S&P 500 지수를 기반으로 한 공포지수로 바닥이라 하면 VIX 40포인트를 뚫고 약 한 달 뒤가(우리나라에선) 바닥일 확률이 높다라고 한다 이는 패권국인 미국의 리스크와 연관된 것으로 거시적인 흐름을 읽는데 도움이 된다 S&P 500 VIX를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정도면 증시의 흐름을 완벽히 예측하지는 못하더라도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는 있을 듯싶다


주가가 고점에서 리벨런싱 하여 수익 실현을 하고 가격이 싸져있는 저점의 자산을 찾아 다시 투자하려면(줍줍) 분할 매수, 매도로 천천히 이동해야 안전한 스위칭이 된다
고점에서 전량을 매도하라는 것은 아니다 주식과 흐름이 반대인 자산에 투자하여 (햇지(hedge) 개념) 주식 하락장에서도 안전한 수익 달성을 위한 것이다
그래야 안전한 중장기 투자가 쉬워질 것이다






<005>에선 " 달러 스위칭 투자"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이전 12화 적정주가 구하기 <003>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