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프레더릭 와이즈먼, 다큐멘터리, 2018
<뉴욕 라이브러리에서>에는 일반적인 설명적 다큐멘터리에서 흔히 등장하는 내레이션과 인터뷰가 사용되지 않는다.
설명적 다큐멘터리에서 내레이션은 보통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전지적 작가의 시점으로 이미지만으로 전달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주거나 영상에 드러나지 않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관람자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이 경우 ‘나’가 화자로 등장하는 1인칭 시점의 내레이션보다 객관적인 관점을 가진다. 두 번째 방식은 ‘나’가 화자로 등장하는 1인칭 시점의 내레이션인데 이는 다시 관찰자 시점과 주인공 시점으로 나뉜다. 이 경우 ‘나’로 등장하는 화자가 ‘나’의 시점에서 바라보고 생각하는 것을 서술함으로써 전지적 시점보다 주관적이고 감독의 생각과 의견이 더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서술자의 위치가 어디인가에 따라 내레이션은 여러 시점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전지적 시점이든, ‘나’로 비롯되는 1인칭 시점이든 모든 내레이션은 영상 속 이미지를 바라보는 ’ 시점‘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는 세 시간이 넘게 영화가 진행되는 동안 내레이션이 등장하지 않으며, 이는 곧 이들을 바라보는 ‘시점’, 즉 시선의 주인이 누군지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내레이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설명적 다큐멘터리와 <어느 여름의 연대기>, <침묵>에서도 반복해서 등장했던 인터뷰의 형식 또한 사용하지 않았는데, 내레이션의 서술자와 질문을 던지는 인터뷰어가 모두 등장하지 않으며 영화 속 시선의 주인은 철저히 감춰진다.
이렇게 주인이 없는 시선은 뉴욕 시민들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뉴욕라이브러리의 성격과 맞닿아 어우러진다. 영화에서 드러나는 뉴욕 라이브러리는 예술, 인문학, 디지털, 취업 등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고 체득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는 공간이자 소통과 연대의 창구,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이기도 한 장소로, 단순히 책만을 읽기 위한 공간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어린아이부터 노년층까지 나이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기회가 열려있는 뉴욕 라이브러리의 성격은 특정한 시점이 정해져 있지 않은 영화의 형식과 만나 더욱 두드러지고, 누구나 도서관의 방문자이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기회를 얻을 주인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는 관람자 누구나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화를 보는 동안 관람자는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강연에 참여하는 청중이 될 수도, 도서관 총 운영회의에 참여하는 위원진이 될 수도, 미술교육과 디지털 교육에 참여한 시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작가가 설명해 주었더라면 단순히 “이러한 공간이 있다”라는 소개에서 그쳤을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는 관객에게 단순한 공간소개가 아닌 시선을 통한 간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카메라와 동일한 시선을 갖는 일차적 동일시를 불러일으키고, 관람자의 몰입도를 향상한다.
내레이션과 인터뷰를 사용하지 않은 것과 더불어 <뉴욕 라이브러리에서>에서 또 한 가지 인상 깊었던 점이 있다면 중간중간 반복해서 등장하는 회의 장면이다. 영화 속에는 뉴욕 각지에 있는 여러 뉴욕 라이브러리 지점과 그 안에서 진행되는 행사가 등장하며 자칫 서로 다른 공간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는데, 영화는 여러 뉴욕 라이브러리의 지점과 각양각색의 프로그램을 조명함과 동시에 중간중간 반복되는 회의 장면을 등장시킴으로써 영화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모두 ‘뉴욕 라이브러리’라는 하나의 공간으로 수렴시킨다. 이를 통해 영화는 각 공간과 인물, 사건이 분리된 것이 아닌 하나의 공동체임을 강조한다.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를 통해 바라본 도서관은 시민 소통의 중심부이자 사회.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경험의 기회가 주어지는 열린 공간이다. 그에 비해 나의 머릿속에 있던 도서관의 이미지는 단순히 책을 읽고 집중할 조용하는 공간과 같이 닫힌 이미지였던 것 같아 아쉬웠고 도서관의 역할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