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이프마크 Sep 30. 2021

구글 애널리틱스 4 : 이벤트의 종류



구글 애널리틱스의 기존 버전인 유니버설 구글애널리틱스는 세션(Session)을 기반으로 했지만 구글 애널리틱스 4는 이벤트(Event)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모델이라는 것을 사전에 설명드렸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인 그 부분에 존재하는데요, UA는 세션 단위로 그룹화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세션 기간 동안 사용자의 상호작용(페이지 조회, 이벤트, 전자상거래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반면 GA4는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독립형 이벤트로 처리해 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그 사용자 기준이 어디있는지, GA4의 기본 데이터 범위와 어떤 이벤트들이 수집되는지 알아봐야겠죠.


이벤트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이벤트를 파악하기 전 그에 대해 알아야 할 간단한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UA 때의 이벤트는 page view를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었습니다. 페이지 보기의 모든 유형(클릭, 노출 등등)을 제외한 다른 행동들을 뜻했죠. 하지만 GA4에 와서는 이 페이지뷰도 이벤트에 합류합니다. 즉 사용자의 모든 행동들이 ‘이벤트’로 일괄처리 되는 것이죠.   


따라서 이 페이지뷰도 GA4부터 이벤트로 처리되는데요. 페이지 뷰 이벤트를 발생시키려면 이벤트를 만들고 페이지 뷰 이름을 지정한 후, 페이지 제목, URL 등을 매개변수로 설정해 만들어야 하죠. 이는 해당 페이지에 어떤 이벤트가 얼만큼 발생했나를 수집하며 페이지가 로드 될 때 구글 태그 매니저를 통해 GA4로 전송됩니다. 


그럼 여기서 사용자 정의와 매개변수가 대체 뭘지 궁금하실 겁니다. 


사용자 정의는 연령, 성별, 언어, 회원 등급, 회원 번호 등 고객에 대한 데이터 등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값을 뜻합니다. 이를 맞춤 측정 기준으로 사용할 시에는 GA4의 구성 태그에 넣어야 하는데요. 그 이유는 끊기지 않고 정보가 계속 전송 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사용자의 모든 행동을 수집하는 데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연결이 유지되어야 하겠죠.    


매개변수는 이벤트의 하위 개념에 존재하는 것인데요. 간단히 말해 이벤트가 발생할 시, 이게 어떤 이벤트인지 알 수 있도록 만드는 부가적인 정보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주소, 타이틀, 검색어, 이벤트 명, 상품 브랜드 등의 특정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죠. 사용자 범위가 아닌 행동 단위의 데이터를 수집할 시 이용합니다.


그럼 이벤트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볼까요?


이벤트는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동수집 이벤트

향상된 측정 이벤트

맞춤 이벤트


맞춤 이벤트는 그 안에서도 둘로 나뉘어집니다. 추천이벤트와 맞춤 이벤트인데요. 이는 아래에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자동 수집 이벤트입니다. 측정이벤트는 코드를 변경하거나 새로 만들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추적을 할 수 있는 이벤트인데요. page_view, ad_click 등이 이 측정 이벤트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별도로 만지지 않는 이상 애널리틱스에서는 Android 및 iOS 앱의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합니다.  





앱에서는 위와 같은 이벤트들이 수집됩니다. 





웹에서는 위와 같은 정보들이 수집되는 것 확인하실 수 있죠.이 외에도 더 다양한 정보들이 앱과 웹을 통해 수집되는 것을 애널리틱스 고객센터로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설명 중 ‘향상된 측정을 통해 수집된다’는 구절도 확인할 수 있죠? 그렇다면 이 향상된 측정은 뭘까요?


다음으로 설명할 것이 바로 이 향상된 측정 이벤트입니다. 구글에서 사전정의한 이름과 매개변수가 있는 이벤트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구글 태그 매니저를 통해 설정하고 스크립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향상된 측정 이벤트는 웹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동으로 수집이 되는 이벤트를 설정하고 끌 수가 있다는 데 큰 장점이 있는데요. 기본적으로는 on으로 설정되어 있어 되어 페이지 조회, 스크롤, 이탈 클릭, 자동으로 수집하고 있습니다.





동영상 관련도 향상된 측정 이벤트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맞춤 이벤트인데요. 이 맞춤이벤트는 1. 추천 이벤트 2. 맞춤 이벤트 둘로 나뉜다고 보면 됩니다. 

먼저 추천 이벤트는 업종에 따라 구글이 추천하는 이벤트들을 뜻하는데요,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이벤트 명과 매개변수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위의 이벤트들 말고도 더 다양한 추천 이벤트들이 있으며 더 자세한 이벤트들에 대해서는 이곳에서 확인하시면 어떤 유형의 이벤트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새로 만들기보다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추천 이벤트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새로 만드는 이벤트 이름이나 매개 변수들 같은 경우엔 나중에 호환이 어렵고 구글에서 파악하기 힘들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GA4는 새로운 툴이므로 나중에 새 기능이 추가되었을 때 좀 더 호환이 쉽도록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맞춤 이벤트는 말 그대로 개발자가 직접 이름을 지정하고 구현하는 이벤트입니다.  이벤트 명, 매개 변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호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고려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기존에 제공되지 않는 새 기능을 직접 개발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입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통해 태그를 설정하거나 직접 코드를 짜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GA4의 이벤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꼭 기억하셔야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이 이벤트 수집에는 한도가 있다는 점입니다. 고유한 이름이 지정된 이벤트는 앱 인스턴스 당 500개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벤트 당 이벤트 매개변수 수 25개로 정해져 있고, 마찬가지로 사용자 속성 수 역시 속성 당 25개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런 제한 항목들을 꼭 확인하셔서 설정하셔야하니 주의해주세요.


구글애널리틱스 4 도입 및 고도화 작업이 필요하시면 하이프마크에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구글 애널리틱스 4 : 구글 애널리틱스와의 차이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