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승훈 Apr 08. 2023

나는 왜 이런 글을 쓸까?

에세이

글을 쓰다 보면 애처로운 것들이 떠오른다. 왜 하필 그것들이 먼저일까? 하고 묻게 된다. 사랑스러움, 행복, 쾌락이 아니라 왜 애처로움이냐고. 모르겠다. 유전적인 건지 후천적 영향인지. 바다 사람이라 그런 건지. 나는 어린 시절부터 남다르게 바다를 보며 애처로움을 느꼈다. 공업지의 오수들의 영향을 받아 매캐하면서 비릿한 냄새가 잔뜩 낀 바다 위에 드문드문 드리운 주광색 가로등 불빛들을 보며 애처롭다고 생각했다. 그때 당시에 뭐가 그리 애처로웠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는다. 남은 건 그것에 반향하고 남은 감정적 흔적 그리고 삶에 대한 태도 이꼴 글쓰기에 대한 태도이다. 나의 글에는 여전히 나의 태도가 잔뜩 묻어 있으니 나는 그다지 좋은 글작가는 아니다. 가끔은 그런 태도가 묻지 않은 글을 쓰는데 그럴 때 나는 조금 만족한다. 적게 만족하고 크게 실망하는 것 역시 나의 기본적 삶의 태도 중 하나인 것 같다. 또, 자기중심적이다. 나는 문장을 끝내면서 나를 생각하고 마침표를 찍으며 내 마음을 들여다본다. 그렇다. 글쓰기는 나에게 스스로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작업인 셈이다. 그리고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래서 글을 쓰는 것 같다. 글쓰기는 명상과 궤를 같이 하나보다. 글을 쓰려고 노트북 앞에 앉으면 나의 머릿속에 단어들이 굴러다니고 나는 그 단어들을 골라다가 문장으로 만든다. 그리고 그 단어들의 합은 대체로 애처로움이란 값을 낳는다. 그리고 나는 점점 스스로를 알아 가게 된다. 나에게는 안개처럼 짙게 깔린 나르시시즘이 있다. 스스로를 불쌍히 여기는, 스스로를 수행자이자 구도자로 여기는 완벽한 자기기만적 나르시시즘. 그 마음 상태에서 벗어나느라 상당히 애를 먹었다. 이제 조금은 세계의 복잡함에 대해 이해했고 나의 무지함에 대해서도 인정하게 됐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글을 쓸 때면 나의 애처로움에 매달린다. 그게 정말 쉽고 편하게 글을 쓰게 만들어주니까. 그래서 내 글은 읽기에 조금 거북하고 부담스러울 수 있다. 나는 그걸 잘 알면서도 글을 써 내려간다. 그게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면서도 말이다. 그게 뭐 나쁜 일은 아니지 않은가? 나는 사실 본래 게을러서 뭔가 더 나아져야겠다 그런 마음은 없고 그냥 이 상태로 세계를 조금 더 음미하고 싶다. 한계 없이 나와 세상을 어여삐 여기다가 적당한 곳에 마음을 내려놓고 틱틱 거리는 시계를 멈추고 싶은 마음이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지하철에서 만난 사람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