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새벽 별 Nov 17. 2020

성폭력을 겪은 후에도 아이들이 침묵하는 이유

[TED TALK으로 영어 공부 1]


영어공부에 소홀했던 나를 되돌아보며

오늘부터 테드 톡으로 쉐도잉, 단어, 숙어, 표현 등을 정리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해 보았다.


첫 번째 강연은 다소 민감한 주제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꼭 바뀌어야 하는 관점을 다루고 있는 아동 성폭력이다. 아동뿐만 아닌 남녀노소 구분 지을 수 없는 토픽으로, 가해자보다 피해자들이 겪는 실패감, 수치심, 죄의식이 이 강연의 키워드이다.


-

We teach our children to say "no."

I said "no" every time. And I quickly learned that "no" doesn't always work.

That doesn't mean that saying "no" is the

wrong idea, just that it's not a solution.

우리는 아이들에게 "안돼요"라고 말하라고 가르친다. 나는 매번"안돼요"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나는 "아니요"라고 말하는 것이 언제나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빠르게 알게 되었다.

"아니요"라고 말하는 것이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다, 단지 그것은 해결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


크리스틴은 자신의 어린 시절 겪은 성폭력을 주위에 숨기고 되려 나 자신을 지키지 못했다는 실패감과 수치심에 사로잡혀 살았고, 주위에 이를 밝히지 못한 채 수십 년이 흘렀다. 그러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된 크리스틴은 얼마 전 본인의 어머니에게 이 사실을 고백한다. 어머니는 크리스틴이 왜 그렇게 스스로를 더 완벽한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애썼는지 이전과는 다르게 행동했는지 이제야 이해할 수 있었다며 말해주었다.


나 역시도 어릴 적엔 낯선 사람이 무언가를 요청하면 "안돼요", "싫어요"를 외치라고 배웠다. 그러나 세상의 나쁘고 고약한 일은 정말 생전 모르는 낯선 사람보다 이미 우리의 눈에 익고 경계심이 없는 사람으로부터 발생했던 확률이 높다고 한다. 무엇보다 피해자들이 느끼는 스스로에게 더 큰 상처를 주는 '내 몸에 대한 나의 책임'이라는 강박관념, 피해의식 등에서 벗어나 가해자에 대한 더욱 강력한 처벌과 그들의 비인간적이고 비윤리적인 행동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들에게 '그런 상황에 처하게 행동하지 마.' '그런 옷을 입고 다니지 마.'라는 잠재적으로 깔려있는 범죄의 상황을 너의 행동과 판단으로 인하여 만들지 마.라는 개념과 발언으로 실제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무의식 속에 잠재된 어른들의 올바르지 않은 주입식 방침으로 인해 아이들에게 2차적인 고통을 주게 되는 것은 이제 그만 사회적으로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고 크리스틴은 설명한다.



[포인트 문장]

1. And even though I can genuinely say that my mom and I have always had a close relationship.

그리고 비록 나는 나와 엄마와의 관계가 언제나 가까웠다고 진정으로 말할 수 있지만


Genuinely [진심으로, 진정으로]

synonyms(동의어): truly, honestly, sincerely



2. My shame was so deep-rooted that I had overcompensated by trying to be perfect in every other area of my life.

나의 수치심이 너무 깊어서 내 삶의 다른 모든 영역에서 완벽해지려 노력함으로써 나는 과잉보상받았다. 


Overcompensate [과잉 보상하다]

Meaning: to try too hard to produce a usual or correct state from one that is not usual

-reference from Cambridge dictionary



3. She always said that I burned the candle at both ends, and now she knew why.

엄마는 항상 내가 무리한다고 말했고, 이제야 그녀는 이유를 알게 되었다.


 Burn the candle at both ends [무리하다, 체력을 소진하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하다]

Meaning: To work or do other things from early in the morning until late at night and so get very little rest.



4. So of course while I try to teach my kids about strength and resilience and persevering and overcoming obstacles,

물론 제가 아이들에게 힘과 회복력, 인내하고 장애물 극복에 대해 가르치려고 노력하는 동안


4-1. Resilience [n. 탄성,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

-> abil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4-2. persevering [a. 참을성 있는, v. 견디다]



5. The blame, 100 percent is with the perpetrators. And pretending that it lies anywhere else not only allows those who commit assault to escape full responsibility but also perpetuates shame for victims.

비난은 100 % 가해자에게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다른 곳에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폭행을 저지른 사람들이 완전한 책임을 피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희생자들에 대한 수치심을 영속화시킵니다.


5-1. Perpetrator [가해자] / Perpetrate [저지르다]

5-2. Perpetuates [지속하다, 영속하다]

*  단어가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는 전혀 다름 





주제에 따른 단어나 숙어들을 익히는데 TED TALK은 특히 도움이 많이 되는 듯하다.

처음에는 이 영상을 볼까 고민도 했었다. 평소라면 잘 나가는 기업의 언변력 좋은 CEO의 영상을 클릭했을 나였다. 그러나 빠르게 달리는 산업 경제 속에서 오히려 나는 요즘 내 삶의 가치, 주위 사람들의 안녕 또는 개인의 스토리에 주목하고 싶었다.  어떤 이가 겪었을 아픔에 대하여 그리고 오류 가득한 사회 인식에 대하여 다루는 영상도 많이 접해야겠다고 영상을 통하여 전달받았다.









 

작가의 이전글 [명취] 명백한 취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