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엘랑 Jan 19. 2018

JTBC 가상화폐 토론회 소감

돈만 무정부로 할 거면, 다른 것도 무정부 해주세요

오늘 토론회를 잔뜩 기대하고 시청했습니다.

뭔가 새로운 이야기가 나올 것 같아서....


그런데 기승전 '퍼블릭 vs. 프라이빗'이네요. 실망 많이 했습니다.

여기 나오는 것은 모두 사견임을 전제로 합니다. 제 의견이 많이 반영되었으니 반론하셔도 무방합니다.

먼저 패널들에 대한 사평입니다.



1. 김진화 공동대표 (한국 블록체인협회 준비위)


시종일관 '퍼블릭'을 강조하시더군요.

아쉬운 점은 지금 토론회가 열린 배경, 당장 가상화폐로 야기된 사회 경제적 혼란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언급이 없었습니다. 미래를 위해서 준비해야 할 신기술을 특히 강조했고요. (당연하겠지만)


하지만 그의 발언은 현재 비트코인 투자자들, 찬성론자들의 주된 논조를 그대로 옮겼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실제로 토론회가 끝나자, 가상화폐 게시판들을 일제히 "속 후련하다. 할 말 다했다."는 글이 많네요.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입니다.

반대 측 패널로 나온 한호현 교수가 문제 제기를 하자, "그게 사실인지 수학적으로 증명하실 수 있나요?"

이건 곱씹어 볼 문제입니다.

증명은 문제를 발생시킨 측이 하는 거지, 거기에 이의를 제기한 측이 하는 게 아니거든요?

급발진 사고의 입증 책임이 소비자에게 있다는 것과 전혀 다를 바 없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사고, 결함을 어필하면 그걸 유지하는 측이 입증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2. 유시민 작가


본인 스스로는 자꾸 '문과'를 강조했지만, 며칠 새 많은 자료를 모았더군요.

그리고 보는 시각을 기술적인 측면과 분리해서, 토론회가 열린 근본적인 이유에 가져가려 애쓰는 모습 보였습니다만....

어필하는 포인트를 조금 잘못 잡은 느낌입니다.

기술적인 궤변에는 같은 기술적인 공격이 있었어야죠.


찬성 측은 자꾸 기술적인 이슈로만 끌고 가려고 하고, 유 작가는 아몰랑 시전 하며 기술 외적인 사회경제적, 인류학적 측면을 거론했습니다. 이러니 서로 토론이 평행선을 긋게 되죠.

(물론 어떻게든 기술 이슈로 끌고 가려는 찬성 측의 유도를 피하려 했겠지만요, 그냥 부딪쳤어도 괜찮았을 겁니다.)



3. 정재승 교수


저는 오늘 한 교수가 아니라, 한 개인을 보았습니다. (이것도 사회적 편견인가요?)

사실 중간중간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규제 우려를 표명하는 정도로 끝낼 줄 알았는데,

스스로 '국가 권력에서 벗어난, 미래 금융을 찬성하는 자세'를 확실히 표명했습니다.


아니, 물리학자가 왜 인류 사회학, 경제학까지 나서십니까? 그것도 전 국민이 보는 공개적인 석상에서?

이거 예능 아니에요.


또한 반대 측에서 던진 질문은 '19세기에 나와서 실패한 무정부주의'를 '21세기에 화폐에 한해서 재현하자'는 함정 질문인데, 여지없이 걸려들었습니다.

저도 묻고 싶더군요. "그럼 화폐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일은 계속 국가가 하고요?"


이번 토론회를 일으킨 논란 자체의 주인공이시니, 뭐 그럴듯한 말은 하셔야 했겠지만....

적어도 득보다는 실이 훨씬 컸으리라 봅니다.


토론회에 나올 때부터 조금 우려가 되었습니다만....

결국 비코 찬성 측(이라고 하고 비코 업자들이라 읽는다)의 들러리 역할에 그쳤다고 봅니다.

