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여러 인터넷과 나무위치(namu.wiki)에서 살펴본 간략한 태극기에 대한 역사와 의미들이다.
본래 조선은 국가적 상징으로서의 국기라는 개념이 없었으나,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에 사용하기 위해 김홍집이 역관 이응준에게 국기를 그리게 한 것이 효시로, 1882년 9월 25일 박영효가 일본에 3차 수신사로 파견되었고 메이지마루 호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면서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다.
1883년 3월 6일 고종은 왕명으로 태극 4괘 도안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하여 공포했지만, 국기를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이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태극의 문양이 각각이었고, 4괘와 8괘가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1949년 10월 15일 '국기 제작법 공시'를 통해 국기 제작 방법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조선국왕의 어기. 국기 제작법이 공포되기 전에는 어기에 사용된 8괘가 태극기에 그대로 사용되기도 했다.
태극기는 흰색바탕 가운데 태극문양과 네 모서리의 4괘로 구성되었다. 희색과 태극문양, 4괘는 각기 특별한 상징과 의미를 지닌다. 밝음과 순수를 나타내는 흰색바탕은 평화를 상징하는 우리의 민속성을 의미한다. 태극문양은 파랑(음)과 빨강(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담고 있다. 네 모서리에 위치한 4괘 건곤감리는 각각 하늘, 땅,물과불을 의미한다.
태극기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대한제국의 국기였던 태극기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일제 강점기 시기에 태극기는 독립운동의 상징이 되었고 1919년 3.1 운동에서 전국에서 휘날렸다. 이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의해 국기로서의 정통성이 계승되었다. 태극기는 조선, 대한제국, 임시정부,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역사적인 정통성과 한민족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북한에서도 1948년 7월까지 태극기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한반도 전체를 대표하는 정통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북한은 소련군정의 유물론 사상이 회자되어 1948년 북조선인민위원회에서 인공기를 제정한 뒤에 태극기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서울 수복 후 중앙청 청사에 태극기가 게양되었다.
태극기는 민주화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950년 6.25로 서울이 함락된 후 북한은 인공기를 게양하였고, 인천상륙작전으로 서울이 회복된 후 중앙청 청사에 다시 태극기가 게양되었다. 1960년 4.19 혁명,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폭력진압으로 사망한 민주화 열사들의 시신을 태극기로 덮었고, 1987년 6월 항쟁에서도 시민들이 태극기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