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병태 Apr 27. 2020

A-44. 생각에 가지를, 가지에 또 가지를 쳐라

- 마인드 맵(Mind Map) 기법 - 

1. 마인드 맵이란


마인드맵(Mind Map) 영국의 심리학자 토니 부잔(Tony Buzan)에 의해 1971년에 만들어진 생각도구이다. 마인드맵(Mind Map) 생각하고 있는 기억하고 있는 내용들을 마음속에 지도를 그리듯이 줄거리를 이해하며 정리하는 방법이다마인드 맵은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개발하는 기법으로 사람의 뇌는 사방으로 아이디어를 방출하고 자연적인 고리를 통해 이를 연결하는데, 마인드 맵은 선형적 메모와 달리 이러한 뇌의 작용 방식을 모조한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 복잡한 프로젝트 계획, 비즈니스 기획 안부터 소설 플롯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활용할 수 있다.

 

2. 마인드맵 구성요소


1) 방사형 구조
마인드맵은 대자연의 구성 원리인 방사형 구조로 만든다(아래 예시 참조). 방사형은 중앙의 중심 이미지에서 주가지가 뻗어나가며, 점점 그 굵기가 얇아지는 형태이다. 


2) 중심 이미지
중심 이미지는 주제, 제목, 생각 등을 표현하는 그림이다. 중심 이미지는 가능하면 중앙에 크고 화려하게 입체적으로 그리는 것이 좋다. 만일 스케치북 크기의 종이에 작업한다면 중심 이미지는 적어도 어린아이 주먹 크기 정도로 그리는 것이 좋다.


3) 주가지와 부가지
 주가지는 중심 이미지에 연결된 나무 가지 모양의 선이다. 중심 이미지에 가까울수록 굵고, 밖으로 뻗어나가면서 점점 가늘게 그리는 것이 좋다. 또한 범주 별로 같은 색상으로 구분하면 아이디어와 생각의 정리가 쉽다.


4) 키워드
가지가 끊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키워드는 가능하면 가지 끝이 아닌 가지 위에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지 위에 키워드를 쓸 때는 주의해야 할 것이 있는데 하나의 가지 위에는 하나의 키워드만을 써야 한다.


5) 이미지
손으로 그리는 마인드맵의 특징이 바로 이미지이다. 가능하면 키워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많이 그리는 것이 좋다. 예쁘고 복잡하게 그리는 것보다 간단하지만 다양한 색상을 사용해 입체적으로 그리면 도움이 된다.


 

3. 마인드맵 작성 7원칙


1) 종이의 중심에서 시작한다.

2) 중심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이미지나 사진을 이용한다. (3가지 이상의 색깔)

3) 전체적으로 색깔을 사용한다.

4) 중심 이미지에서 주가지로 연결한다.  주가지의 끝에서부터 부가지로 연결한다. 그리고 부가지의 끝에서 세부 가지를 연결한다.

5) 구부리고 흐름 있게 가지를 만들어라.

6) 각 가지당 하나의 키워드만을 사용하라.

7) 전체적으로 이미지를 사용하라


4. 디지털 마인드 

종이 말고 디지털을 이용할 경우 편집/수정이 쉽고 공유가 간편하며, 다양한 부가기능이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무료로 활용할 수 있다.  



5. 예시 : 중심 이미지 “가을 대한 마인드 


출처 : https://smmi.tistory.com/entry/1-%EB%A7%88%EC%9D%B8%EB%93%9C-%EB%A7%B5%EC%9D%B4-%EB%AC%B4%EC%97






매거진의 이전글 A-43. 칸만 채우면 만들어지는 IDEA와 실천계획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