존재감도 부각되지 못했고요... 본인이 '알쓸신잡'으로 쌓았던 커리어를 상당 부분 까먹었을 겁니다.


공적인 자리에서 사적 의견의 피력은 조금만 삐끗해도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저도 개인적으론 언젠가 '국가 권력과 국제 구도에서 자유로운 화폐 시스템'을 찬성하지만,

뭐든 변혁이 급진적으로 이뤄지면 그것은 혁명입니다. 혁명은 피를 부르지요. 지금 혁명 와중이고요.

다들 죽고 살기로 나와서 말쌈하는데, 엉뚱하게 유유자적하면 아니 됩니다.



4. 한호현 교수


역시 존재감이 부각되지 못한 패널입니다.

제가 봤을 때는 카운터 파트너로 원래 정재승 교수가 설정된 듯한데, 오히려 유시민 작가에 비해 아무래도 언변이 떨어지다 보니 김진화 대표가 곧바로 찍어놓고 눌렀습니다.


다른 석상에서는 말 잘하실 분 같지만, 역시 티브이 출연은 또다른 문제입니다.



제 개인적 인상은....

김진화 대표는 정말 말 잘하는 사람이에요. 그러나 깊이가 얕습니다.

반대로 유시민 작가는 말 잘하기로 소문났는데, 유독 이번 토론회는 감정을 눈에 띄게 표출했습니다.

적개심? 저는 그렇게 느껴졌어요.

저런 적개심은 기존의 기득권층이나, 적폐(?)들에게 보였던 건데... 그나마 요즘은 잘 감췄고요.


JTBC토론회는 분명 기술에 관한 토론회가 아닐 것입니다.

유 작가의 폄하, '기술자들이 만들어낸 장난감'이 지금 우리 사회를 어떻게 뒤흔드는지 보세요.

찬성 측 패널들도 그 문제를 분명 인식하기에, 곤란한 화두로 토론을 절대 끌고 가지 않았습니다.


양측은 마지노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위협사격만 살짝살짝 하면서 홍보만 했습니다.

비코 찬성론 측에서 얻은 것이 더 많아 보였습니다. (가상화폐 토론회가 아닌, 비트코인 토론회 맞더군요)




제 의견


한 가지는 확실해 보였습니다.

비코 찬성 측은 일견 '자본주의 논리'에 매우 충실한 것처럼 주장하지만, 결론은 '신자유주의'와 하등의 다를 것이 없습니다.

자본주의 국가 시스템의 장점만 취하고, 단점은 국가에게 계속 맡기려는 식입니다.

복지, 평등, 이런 거 없습니다. 그들이 보는 미래는 코인을 가진, 시스템에 적응한 소수에게만 일방적으로 유리한 세계니까요.


"그럼 배워서 같이 하면 될 거 아니냐?"

인간이란 종족을 우습게 보시나요?


나중에 인공지능 로봇들이 지배하는 세상에서나 비트코인으로 평등한 지구를 만들라고 하십시오.

그리고 그런 되도 않는 논리는 이미 수많은 다단계에서, 폰지 사기극에서, 그리고 일부 사이비 종교에서 숱하게 봐왔습니다.


그 수혜자들이 얼토당토 안 하게 '선한 얼굴'로 나와서 '희망찬 미래'를 설교하는 와중에, 피 흘리며 쓰러져갈 많은 대중이 있습니다. 기술을 말하기 이전에, 사람을 생각하는 진짜 사람부터 됩시다.


이런 글을 쓰면서도 '블록체인'은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을 가집니다. 단, 현행 가상화폐는 아닙니다.

쓰고 보니 저도 약간 분개했네요. 우리 사회의 누구 누가 가상화폐 놀음의 가장 윗선에 서 있는지 직시합시다.

기업에 무제한의 자유를 주자는 말은 누가 해왔는지도요....


작가의 이전글 가상화폐, 유시민과 정재승 논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