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쓴쓴 Nov 16. 2016

어느 종교인들에게 고함

우리는 사람이고, 사회의 시민이다.

당연히 대안을 제시하는 일은 비판보다 어렵다. 앞선 존재와 개념의 흠을 발견하고 부정하는 일, 곧 비판의 속성에는 창조(이 단어가 본래 가졌으나 잃어버린 두근거리는 싱그러움이 그립다) 활동의 필연적인 부산물인 창작의 고통, 비판에 노출될 위험성, 결괏값의 불안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안 없는 비판을 부득이하게 해야 할 때라면 자신을 그 부정 안에 넣어 행위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나는 이것을 종종 기독교에서 공적인 회개라는 개념으로 써왔다고 본다. 예레미야의 기도나 느헤미야의 통곡처럼 자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나라의 상황과 위험을 각자의 죄의 결과로 끌어안은 채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이라고.


그리스도인은 그러한 성경적 맥락에서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기도로 다해야 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다만 궁금한 것은 지도자들을 향한 예레미야의 책망과 느헤미야의 실제적인 정화운동은 과연 맥락에서 읽어낼 수 없는 것인지 '적용'하면 안 되는 것인지, 이다.


마음속에 일어나는 '비판에 대한 비판'의 도마 위에 자신을 올려보길 바란다. 그리고 사람들의 외침이 다만 권력에 대한 비판이 아닐 수도 있다는, 부끄러움과 자괴감이자 간절한 소망이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발견하길 바란다. 그 이후에 사회적 감수성을 동원하여 '역사적 흐름과 사회적 책무라는 측면'에서 자신이 뉘우쳐야 한다는, 신앙의 한 체계에서라도 회개를 새롭게 이해해보시길 바란다.

작가의 이전글 2016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