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슈라 Jul 26. 2020

적게 벌고 적게 쓸수 있을까?


오래 전 온라인에서 본 인상 깊은 기사가 생각난다. 20대의 한 청년의 인터뷰였는데 그는 아르바이트로 조금 일하고 월 60만원을 번다는 내용이었다. 자신은 삶에 만족하다고 했는데 내가 보기에 조금 고독이 느껴졌다.


하얼과 페달은 국내에서 가장 적벌적쓰 인 듯 하다.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17488




현재는 육아로 인해 지역 도심으로 내려왔다고 한다.


오; 난 이 정도까진 못해..


박남준 시인은 통장에 월 200만원만 있고 혹시 더 벌면 나누고 부족하면 부족한데로 산다고 한다. 통장에 200만원을 유지하는 이유는 자신이 언젠가 죽으면 관값(장례비)이란다.

박남준 시인의 책


나도 예전에 그리고 지금도 적벌적쓰를 꿈꾸었다. 그런데 도심에 살다보니, 자본주의의 물에 쪄들어서 쉽지가 않다. 현재 약 월 100만원을 쓰고 있는데 조금 신경쓰면 80만원으로 줄일 수도 있다. 많이 줄이면 월60만원도 충분할 것 같지만 그렇게 되면 삶의 질이 떨어질 것 같다.



의외로 백수시절에 돈을 많이 썻다. 시간이 많다보니 밖에 나가서 맛있는 것도 많이 먹고, 이것저것 하고 싶어 물건도 많이 샀다. 관심있는 모임에도 여기저기 나가다보니 자잘한 지출이 누적되어 큰 눈덩이가 되어버린다. 하지만 그렇게 좋아하는 일에 시간과 돈을 쓰던 시절 참 즐거웠다.



삶의 질과 만족도를 유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돈은 분명 필요하다. 그런데 그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나의 경우는.. 음, 한 80만원? 예비비까지 월 100만원으로 설정하겠다. 프리랜서로 좋아하는 일을 하며 월 100만원을 벌 수 있을까? 많이 고민해봤지만 어려웠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르다. 다시 여행을 떠난다면 영상 제작(유튜브)과 글을 적극적으로 써서 조금의 수익이라도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내 분야의 파트타임 잡으로 가끔 나가면 그것도 조금 수익이 된다. 무엇보다 미니멀리즘의 경험치를 더욱 쌓아 적게 써도 삶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일하고 있는 지금의 수입이 적은 건 아니다. (그렇다고 많은 것도 아니다...) 

여행을 다닌다고 일을 중단하면 지금의 소득은 끊기지만, 기회비용까지 계산한다면 x2가 되지만, 전혀 아쉽지 않다. 돈 보다 더 소중한 삶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일과 여행을 반복한지 8년 째다. 직장 생활은 이제 그만이라며 새로운 일을 하겠다고 떠났지만, 그대로 다시 돌아왔다. 어쩌면 그리 변한 건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이 모습 조차 좋다. 그리고 다시 떠날 수 있는 희망이 있어 좋다. 나이가 들어가지만 젊은 시절로 다시 돌아가고 싶진 않다. 앞으로 더욱 즐거울 미래가 있기 때문이다.



따리 고성의 거리, 중국. 2015










매거진의 이전글 어쩌면 내년에 떠날지도 몰라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