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상영 May 19. 2020

택시 운전사

셋넷 영화이야기 10 : 부끄러움


나는 공수부대 장교였다. 

    

천하제일 1공수 특전여단 3대대. 1987년, 나는 거기 있었다. 동시대 젊은이들보다 꽤 쓸모 있는 골격과 짐승 같은 체력 덕분이었다. 핏빛 하나 없는 죄 없는 푸르른 하늘을 가르고 낙하산을 타면서 가문과 수놈의 영광을 새삼 기억해야 했다. 최고의 훈련을 견뎌야 한다는 수상한 소문에 난생처음 쫄았다. 다행히 밤이건 낮이건 산속을 걷는데 별 어려움이 없었고, 보이는 건 닥치는대로 맞춰 자빠뜨리는 사격술에 나 자신도 놀랐다. 덕분에 공수부대 장교생활은 그럭 저럭을 넘어서, 쌩뽐 잡는 공수부대 하사관 요원들을 조롱할 수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늙은 중사들이 술 취한 혓바닥으로 1980년 광주를 얘기했다. 차마 그 누구도 언급할 수 없었던 그곳, 그 사람들. 그들은 아프리카 동물 사냥하는 사파리 여행을 추억하듯 광주 투입 작전을 떠들어댔다. 그들은 적어도 내게 정상적인 사람이었고, 때때로 부인과 애들을 사랑하는 지극히 인간적인 특수부대 요원들이었다. 그 얘기를 듣기 전, 그들과 태연히 술을 마시고 험난한 훈련을 하면서 동지애를 돈독히 했었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촌스러운 택시 기사가 나를 이끌고 간 곳에 어쩌면 반가웠을 김중사, 박중사가 신나게 인간 사냥질을 하고 있었다. 군인으로서 명령을 성실하게 수행했을 뿐이라고 했지만, 1980년 5월 역사현장을 극화시킨 영화 속 최중사 이중사 권중사는 신이 나 있었다. 왜 그랬을까? 그들의 육신은 대한민국 최고였고 특등 사수들이었다. 그들 눈은 대한민국 누구보다 더 정확하게 목표물을 선별하는 특수훈련을 수없이 거쳤다. 태극기와 주먹밥을 들고 있던 사람들은 무장한 군인들이 아니었다. 군에 오기 전 고향마을 가족이나 친구 누군가를 떠올릴 법한 선량한 사람들이었다. 한 번 눈길만으로 판단해도 광주 거리를 가득 메웠던 사람들은 특수 훈련을 받은 무시무시한 빨갱이들이 아니라 너무나도 나약한 일개 시민들이었다. 어쩌면 지난 휴가 때 들렀던 술집에서 우연히 술잔을 나누던 순박한 사람들이었다.      


대체 왜 그랬을까? 캄캄한 밤 야간사격에서도 70% 명중률을 자랑하던 전사들이,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무자비하게 총질을 하고 몽둥이질하면서 사람의 거리를 피로 물들게 했을까? 얼룩무늬 화려한 군복을 입고 광주 거리를 활보하며 총과 몽둥이로 지극히 평범한 생명 남녀노소를 무자비하게 닥치는 대로 살육하고 있었다. 영문도 모른 채 쫓기던 남녀들, 부상당해 피 흘리며 버려져 있던 사람들, 다친 사람들을 구하려고 애타게 달려들던 사람들조차 모조리 사냥감이 되었다. 부상자들을 구하려고 골목에서 용기 있게 걸어 나오던 하얀 깃발은 천하제일 전사들의 사격 신호가 되어 검붉게 물들었다. 안 되면 되게 하라는 특전부대 용사들은 돌이킬 수도 없고, 용납될 수도 없는 악마의 화신이 되어 상상할 수 없는 죄악을 저질렀다. 신의 장난질이라면 참으로 잔인하고, 실수라면 전능의 신이라 할 수 없는 처참한 실수였다.       


지금 나는, 술 취한 대학생을 부축하며 불성실을 질타하는 택시 운전사만큼의 이기적 감성으로 야만의 시절들을 돌이킨다. 피비린내 가득한 광주 거리를 뒤로한 채 눈물을 그렁거리며 어쩔 줄 몰라하는 택시 운전사만큼도 못한 비겁한 감성으로 한없이 부끄럽기만 한 천하제일 공수부대 시절을 떠올린다. 고물 자동차를 애지중지하며 조용필 노래를 흥얼대는 택시 운전사보다 못한 내 인생을 턱 없이 거룩해하며, 태극기 휘날리며 애국가 부르다 자기네 나라 군인들 총에 스러져간 애틋한 삶들을 부끄럼으로 우러른다. 



*제목 그림 : 클림트의 '가족'(1918)




작가의 이전글 디태치먼트(DETACHMENT)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