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eon May 15. 2023

'벙어리 저금통'을 다른 말로 한다면?

구독자 여러분에게 토스해볼까

MBC 라디오 우리말나들이 원고를 쓰다가 지금 브런치로 왔다. 어딜 찾아봐도 '벙어리 저금통'을 대체할 말이 없었던 것이다. 이럴 땐 주로 '대체할 말은 없는지 함께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등으로 청취자에게 뒷일을 토스하고 한걸음 물러서곤 하지만 이상하게 오늘은 그러고 싶지가 않다. 그래서 여기로 왔다. 방송 전이라 청취자의 의견을 들을 수 없으니 브런치 구독자에게 댓글이라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일단 '벙어리 저금통'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를 보자.


벙어리 저금통: 푼돈을 넣어 모으는 데 쓰는 조그마한 저금통. 돈을 넣는 작은 구멍만 있고 꺼내는 구멍이 없으므로, 꺼낼 때는 부수어야 한다. 원래는 질그릇으로 만들었으나 요즘은 주로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비슷한 한자어로 박만 撲滿, 항통 缿筒/缿筩이 있었다. 언어 장애인을 비하하는 '벙어리'를 쓰느니 다시 조선시대에 쓰던 어려운 한자어로 돌아가자고 할 수도 없는 노릇.  


나들이 작가 20년 짬바(짬에서 나오는 바이브)를 가동시키니 '일회용 저금통', '한구멍 저금통', '못 여는 저금통'정도가 출력됐다. 짬바가 무색하게도 모두 쏙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일회용 저금통은 용어가 자연친화적이지 않은 것 같고, 한구멍 저금통은 돈을 다시 꺼낼 수 있는 저금통을 두구멍 저금통이라고 불러야 하는 건가 싶고, 못 여는 저금통은 부수면 사실 열 수 있으니 말이 안 되는 것 같다.


벙어리 저금통은 여기까지 정리해두고, 그렇다면 벙어리 장갑은 또 어떤가. 해외에 살면서 누구에게도 상처주지 않고 mitten이라고 말할 때가 좋았다. 이런 건 외래어로 얼른 들여왔어야지 왜 못 들어왔나 싶기도 하다. 아마도 벙어리 장갑이라는 낱말이 너무 오랫동안 널리 쓰였기 때문이겠지.


벙어리 저금통과 달리 국립국어원에서는 이 말을 다듬은 적이 있다. 순화어는 손모아 장갑이다. 그런데 이것도 마음에 썩 들지 않는다. 나만 그런 것도 아닌 것이 순화한 지 꽤 되었는데도 우리 말글생활에 정착하지 못했다. 나는 2000년 초 '리플'이 '댓글'로 빠르게 정착하는 걸 실시간으로 본 세대이기 때문에 언중의 공감을 얻으면 어려울 것도 없다는 걸 안다. 아마도 손을 모았다는 건 손가락이 붙어있는 이미지와는 다르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은데 차라리 내 시대의 HOT, 요즘 시대의 NCT DREAM의 힘을 빌려 캔디 장갑이라고 하면 어떨까. 그러면 찰떡같이 알아듣는 MZ가 더 많을 것 같다. 이거 말고도 우리말샘에는 엄지 장갑이라는 표현도 있었는데 예쁜 표현이라고 생각한 것도 잠시, 엄지 장갑이라고 검색하면 엄지에만 끼우는 골무 같은 작은 장갑이 검색된다는 걸 보고 다시 좌절했다. (게임용 장갑인 듯 했다)

개인적으로는 캔디 장갑 원픽이다. 어르신들은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적어도 70년대생부터는 바로 알아들을 수 있지 않을까? 어르신들이 벙어리 장갑이라는 차별 용어를 만들어내고 여태 널리 쓰이게 놔둔 죄로 캔디 장갑이 뭐냐고 물으시는 수고 정도는 해주셨으면 합니다. (소신발언)


그런데 캔디도 외래어이긴 한데.. (위기)


  

작가의 이전글 난 차가운 도시여자인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