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는이가 Apr 22. 2020

엄마는 불만 없이 수건을 개키고 계셨다.

나도 엄마를 따라 수건을 접는데 게을리하지 않았었다.

접은 수건을 다시 꼭꼭 눌러 수건장에 욱여넣고 계신 엄마를 지켜보다가 왜 힘들게 그래야 하는지 물었다.


“수건장이 그렇게 생겼으니까 그렇지!”

엄마는 뭐 그런 질문이 있느냐는 듯 받아치셨다.



긴 직사각형의 수건을 반으로 접어 정사각형으로 만들고 그 정사각형을 또 접어 작은 직사각형으로, 그 직사각형은 왼쪽 오른쪽에서 각 1/3씩 가져와 손안에 들어가는 직사각형으로 접는 방식.



내가 기억하는 수건장들은 늘 변기 위쪽에 자리했는데 그들은 변기 이용자에게 행여 누가 될까 긴장해서 최대한 납작하게 벽에 붙어있었다. 경험한 대부분의 집이 그랬다. 그 수건장의 태도가 인간의 도리라도 되는 양 나도 엄마를 따라 그렇게 접은 수건을 밀어 넣는데 게을리하지 않았다.



지금은 그렇게 접지 않는데 그 시작은 수건장이 따로 없는 시골집에서 내 살림을 차리고부터다.



귀촌해서 그이 혼자 집 짓는 동안 월세로 살았던 시골집. 임시로 잠깐 거쳐갈 줄 알았는데 2년을 훌쩍 넘기고야 흙집을 떠날 수 있었다.

수십 년의 세월에 바닥도 벽도 기울어져 미닫이문 여닫기가 황소고집인 시골 흙집은 모든 것이 규격과 거리가 멀었다. 다행히 푸세식 화장실은 면했지만 수건장이 따로 없었기에 큰 바구니를 선반에 두고 수건장으로 사용해야 했다.


두 번 접은 수건을 느슨한 바구니에 헐렁하게 쌓기


사용해보니 일하는 사람이 편한 이 방식이 좋았다. 수건 접기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 낮잠을 자면 어떠한가? 그리하여 우리가 직접 지은 집의 수건장은 세면대 하부장에 큼지막하게 자리하게 되었다.


정해진 수건장이 없고서야 내 성격에 맞는 수건장이 생긴 것이다. 서울을, 한국을 벗어나고서야 시골에 살아볼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살던 집, 직업, 친구들.

그이와 나는 이민을 간답시고 우리의 몸뚱이만 빼고 다 정리했었다. 그렇게 아무것도 아닌 채 한국 밖 여기저기를 굴러다니다 보니, 우리가 추구하고 원하는 대략의 목차가 드문드문 드러나더라.


저 하늘에 구름 대신 띄운 행복을 좇아, 지도 없이 하루하루 살다 보니 남쪽 마을에서 내 게으름을 받아주는 수건장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제자리 못 찾은 물건들. 아직도 집을 짓고 있는 중이다.


우리가 지은 집을 둘러본 가족은 한 마디씩 하신다.


“방문은 없냐?”

-방이 없으니까요~^^;


“천정이 높아서 불안하지 않아?”

-높은 천정이 저는 여유로워요~^^;


“화장실에 슬리퍼가 있어야지.”

-샤워실을 뺀 나머지는 건식이에요~^^;


“인덕션이 3구는 돼야지 손님 오면 어쩌려고?”

-손님까지 집 구성원에 넣을 수는 없는걸요~^^;


“냉장고 큰 걸로 바꿔라.”

-너무 먼 훗날의 걱정까지 저장하진 않을래요 ^^;



처음에는 누구나 하는 의구심을 일일이 채워드렸으나 이제 우리는 웃어넘기고 만다.


내 취향과 생활패턴과 분수에 맞는, 내 몸에 딱 맞는 집을 만드는 동안은 힘껏 휘두른 망치가 내 손을 내리쳐 눈물이 핑 돌아도 웃을 수 있었다.


오늘도 웃으며 혼자 집짓기 프로젝트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집짓기의 한 조각을 유튜브에 영상으로 담았습니다.

https://youtu.be/k8T06ELUwYg

감사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