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공부코치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부코치 Apr 04. 2019

시험 3주 전,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새 학년 새 학기 첫 시험

개학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4월이다. 3월의 학교 적응, 회장/부회장 선거는 끝이 나고 이제 본격적인 학업 레이스다. 고등학생들은 3월 모의고사를 보면서 자신의 위치를 어느 정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중학교 1학년은 다소 여유가 있다. 자유학기제의 시행으로 시험의 굴레로부터 일단은 한발 물러나 있다. 과연 독이 될지, 득이 될지. 중학교 2학년이 되어 보면 비로소 1학년 때 어떻게 공부했는지 드러나게 될 것이다.




종종 질문을 받는다. 


"신학기 시험공부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신학기라고 달라질 게 있으랴. 평소처럼 그저 '열심히' 대비하면 된다. 그런데 그 열심히가 어떻게 하는 것이며, 얼마나 해야 하는 것일까. 질문을 들여다보면 가지는 달라진다.


시험을 대하는 자세 (1)


일단 새 학년 신학기 첫 시험은 누구나 잘 보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으레 그렇듯 신년이 되면 새로운 목표를 만들고 계획을 세운다. 학생이라면 누구나 성적에 대한 목표를 가지게 된다. 작년에는 불만족스러웠지만 올해는 뭔가 달라진 성적표를 만들고 싶다.


2월이면 늦었다 싶은데, 3월이 되어서 공부를 시작하는 학생들도 있고, 3월이면 늦었다 싶은데 4월이 되어서야 공부를 하는 학생들도 있다. 공부를 시작함에 있어 늦은 것은 없다. 안 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성적 상승에 100배 나음은 말할 것도 없다.


학년도 새 학년에, 학기 신학기이다 보니 대부분의 학생들이 의욕적으로 학교 생활을 하면서 시험을 대비함을 알아야 한다. 경쟁이 치열하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답이 나온다.


첫 시험은 일단 무조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있는 힘껏 해보고 결과를 일단 받아봐야 한다. 그리고 버티기에 들어가야 한다. 버티기를 들어감에 있어서 어디쯤 나 자신을 포지셔닝할 것인가. 이것이 첫 번째 시험을 대하는 자세다.


시험을 대하는 자세 (2)


새 학년 신학기 첫 시험은 모두가 처음이다. 나도 선생님이 처음이고 선생님도 우리가 처음이다. 나도 선생님 출제 스타일을 모르고 선생님도 우리들 수준을 모른다. 시험 난이도에 변수가 작용한다는 소리다. 선생님은 우리 수준보다 시험을 어렵게 낼 수도 있고, 우리들은 평소보다 열심히 공부해 시험을 더 잘 볼 수도 있다.


일단 선생님의 출제 경향을 아는 게 급선무다. 평소에 어떤 점을 강조하시는지, 어떤 스타일의 질문을 좋아하시는지 알아차려야 한다. 작년에 문제를 낸 경험이 있다면 작년 시험지를 찾아서 봐야 한다. 이것도 저것도 힘들다면 선생님에게 물어봐야 한다. 어떤 스타일로 문제를 내실 거냐고.


의외로 질문하는 학생들이 적다. 시험이 다가와서 출제 경향을 물으면 생뚱맞은 학생이 될 수 있으니, 평소에 질문하는 습관을 들이자. 그리고 종종 선생님에게 물어보자. "이런 건 시험문제로 나오지 않을까요?"


너무 노골적이라면 이런 질문은 어떨까. "선생님, 이 부분은 무척 중요해 보이는데요?"


시험을 대하는 자세 (3)


앞서 언급을 했지만, 시험은 생각보다 어려울 수도 있고 쉬울 수도 있다. 선생님도 판단을 미스할 수 있다. 평소보다 우리들이 공부를 열심히 해서 이번 시험 평균이 잘 나온 것인데, 우리들 수준을 너무 높게 봐서 기말고사는 어렵게 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번 시험은 기준점이 된다. 시험이 끝나면 꼭 시험을 분석하라. 시험이 어려웠든 쉬웠든 좌절 하거나 환호하지 말고 조용히 시험지를 분석해야 한다.


선생님은 언급할 것이다. 중간고사가 쉬었으니 기말은 어렵게 낼 거라고 혹은 중간고사 수준으로 내겠다고, 그것도 아니면 기말은 쉽게 내겠다고 예고를 할 것이다.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는 시험 전 시험공부도 중요하지만, 다음 시험을 위해 시험지를 분석하는 게 무척 중요하다. 시험의 끝은 곧 다음 시험의 시작임을 인식하자.




시험 3주 전이다. 어느 시험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으나, 새 학년 신학기 첫 시험이 정말 중요함은 말할 것도 없겠다.


시험공부 대비, 준비되었는가. 그렇다면 롸잇 나우(right now) 바로 공부를 시작하자.



매거진의 이전글 시험 3주 전,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