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와 채도의 장벽을 넘으면 우리는 별반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된다.
오스카상을 휩쓴 봉준호 감독은, 골든글로브 수상시 이런 명언을 남겼다.
'1인치 자막의 장벽을 넘으면 여러분은 더 많은 영화를 누릴 수 있습니다. 사실 자막은 문제가 되지 않아요. 우리에겐 영화라는 공통된 언어가 있습니다.'
국적, 언어, 인종을 넘어 봉감독은 모든 인류에게 영화라는 공동의 언어로 소통했다. 기생충에 전세계 사람들이 큰 지지와 열광을 보내는 이유는 그들과 우리네 삶이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우리의 생김새, 언어, 피부색, 문화가 다 달라도 결국 우리는 한 배를 탄 인류다. 모든 인간은 아프리카에서 왔다. 그런데 우리는 1도의 명도나 채도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보이는 대로 사람을 차별하고 있진 않은지...
내 친구 중 아말리라는 스리랑카 인이 있다. 한국말이 대단히 유창한 아말리지만 그녀는 번번히 한국에서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데 실패했다. 면접까지 다 치르고도 항상 마지막에, 한국의 많은 사장님들은 피부색이 어두워 사람들이 호감을 갖지 못한다는 이유로 채용하지 않았다고, 그녀는 씁쓸하게 고백했다.
또 다른 흑인 친구도 서울의 한 클럽에서 피부색 때문에 입장을 거부당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백인 친구들은 피부색이 하얗다는 이유로 많은 한국 사람들이 자신들에게 호감을 가지는 것을 여러차례 체감한다고 한다. 그 역시 자신들은 인종차별이라 생각한다며.
“모든 인간은 존엄하다고 배웠는데, 우리는 피부색에 따라 사람을 다르게 대하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런데 반대로 우리가 외국에 나가는 경우는 어떠한가? 연간 해외 여행 3천만 명 시대, 많은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가는 요즘, 여전히 우리가 해외에서 당한 인종차별 경험담은 큰 화젯거리가 되곤 한다. 나도 과거에 인종차별을 당한 적이 있다. 백인들이 주류인 유럽과 미국에서, 아시아인을 비하하는 인종차별에 우리는 크게 분노하곤 한다. 피부색으로 인종차별을 하다니 하면서! (스타벅스에서 아시아인 이름을 알아듣기 어려워 찢어진 눈을 -_- 그린다거나, 지나가며 원숭이 흉내를 내는 등). 백인, 황인, 흑인 다르게 생긴 게 그게 뭐가 중요하며, 차별의 이유가 될까?
대학시절 학교에서 만난 동남아시아 또는 아프리카에서 온 친구들은 지나가는 말처럼 '한국인 친구들은 백인 친구들을 더 좋아한다'는 말을 하곤 했다. 그 친구들은 농담처럼 웃으며 말했지만, 듣고 있던 나는 가슴 한켠이 서늘해졌다. 우리나라에 사는 외국인들이 피부색에 따라 다른 우리의 태도를 체감할 정도인데... 우리는, 우리가 인종차별의 피해자인 경우 피부색에만 근거해 개개인을 규정해버리고 차별하는 태도에 분노하면서, 정작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차별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는 둔감한 것 같다. 그리고 부끄럽게도 나 역시 과거에 피부색에 관한 편견이 있었다.
2년 전 스웨덴에서 유학을 할 때 스웨덴에서 처음 만나는 모든 사람들은 내게 스웨덴어로 인사를 건넸다. 관공서에서도, 학교에서도, 파티에서도. 한 사람의 피부색이나 생김새만 보고 '영어'로 인사를 건네면 차별이라는 취지였다. 피부색과 생김새는 주류 백인 스웨덴인과 다르지만 그 사회의 엄연한 구성원이고, 스웨덴인 일수도 있으니까. 전통적으로 스웨덴인은 백인 바이킹 민족의 후예다. 1980년대와 2010년대 중반, 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에서 이민자를 많이 받아들였지만 여전히 수적으로는 백인이 우세하다.
이민자의 나라 미국 여행을 할 때에도 친구는 내게 '대부분 사람들이 네가 미국인인지 한국인인지 모를 것이고, 신경쓰지도 않을 걸? 인종차별 크게 걱정하지마'라고 말했다. 브라질에선 백인, 황인, 흑인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다양한 인종들이 너무나 많은 것도 목격했다. 사실 어떤 피부색을 지니고 있는지가 뭐가 중요한가. 그냥 피부색일 뿐인데.
우리는 보이는 것만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지난 10년 동안 다양한 나라를 여행하며 가장 인상 깊게 배운 점은, 피부색이나 생김새는 차별의 이유가 될 수 없으며 우리가 관계를 맺는데 어떠한 장벽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그저 사람을 사람 자체로 존중하고 사랑하면, 내게 그 존중과 사랑이 되돌아왔다.
물론 나 역시 당장 나와 다르게 생긴 외국인을 길에서 보며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를 건넬 준비가 되어있진 않다. 여전히 내 유전자에는 나와 다르게 생긴 사람 = 외국인이라는 프로그래밍 공식이 입력되어 있으니까. 우리와 피부색은 다르지만 엄연한 한국인인 세계적 모델 한현민을 봤다면, 나 또한 'Hello'라고 첫 인사를 건넸을지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의식적으로 피부색으로 한 사람을 평가하지 않고, 규정짓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면 내가 해외에 나가 차별당할 근거를 스스로 만들어 놓는 것이 아닐까 고민하게 됐다.
인종차별에 대해 불평하기 전에 앞서 나 자신이 인종차별을 하고 있지 않은지 나부터 되돌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