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부자일보 Apr 12. 2023

미국 경제의 위기? 페트로달러 위협과 중국의 성장

현재 미국의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과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많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들은 COVID-19 대유행 이후,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이로 인한 금리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은 대출 연체와 같은 문제, 채권 시장의 불안정성, 금융 부문과 부동산 버블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미국의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앞으로 금융 시스템이 더욱 취약해질 경우, SVB 사태와 같은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 있다. 


또한 달러에 대한 신뢰가 세계적으로 조금씩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한 예로 이를 보현재 달러의 대체제인 금, 엔화 등의 실질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석유산유국들이 중국과 경제적인 동맹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석유를 산유국으로부터 위안화로 최초로 구매하면서 페트로달러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 달러 대신 위안화로 수입 원유를 지불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랍 리더들과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시진핑 대통령은 중국 위안화로 에너지 거래 결제를 이루기를 촉구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원유 거래의 일부를 위안화로 전환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세계 경제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상품인 원유는 연간 14조 달러의 거래 가치를 가지며, 이는 2022년 중국의 국내 총생산(GDP)과 거의 같다.

알리안츠 트레이드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 무역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2020년 초 20% 미만이었지만 올해 8월에는 약 30%로 증가했다고 한다. 아직은 달러의 비중이 훨씬 높지만 위안의 성장이 범상치 않아 보인다.


위안화 국제화 지수는 2020년 말에 5.02에 이르렀으며, 전년 대비 54.2% 급증하여 국제통화 중 3위가 되었다. (위안화 국제화 지수는 중국의 국경을 넘어서 위안화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금액과 해외에서의 역외 위안화 유동성을 합한 금액을 지수화한 것이다.)


이러한 성장은 주로 중국 경제의 회복, 금융부문 개방, 안정적 통화 정책, 국제 통화 협력 강화 등이 원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또 다른 원인은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위상 변화와 페트로 달러의 강제력이 국제적으로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들은 미국 경제 전체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영원한 강국은 없다는 말이 떠올랐다. 가깝게는 영국이 세계정치와 경제에서 지는 해가 됐고 멀게는 로마가 정치적인 몰락과 은화의 악화 문제로 쇠망의 역사를 보여주었다.


또한, 미국의 국제적인 관계에서도 일부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 미국의 지속적인 외교 문제, 그리고 미국과 유럽 간의 갈등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위험성은 미국과 세계 경제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오고 있다. 다음 부자이야기 편에는 미국 금융의 좀 더 세부 사항을 다루도록 하겠다. (To be continued)





*본 콘텐츠는 투자조언이나 재정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며, 개인의 결정으로 인한 어떤 피해에 대해서도 책임이 없음을 명시합니다.


*문의 

suprichkay1217@gmail.com



<참고 문헌>

Laeven, L., & Valencia, F. (2018). Systemic Banking Crises Revisited. IMF Working Paper No. 18/206.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21). Monetary Policy Report. 


https://www.bloomberg.com/opinion/articles/2023-02-27/pricing-petroleum-in-china-s-yuan-sounds-inevitable-not-for-saudi-arabia


https://nocutnews.co.kr


https://www.wfri.re.kr/ 



<사진 출처>

Pexels


작가의 이전글 복합통증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