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병태 Apr 06. 2020

A-40. 조용히 그러나 강하게 창의(創意)하라

브레인라이팅(침묵의 브레인스토밍) 기법


중앙일보 : https://news.joins.com/article/20709257

우리가 창의력을 떠 올릴 때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방법 말고는 없을까?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답을 필요로 하는 문제에 대해 빠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산해낼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은 한두 사람의 아이디어에 의해 진행되거나 대세에 치중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개념이 아이디어를 종이에 적어 만들어 내는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이다.

 



1. 브레인라이팅이란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은 독일의 베른트 로르바흐(Bernd Rohrbach) 교수가 창안한 아이디어 발상법이다. ‘침묵의 브레인스토밍’이라고도 한다. 이 기법이 만들어지게 된 동기는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을 직접 해보면 모임을 리드하는 몇몇 사람들만 열심히 하고 정리되는 경우가 많다.

사진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2192621&tag=

그러나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은 책상에 둘러앉아 각자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글로 적은 후 종이를 옆으로 돌려 의견을 공유하는 것이다. 옆 사람은 아이디어를 읽은 후 더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가하고 다시 옆 사람에게 넘긴다. 이 과정을 반복해 한 바퀴를 돌고 나면 자신과 동료들의 생각을 읽으며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은 한쪽에 치우치거나 명쳠 사람의 주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은 기존의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보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40% 더 생산한다고 알려졌다. 침묵 속에서 참가자들 개개인의 사고를 최대로 살리며 집단 발상의 장점도 살릴 수 있다.



 2. 진행방법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의 일반적인 진행방법은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     

함께 할 주제 또는 질문을 정한다.

각자 포스트잇에 질문에 대한 생각을 적게 합니다. 포스트잇 한 장에 한 가지 생각만  쓰게 한다.

포스트 잇을 모두가 볼 수 있는 벽에 붙인 다음 참가자 모두가 주제별로 분류해가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635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의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브레인라이팅 양식을 준비하고 진행할 주제를 정한다.

6명을 한 조로 구성한다. (꼭 6명이 아니어도 된다.)

5분 이내에 1번 참여자가 3개의 아이디어를 적고 2번 참여자에게 전달한다.

2번째 참여자도 역시 5분 이내에 3개의 아이디어를 적는다.

위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

내용이 다 채워지면 함께 이야기하면서 좋은 아이디어에 표시를 하고, 해당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나눈다.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을 위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브레인라이팅 양식

포스트잇

네임펜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의 주의할 점은,

포스트잇을 분류할 때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분류하는 것이 좋다. 분류가 어려운 경우 일단 남겨두었다가 전체적인 분류가 끝난 후에 다시 생각해서 분류를 한다.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는 쓴 사람에게 정확한 의도를 물어본다.

브레인라이팅은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참여 의도와 목표가 명확히 공유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3.  브레인 라이팅의 장단점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의 장점은 (1)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사고하고, 발언자가 특정인에게 치우치지 않는다. (2)  침묵을 통해 개인 발상을 하므로 발언을 통해 사고가 방해되는 단점이 없다. (3) 발표를 망설이는 다수의 의견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중에 ‘6-3-5 브레인라이팅’은 6명의 사람이 모여 각자 3개의 아이디어를 5분 안에 내는 것이다. 3개의 행으로 나뉜 종이에 아이디어 세 개를 적고 옆으로 돌리는 것이다. 한 바퀴가 돌고 나면 30분에 총 108개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의 단점은  참가자 간에 서로 자극하는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조용히 자기의 생각을 종이에 적기만 하기 때문에 상승효과가 다소 낮을 수 있으므로 진행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A-39. 두뇌 활동에 '질문'을 담아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