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 십오야 차승원 인터뷰를 보고
오래간만에 유튜브로 채널 십오야를 봤다. 이 채널 영상은 나영석 PD가 만든다. 나영석이란 이름에 걸맞게 구독자도 500만 명이 넘는다. 그럼에도 나는 이 채널에 손이 잘 가진 않았다. 아마 그의 대표작인 1박 2일이나 신서유기 같은 작품들을 보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사람은 익숙한 것을 선호하는데 나이가 먹을수록 이런 경향이 더욱더 커지는 것 같다. 아마 이 채널에 큰 변화가 없었다면 앞으로도 찾아볼 일은 없었을 거다.
그런데 최근에 큰 변화가 생겼다. 그가 내가 최애 하는 침착맨 채널에 나왔다. 그와 침착맨은 <그림형제>라는 프로그램을 같이 했었다. 이런 인연으로 침착맨 유튜브에 컨설팅을 받는다는 느낌으로 출현한 것이다. 스타 PD가 인터넷 스트리머 채널에 나온 것도 신기한데 거기에 뭔가를 배우러 나왔다니 신선했다.
이 영상에서 침착맨은 많은 게스트를 쓰는 초대형 기획보다는 나영석 PD가 적은 수의 사람을 불러 소소하게 게스트를 초대해 인터뷰 콘셉트로 하라는 솔루션을 냈다. 그 당시 영상 분위기 자체는 유쾌했다. 침착맨도 진심으로 이렇게 하라는 느낌보단 농담조에 더 가까웠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런 조언을 받은 후에 나영석 PD는 바로 실천에 옮겼다. 꾸준히 사랑받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온 PD는 달라도 다른 것 같다. 새로운 도전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낸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튜브에 솔루션 받은 콘셉트로 영상이 올라왔다. 1박 2일 김대주 작가와 인터뷰 영상을 내놨다. 이런 본인을 내려놓은 외줄 타기 시도에 영상은 좋은 반응을 얻었다. 다음에는 다른 작가들 그리고 삼시 세끼와 최근에는 윤식당을 같이했던 이서진 그리고 삼시세끼 어촌 편, 스페인 하숙을 같이한 차승원까지 나왔다.
이서진 씨가 나온 편도 재밌게 봤다. 집안이 잘 살았음에도 형이 집에서 유료전화를 사용하다가 아버지에게 뺨맞았다는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그런데 차승원 씨가 나온 인터뷰는 압권이었다. 이 영상에서 차승원은 사람을 잘 안 만난다고 한다. 동선도 단순하다. 집 – 헬스장 – 촬영장(+딸의 통원 or 강아지 산책)이다. 이렇게 살면 재밌냐는 나영석 pd의 질문에 이번생은 이렇게 살기로 했다며 쿨한 면모를 보인다.
여기까지는 나도 그런가 보다. 그런데 자주 만나는 친한 친구도 없다고 한다. 지금 나이 50 넘어서 그와 무슨 얘길 하냐는 말에 나영석 PD가 개 키우는 이야기 하면 되잖아요 하지만 그는 그건 와이프랑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얘기고 일 얘기는 현장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차승원 씨가 처음부터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던 건 아니라고 한다. 이 삽 십 대 때는 그도 사람을 만나고 다니는 게 본인의 일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던 때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니 배우란 직업은 이렇게 사람을 만나는 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 배역이 가진 캐릭터를 보여주면 되지 다른 사람 만나서 내 관심사가 어떻고 가족관계가 어떻고 굳이 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다.
그래도 다른 사람을 만나면 영감을 얻지 않냐고 묻는 나영석 PD의 말에 예전에는 저 사람의 저런 장점이 좋아 보였는데 이제는 내 색깔을 보여주는 것도 벅차다 말하는 그의 말에 뒤통수를 세게 후려 맞은 느낌이었다.
그 이유는 그의 말이 내 가치관을 관통했기 때문이다. 난 평소에도 내가 살아가는 이유에 대해 누가 묻는다면 내 경험을 나만의 필터로 녹여서 세상에서 나만의 색깔로 보여주는 것이라는 답변을 한다는 상상을 하곤 한다.(하지만 아무도 이런 질문을 나에겐 하진 않는다.) 그런데 굳이 만나도 되지 않을 관계들인 술에 물탄 듯 물에 술탄 듯한 관계를 만나 시간을 보내고 나면 내가 흐려지는 느낌을 받았었다.
그럼에도 원래도 많진 않았지만 결혼 후에는 확연하게 줄어든 인간관계에 대한 걱정이 있었다. 이렇게 동기들이나 친구들을 만나지 않다가 나중에 회사에서 불이득을 받거나 인생의 외톨이로 남진 않을까 하는 걱정이었다. 하지만 차승원 씨의 말을 듣고 내 일만 잘하면 되지 굳이 보고 싶지도 않은 사람들을 만나서 내 시간과 에너지를 쓸 필요가 없다는 확신이 들었다.
이렇게 나를 아무렇게나 소비했다가는 나는 사라지고 남들에게 보여주는 나만 남는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그가 나를 보여주는 게 벅차다는 말이 나에겐 나를 보여주기 위해선 내 시간과 에너지를 나를 더 선명하게 만들 수 있는 곳에 써야 한다는 이야기로 들렸다.
그가 말하길 인간관계에 좋고 싫음이 있을 뿐 괜찮은 건 없다고 한다. 앞으로 내 인간관계에 지침으로 삼아도 좋을 말이다. 그동안 만나면 괜찮았던 관계들이 떠오른다. 신기하게도 지금은 잘 보게 되진 않는다. 나도 알게 모르게 피하고 있었던 거다. 내 머리는 몰랐지만 몸은 알았던 것 같다. 그게 괜찮은 게 아니었다는 것을.
이혁진 작가의 <누운 배>에 나온 말이 떠오른다.
“진화하지 않는다는 건 퇴행이고, 똑바로 하지 않았다는 건 단지 똑바르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잘못했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