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로플 백종화 Sep 12. 2022

MBTI _ 스타트업 CEO의 특징 EN

행동지향적인 개혁가 EN (ENTP, ENFP, ENTJ, ENFJ)



드디어 초고가 끝났네요


일하랴, 책쓰랴, 참 많은 버거움이 있지만 그래도 하나씩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즐거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책에는 언제나 부족함이 많이 있습니다. 이유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책을 쓴다기 보다는 내가 더 공부하기 위해 책을 쓰기 때문입니다. 그냥 편하게 읽어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1.


EN의 경우 MBTI Form M 한국 표준화 표본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의 약 19%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EN 리더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기존과는 다른 도전, 혁신, 개발’ 이고, ‘기존과는 다르게 변화하자.’는 것입니다.



우리 나라 전체 인구의 약 19%를 차지하는 구성이지만 스타트업 CEO 117명 중 62%에 해당하는 인원이 모여있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ENTJ 26명 22%, ENTP 23명 20%, ENFP 17명 15%, ENFJ 6명 5%)


그래서 스타트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EN의 리더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2. 리더십 스타일


① 도전하고 모험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목표 설정


② 격려와 칭찬을 잘 표현하며 동기부여하는 리더십


③ 비전과 미션을 중요하게 여기며 더 높이, 더 멀리 볼 수 있는 미래를 설계


④ 호기심이 많아 자신이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학습하고 물어보는 배우려는 자세를 보여주는 태도


⑤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통찰력과 통솔력을 보여주며 연설과 대화를 자주 진행




3. 다른 유형의 불만


① 새로운 관점을 선호하다 보니 기존의 일하는 방식을 지켜가는 구성원들에게 소외감을 전달하기도 함


(새롭게 진행하는 비즈니스와 방식에만 집중하고 관심 가짐)


② 디테일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자신이 호기심을 가진 분야 외에는 놓치는 것들이 많음


③ 이야기를 경청하기 보다 자신의 이야기를 많이 이야기 하려고 함


④ 실행으로 연결되기 보다는 말로 끝나고 잊혀지는 의사결정이 많은 편 (구성원들은 언제까지 가나 보자. 라며 혁신에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함)


⑤ 역사적, 전통적, 현실적, 실리적인 생각과 과업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고 느껴지기도 함




[ 일잘러의 MBTI 중 발췌 ]

작가의 이전글 ◆ 회사에서 관리해야 하는 핵심인재의 변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