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병태 Apr 02. 2020

A-38. 창의적 생각을 휘몰아쳐라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oing) 기법

집단의 창조성을 이끌어내기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은 1950년대 알렉스 오스본(Alex Faickney Osborn)이 소개한 '브레인스토밍'이다. 오늘날 누구든지 어떤 난해한 문제나 과제를 만났을 경우, 또한 개인보다는 그룹일 경우 그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브레인스토밍이다.

그렇다면 브레인스토밍이란 무엇인가? 




1.    브레인스토밍의 정의 


브레인스토밍에서 brain은 '두뇌' storm은 '폭풍'또는 '돌격이나 습격'이라는 뜻으로서 뇌에 폭풍을 일으켜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브레인스토밍은 일상적인 사고 기법이 아니라 거침없이 자유롭게 생각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좀 더 다양하고 우수한 아이디어를 얻는 일종의 아이디어 창조 기법이다. 


사진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armspeech3&logNo=220594568466&proxyReferer=http

2.    브레인스토밍 진행 방법 


브레인스토밍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다. 특히  브레인스토밍을 이끌어 가는 진행자(Facilitator)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진행자의 역할을 효과적인 진행 방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아이디어를 주고받기 편하도록 참여자는 5~8명으로 한다

○   사전에 진행 규칙과 내용은 안내하도록 한다

○   회의가 시작되면 규칙 내용을 다시 한번 주지 시킨다

○   리더 1명과 서기 1명을 정한다. 

○   진행 시간은 1시간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   아이디어가 원활히 나올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아이스 브레이킹)

○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거나 침묵하면 중재자가 토론에 개입한다

○   서기는 도출되는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   시간 종료 후 유사 내용을 그룹핑한다. 

○   그룹 단위로 묶인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   가장 좋은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사진출처 : http://pwkdesign.com/?p=364


3. 브레인스토밍 4원칙


○ 비판금지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는 절대로 비판하지 않는다. 비판받은 사람은 움츠려 들게 마련이고 이는 다른 모든 이들로 하여금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을 제한하게 만든다. 제출된 아이디어를 비판하지 않는다.


○  자유분방 : 자유분방한 분위기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환영하며, 시간제한을 둔다. 자유로운 발상으로 아이디어의 한계를 극복해 본다.  어리석게 보이는 아이디어도 의무적으로 제출시킨다.


○ 질보다 양 : 질보다 양을 추구하며 아이디어의 수가 많으면 그중에 좋은 아이디어가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제출시킨다.


○ Idea에 편승 : 모든 아이디어를 참가자들이 볼 수 있도록 기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에 편승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게 된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킨다.

4. 브레인스토밍의 장단점


브레인스토밍의 창시자 오스본(Osborn)은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창의성의 성과가 개인의 성과보다 50%는 더 높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60년이 흐른 지금까지, 이 주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장점과 단점이 분명하게 존재하는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먼저 브레인스토밍의 장점은 (1) 주제의 다양성(Variety of subject)이다브레인스토밍은 쉽게 실행할 수 있고, '무엇이 옳은지, 어떠한 대안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 좋을지'와 같은 판단을 필요로 하는 주제가 아니라면,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도 브레인스토밍을 할 수 있다. (2)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 있다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의 질보다 양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다량의 아이디어를 도출해낸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참고하여 창의적으로 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가지 발상들이 모여 수정되고 개선하는 방안을 거치면 대단한 아이디어가 도출될 수도 있다. (3) 표현의 자유(Freedom of speech)이다브레인스토밍은 비판과 비난을 자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집단의 구성원들이 비교적 부담 없이 의견을 표출할 수 있다. (4) 효율적 시간관리(Time management)이다브레인스토밍은 한 시간 이내로 권장하고 40분 정도 발상 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아이디어 회의의 시간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브레인스토밍의 단점은 (1) 산출 방해(Production blocking) 나타난다브레인스토밍은 타인의 이야기를 경청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타인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에서 자신의 아이디어 산출을 방해할 수 있다. 그룹 내에 집단적 성향을 가진 사람이 많은 경우, 일치를 강요하는 압력이 있을 경우, 자신의 의견을 왜곡하여 발언하기도 한다. (2) 평가 불안(Evaluation apprehension) 작용한다브레인스토밍은 비판금지를 원칙으로 하지만 집단 내에 권위 인물이 존재하거나 집단 성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불안을 느낄 때 훨씬 적은 아이디어가 생성된다. 또한 대다수의 의견과 유사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강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3) 무임승차/태만(Free riding/Social loafing) 나타난다아이디어가 집단 수준에 합해지기 때문에 다른 구성원들의 노력에 단순히 무임승차하는 링겔만 효과[1]가 나타난다. 또한 브레인스토밍으로 도출된 아이디어나 결론에 대하여 그룹 구성원 모두가 최선의 결과라고 여기게 되어 단점이나 비판점을 간과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4) 시간 낭비(Wasting time)가 될 수도 있다브레인스토밍 시 아이디어에 대한 기준이나 목적이 불확실하거나, 목표에 대한 성취동기가 없는 경우 과도한 시간이 투자되어 오히려 작업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너무 많은 인원이 참여할 경우 오히려 시간의 낭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1] 링겔만 효과  - 집단 속에 참여하는 개인의 수가 늘어갈수록 성과에 대한 1인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 즉, 그룹 속에 참여하는 개인의 수가 늘어날수록 1인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혼자서 일할 때보다 집단 속에서 함께 일할 때 노력을 덜 기울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A-37. 창의적인 것은 연습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