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독서 토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ssaytowin Oct 20. 2019

독서 토론 - 「원숭이의 손」


나는 독서 토론 수업 시간에서 '전체에서 부분을 이해하고, 부분에서 전체를 이해하는' 과정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텍스트 전체를 이해하는 과정은 흥미롭게 진행되는데,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텍스트에 말을 걸면, 텍스트가 그 대답을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작품의 위상

이번에 다룰 단편 소설은 W.W. 제이콥스의 「원숭이의 손」이다. 철학적 해석학의 도움을 받는 독자는 이 소설을 정말 매력적인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소설가 이근미 씨에 따르면, 「원숭이의 손」은 대단한 작품이다. 이근미 씨는 "1980년 미국 <워싱턴 포스트>가 ‘근대 200년 영어문학 걸작 50편’을 선정할 때 <원숭이 발>도 포함되었다. 《모비딕》 《노인과 바다》 《위대한 개츠비》 《폭풍의 언덕》 《주홍글씨》 같은 작품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으니 얼마나 대단한 소설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원숭이의 손」은 위에서 언급된 장편의 위상과 견줄 수 있는 높은 완성도를 지녔다. 전개는 매우 흥미진진하다. 이야기가 전개될수록 점점 더 빨라지는 속도감이 이 소설을 더욱 빛나게 만든다.




이야기의 시작

주인공 허버트 씨는 인도에서 근무하고 돌아온 모리스 특무상사를 집으로 초대한다. 그는 덕이 높은 성자가 만든 원숭이의 손을 가지고 온다. 원숭이의 손에는 세 명에게 각각 세 가지 소원을 들어주는 주문이 담겨 있다. 허버트 씨는 모리스 특무상사에게 원숭이의 손을 건네받고, 소원을 이루어달라고 외치면서 끔찍한 이야기는 시작된다. 




마지막 소원은 무엇인가?

이 소설은 철학적 해석학의 특징들을 적용하고 훈련하는 교재로 매우 훌륭하다. 왜냐하면 마지막 소원이 무엇인지 밝히는 과정이 독자에게 주어지기 때문이다. 첫 번째 소원과 두 번째 소원은 소설에 나오지만, 마지막 소원은 나오지 않는다. 웹에서는 「원숭이의 손」에 대한 많은 글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내가 찾아본 거의 모든 글에서는 세 번째 소원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았다. 세 번째 소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일 텐데, 내가 추측하기에는 세 번째 소원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Illustration for "The Monkey's Paw" from Jacobs' short story collection The Lady of the Barge (1902)



세 번째 소원을 찾아내는 방법

철학적 해석학의 도움으로 세 번째 소원을 찾아낼 수 있다. 독자는 소설에서 나오는 모든 부분을 이용해서, 세 번째 소원을 찾아내야 한다. 소설에서는 꽤 많은 부분을 단서로 제공한다. 텍스트에서 찾아낸 단서는 다음과 같다. 


- 세 번째 소원은 첫 번째 소원과 두 번째 소원과 관계가 있으며, 세 가지 소원은 모두 불행한 일의 대가로 이루어진다. 

- 소원이 이루어지는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불행의 크기는 점점 커진다. 

- 원하는 소원은 반드시 이루어지지만, 소원을 비는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 이야기는 점점 더 끔찍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 세 번째 소원과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이어져 있다. 


수업 시간에는 더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위에서 제공받은 단서를 바탕으로 더 자세한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다. 엉뚱한 질문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세 번째 소원을 만드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재미난 시간으로 이끌기도 한다. 세 번째 소원을 찾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마지막 장면을 '이해'하는 것이다. 




마지막 소원이 무엇인지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그리고 찾아낸 소원이 무엇인지 확정할 수 있을까? 

찾아낼 수 있고 확정할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도 세 번째 소원을 이야기했을 때에 설득력 있는 이야기로 들린다면 그것은 확정적인 소원이 된다. 나는 매번 수업이 끝날 때마다 내가 이야기했던 소원보다 더 확정적인 소원을 알아낸 사람이 있다면 꼭 알려달라고 말한다. 아직까지는 없지만, 나와 수업을 했던 학생들이 성년이 되고 이해력이 더 좋아지면, 가장 확정적인 세 번째 소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해석은 '전체에서 부분을 이해하고, 부분에서 전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매거진의 이전글 독서 토론 - 헤르만 헷세, 「공작 나방」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