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eon Mar 28. 2023

작가의 서랍에도 글조각이 있었다

우린 이걸 조각모음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어제는 스마트폰과 매년 선물 받는 플래너? 수첩? 다이어리? 안에 있는 글 조각조각들을 정리하지 못하는 내 얘기를 했다. 그리고 그것들을 정리하는 걸 올해 새해다짐으로 하겠다는 말로 글을 마무리했었다.  


새해다짐은 작심삼일이어야 제맛이지.


이틀 차인 오늘. 브런치에서 <작가의 서랍>이라는 걸 들여다보니 여기에도 정리되지 않은 글 조각들이 스무 개나 있었다.


첫 번째 저장글은 영국에 살 때 브런치 구독자수가 100명이 된 것을 기념하려고 쓰던 글이었다. 살짝 소개하자면,




...구독자가 100명이 되면 뭔가 고마움을 표시하고 싶었다. 100명이 1000명보다는 적은 숫자이지만 그 백 분이 다 우리집에 놀러오기라도 해봐라. 한 집에 다 들어가지도 못할 정도로 많은 분들이 이 여자의 글을 꾸준히 읽어보겠다고 누른 것 아닌가.  youtube였다면 감사의 먹방이라도 했을 텐데 이건 브런치이므로 글로 보답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시간만 흘렀다.


뚜렷한 주제를 드러내는 브런치라면 구독자수의 느리지만 꾸준한 증가가 이해가 될 텐데 내 브런치는 왜 사람들이 읽는지는 잘 모르겠다. 내가 쓰는 이유를 살펴보면 대답이 나올 법도 하여 생각을 해보았다. 내가 '쓰는' 이유는 늘 쓰는 걸 직업으로 해왔고 그게 좋고, 그걸 잘 할 자신이 있고, 잘 한다고 평가 받으며 살았고, 쓰지 않으면 운동 안 한 근육이 간질간질거리듯이 몸과 마음이 요동을 치기도 하고.. 등등등 쓰지 않을 이유는 없다. 즉 읽지 않을 이유도 없는 것 아닐까..?


그렇다면 100명 돌파에는 어떤 글을 쓰면 좋을까. 짧게 고민하다가 아예 키워드 별로 조금씩 써보면 어떨까 하여 이렇게 노트북을 켜게 되었다...



지금 이 브런치의 구독자분이 500명이 넘어가니까 이런 류의 글을 쓸 기회가 다섯 번이나 있었던 것 아니냐! 그런데 한 번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시간만 보내고 있었어...?


마지막 저장글은 3월에 저장된 가장 최근 것으로 <보습>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우리가 보통 보습이라고 하면 촉촉함을 떠올리기 마련인데 내가 쓰려던 보습은 농기구 이름이다.


보습은 원래 '보십(훈몽)'으로 쓰이던 말로 농기구의 술바닥에 끼우는 삽 모양의 쇳조각이다. 그러면 술바닥은 또 뭐냐, 술바닥은 쟁기 끝에 보습을 대는 넓적하고 삐죽한 부분을 뜻한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지금 '보습'이라고 했을 때 순우리말 보습을 떠올리는 사람은 아마 아무도 없지 않을까. 어쩌면 일본어에서 온 말일 수도 있는, 국어사전에는 없는 촉촉한 '보습'을 떠올리는 사람만 있지 않을까.


촉촉함과 관련된 낱말 '보습'이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다는 걸 알게 된 충격으로 이 얘기를 써봐야겠다, 하고는 작가의 서랍에 넣어두고는 잊고 있었던 것이다.


사전 속 순우리말 보습1의 뜻풀이는 다음과 같다.

보습『농업』 쟁기, 극젱이, 가래 따위 농기구의 술바닥에 끼우는, 넓적한 삽 모양의 쇳조각. 농기구에 따라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보습2는 한자어이다.

보습 (補習)『교육』 일정한 학과 과정을 마치고 학습이 부족한 교과를 다시 보충하여 익힘.


이건 누구나 들어봤을 법하다. 보습학원할 때 그 보습.

아니, 그러면 피부보습, 보습로션, 보습미스트할 때 보습은 도대체 어디서 온 말인가? 그런데 일한사전에서 찾을 수 있었다.


 ほしつ [保湿]

명사, ス자동사

보습, 습도를 일정 기준 안으로 유지함.

출처:민중서림 엣센스 일한사전


저 한자는 <지킬 보, 축축할 습>이다. 나는 일본어를 전혀 할 줄 모르지만 '보습'이라는 낱말을 한국어사전에선 찾을 수 없고 일한사전에선 찾을 수 있다면 어쩌면 일본어에서 온 말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하지만 같은 주장을 펼치는 그 어떠한 전문가의 글을 찾지 못하는 바람에 '작가의 서랍'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라도 글을 펼쳐놓으면 어느 언어 전문가 분이 슝 나타나서 오노노노 얘야 그건 네가 오해하고 있는 것이란다, 또는 오노노노 그건 이렇고 이건 그렇습니다, 라며 올바른 길로 인도해주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그리고 나는 이 글을 씀으로 작가의 서랍 속 첫 번째 저장글과 마지막 저장글을 삭제할 수 있게 되었다.

작가의 이전글 우리는 이걸 봄맞이 청소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