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이네 Mar 08. 2022

여전히 발이 땅에 닿지 않지만

환상과 현실의 거리

아마도 내가 8살, 티비가 브라운관이던 시절. 명절 특선으로 미국 영화가 방영되고 있었다. 한국말로 더빙되어있어도 잘 모르겠는 이야기와 파티 장면들이 드문드문 기억난다. 여자 주인공은 밖으로 나와 어떤 신사가 덮어준 재킷을 걸치고서 벽에 기대었다.

어린 나에게 두 가지가 눈에 띄었다. 입김이 나도록 추운데 여주인공은 왜 재킷을 어깨에만 걸치고 있는가. 그리고 그녀의 조그마한 체구의 두배는 충분히 되는 정장 재킷.

30대의 나는 재킷을 멋지게 소화할 ‘크리스 헴스워드’나 ‘브래들리 쿠퍼’를 상상하겠지. 그리고 그 옷의 주인이 누군지 알기 위해서라도 영화를 계속 볼 것이다. 하지만 어린이였던 나는 잘생긴 남자 배우에게 관심이 없었다. 다만 ‘아 나중에 크면 어른들은 저런 파티를 하는 모양이군!’ 하고 환상을 가졌다. 화려함이란 본능처럼 끌리는 거니까.


살면서 참 많은 환상을 갖고 살았는데 현실은 환상을 깨는 일의 연속이었다. 화려한 삶을 사는 일은 불가능하니 포기하자는 패배주의적인 이야기가 아니다. 다만, 현실 속 내가 맞이할 어른의 모습은 내 옆에 팔을 괴고 누워서 같이 티비를 보던 아빠랑 더 가까웠다는 걸 몰랐을 뿐. 그 중요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탓에 나는 무척 우울하고 방황하는 20대를 살았다.

살고 싶은 미래의 삶을 그려보는 일. 영원히 채워지지 않을지도 모를 두 시간의 간극을 참 많은 감정으로 채웠다. 이 간극은 우울의 크기만큼 멀게 느껴졌다. 어떤 날은 우울이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 같아서 공포와 불안에 떨기도 했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미래를 상상하는 일에 내 하루의 꽤나 긴 시간을 쓰고 있다. 그러나 공상의 시간을 갖는 일에 20대 때와 큰 차이가 있다. 이제 나는 내가 서있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는 것. 웃프게도 내가 어디에 있는지 인정하고 나니 어디로 가고 싶은지, 또 어찌 갈지 길이 더 선명히 보이기 시작했다. 우울의 바다에서 여전히 발이 땅에 닿지 않지만, 가라앉지 않고 헤엄칠 수 있게 되었다. 길을 찾아 나아가는 것은 나의 몫이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인가? 누구나 아는 이 말을 이해하지 못해서, 내가 나를 너무 오래 괴롭혔다.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했다. 나는 잘하고 있다. 지금까지 그랬던 것처럼 나는 환상을 등대 삼아 한걸음 한걸음 살아갈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윗집 할매가 집 앞에 놓고 간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