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군의 탐구생활 Jun 15. 2022

직장에서 꼰대가 되고 싶지 않다면

직장에서 수평적 관계를 망가트리는 생각

벤처기업의 채용공고를 보다 보면 이런 소개글을 많이 본다 ‘수평적 구조’ ‘수평적인 의사 결정’

이제는 풍자적 의미가 강해진 ‘가족 같은 분위기’의

요즘 버전인 것 같지만 도대체 수평적 관계가 직장

생활에서는 어떤 의미인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지가 궁금해진다.


꼰대적 직장 생활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시키는 대로 해라’ 혹은 ‘까라면 까라’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조직생활에서 목표를 달성하려면 모든 의사가 다 존중될 수 없다는 것을 잘 안다. 다만 그 가운데

의사 표현이 얼마나 자유롭게 될 수 있냐가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할많하않

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 이 말은 어차피 말해봐야 달라질 것 없으니 말하지 않겠다는 의미일 것이다. 업무 중에는 수많은 의사결정의 순간이 있고 그 가운데는 많은 의견 수렴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매번 의견을 내도 수용되지 않고 결국 상사의 생각대로 결정된다면 할 말이 있어도 하지 않게 되는 자발적 벙어리가 된다.


조직원이, 부하직원이 ‘할많하않상태가 되면 상사는 꼰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직원은 상사의 의견에 동의해서가아니라 지위에 의해 결정되어버리는 상태가 된다. 말해서  하나 하는 패배감과 동시에 잃어버린 자발성은 동기부여도 떨어뜨린다.


상사가 직원의 ‘할많하않’ 상태를 깨달으면 괜찮을 수도 있다. 팀원의 의도는 알았으나 상황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걸 서로가 인지한다면 의사소통의 통로는

열려있을테깐 말이다. 만약 상사가 이상태를 모른다면, 직원이 내 말을 잘 듣는다고 착각하며 식물인간이

되어가는 줄 모른다면 조직은 경직되어 버릴 것이다.


직원의 말을 모두 수용할 수는 없다. 객관적으로 살펴봤을 때 경험과 지식이 낮은 사람이 미숙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꼰대가 되지 않을 수 있을까?

자그마한 일들이나 둘 다 맞는 경우에는 직원의 의견을 수용해주고 혼자 가보게 하자. 그 가운데 시행착오도 있을 수 있지만 똘똘한 구성원이라면 일일이 말해주는 것보다 더 빠른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더불어 그 직원은 스스로의 자발성을 갖게 되고 효용성을 느끼게 되어 동기부여가 더 잘 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디까지가 내 업무범위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