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탐구생활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광화문덕 Mar 10. 2016

인간의 오만과 편견

고도의 계산인 알파고의 수를 인간이 '실수'라고 부르다 '망신'을 당했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 대결을 보면서 느낀 것이 있다.


나 역시도 해설을 들으면서 그런가 싶었는데, 2연패 후 깨닫게 됐다.


기계는 인간이 아니다. 승리의 분위기를 탔다고 자만하지 않는다. 반대로 승기를 뺏겼다고 해서 주눅이 들지도 않는다. 기계는 알고리즘대로 계산해 자신의 판단대로 그냥 수를 두는 것뿐이다. 만약 이래저래 모든 가능성을 검토했을 때 질 것이라고 판단되면 기계는 '패'라는 답을 내놓을 것이다.


하지만, 알파고는 인간들이 "진 것이나 다름없다"고 수없이 말할 때도 '패'를 선언하지 않았다. 자신의 계산대로 진행했을 뿐이다.


그 과정에서 인간은 알파고의 계산된 수를 '실수'라고 자평했다. 폄하하기도 했다. 이제 이세돌이 기계를 다 파악했고, 능가한다고 깎아내렸다. 하지만 한순간에 그토록 "이건 이긴 것이다", "지금 상황에서는 지려고 해도 질 수 없다"라고 했던 판이 뒤집혔다. 알파고의 고도의 계산된, 인간들이 말하던 알파고의 실수가 반전을 만들어냈다.


한 해설자가 말했다. "기계는 감정이 없다"고. 감정이 없으니 자만할수도 상대를 봐주면서 수를 둘 수 없 것이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알파고는 그저 계산된 수를 두는 기계일 뿐이다. 인공지능이라해도 감정은 없다.


문득 이런 의문이 들었다. 알파고는 엄청난 바둑의 수를 익혔다. 그 안에서 여러가지 데이터가 복합돼 인간은 모르는 새로운 길을 익혔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에 나온 것이 바로 그 결과가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이세돌이 알파고를 이기려면 알파고가 계산할 수 없는, 그런 기상천외한 수를 둬야 한다는 것인데... 완전히 새로운, 인간의 직관으로만 둘 수 있는 그런 수...


과연 3번째 판에서 이세돌은 그런 수를 들고 나올 수 있을까... 인간 역시 학습의 동물인 경험하지 않은 도발적인 수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과연 3패의 위험을 안고 이세돌은 그런 수를 둘 수 있을까...


이번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 대결은 인간의 오만과 편견에 대한 기계의 경고일 수 있다. 앞으로 인공지능 기계로 인해 우리의 삶은 편해지겠지만, 부작용이 벌써부터 두려워진다...


이래저래 생각이 많아지는 저녁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스마트폰 사야 한다면, 지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