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예 Jun 16. 2020

창작의 고통이란

모든 창작자들은 이 밤을 어찌 견디는지

창작의 고통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한 술 더 얹어보는 이야기.


당장 내일까지 원고를 송고해야하는데 아무것도 생각이 안나네 어떡하지! 류를 창작의 고통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꼭 그런 것만이 창작의 고통은 아니다. 내 경우 창작이란 그 자체도 만만찮지만 그 이후가 더 어렵게 느껴진다. 나의 창작물을 세상에 공개한다는 것에는 용기가 필요한데 그것이 잘 팔리지 않을 경우, 다시 말해 그 용기가 무용지물이 된 것처럼 느껴질 때가 그렇다. 이런 일이 벌어지면 경제적인 문제도 분명 발생하지만 내 경우엔 심리적인 붕괴가 더 큰 것 같다.


온라인 상에서의 반응과 실제로 소비되는 양의 차이가 클 때의 괴리감, "사실은 아무도 내 이야기에 관심이 없는거였어" 하는 외로움, 내 이야기의 힘을 믿고 기꺼이 책을 출간해준 출판사와 나를 응원해준 사람들에게 그 민폐를 어떻게 갚아야 할지 모르겠는 막연함, 어디부터 어떻게 잘못된 걸까 하는 혼란스러움, 이런 식이라면 그 누구도 두 번 다시는 내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어주지 않겠구나 하는 두려움, '그 사람들은 그 때 왜 그런 희망을 주는 말을 했을까? 책임도 못질거면서', 싶어 화가 날 때도 있고 그런 말 한 마디 한 마디에 휘둘린 나 자신이 순진한거지 누굴 탓해 싶기도 하다. 정형화된 결과물이 아니기에 개개의 창작물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다는걸 머리로는 알면서도 “저 글이 내 것보다 특별히 더 대단한 것도 없어보이는데, 대체 왜?” 싶은 시기심까지.


창작이 외롭다는 것은 대개 이런 소모적인 감정에서 오는 말이다. 이 모든 것은 오롯이 창작자가 짊어져야할 몫이고 이런 감정들을 짊어진다는 것은 결코 만만치 않은 일이다. 창작을 할지 말지는 개인의 자유이지만 일단 창작의 세계에 발을 들이고 나면 이런 감정들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런 짐들을 스스로 버텨내지 못한다면 창작자는 압사한다. 이런 짐들을 안고 갈 수 없다면 최대한 빠르게 이 업계와 손절하고 뒤도 돌아보지 않고 도망쳐야 귀한 목숨을 부지할 수 있다. 목숨을 부지한다는 것은 비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정말 문자 그대로다. 창작자 중에는 정서적으로 불안한 경우나, 더 나아가 자의로든 타의로든 요절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짐들과 무관하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나는 대개 창작 자체는 즐겁게 하는 편이고 창작물을 공개한 후 현타가 오는 쪽이다. 둘 중 하나라도 즐겁게 하니 그나마 견디는 것 같기는 한데 요즘은 출판사나 나나 자존감이 바닥에 떨어져있다. 출판사는 출판사대로 '좋은 책'을 제대로 못팔고 있다는 생각에 내 눈치를 보고, 나는 나대로 애당초 내 책이 '좋은 이야기'가 아니었던 것 같아서 출판사 눈치가 보인다. 책과 관련된 업계 전반이 '코로나 블루'에 빠져있다고는 하지만 과연 이 모든 일들을 코로나 탓으로 돌려도 될지, 그러자니 여전히 마음 한 구석이 찜찜하다.


이런 짐들을 모르는척 외면하며 창작을 해온지도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계속 내가 쓰고 싶은 것을 써도 되는지 아니면 이제는 타겟 독자를 미리 정해놓고 그들이 읽고 싶어하는 것을 써야하는 것인지도 혼란스럽고, 그간 나름 다작을 했다 싶은데 "다 별 볼 일 없네"라는 평을 들을까 그것도 겁난다. 그저 계속 읽어주고 계속 좋아해주는 분들이 있기만을 바라지만 별 대책은 없다.


모든 창작자들은 이 밤을 어찌 견디는지. 더욱 쓸쓸한 밤. 커피가 쓰다.



매거진의 이전글 무시당해 마땅한 책은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