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속으로만 Dec 22. 2020

그렇게 사업이 내게로 왔다 (1)

사업은 아무나 하나

20년 넘는 직장 생활 동안,
회사 밖에 몰랐던 사람이
창업을 하고 투잡이란 것을 하게 되면서
마흔여섯 나이에 비로소 알게 된 것들, 하게 된 생각들을
스스로 기억하기 위해 기록합니다

몹쓸 기억력의 소유자이기에,
이렇게라도 기록해 두지 않으면 
지금의 떨림과 설렘과 두려움을 
언제 그랬냐는 듯 
잊어버릴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월급쟁이가 천직이라고 믿던 때가 있었다. 주변인들에 비해 조직 생활도 꽤 잘 한다고 생각했다. 모든 매니저들과 잘 맞았던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나와 맞지 않는 매니저들과도 나는 잘 맞출 수 있고 그들과의 조율 작업을 그리 어렵지 않게 해 낸다고 자신했다.


역시 단언은 함부로 하는 게 아니다. 40대가 지나 나도 꼰대가 되어선지, 도무지 맞추지를 못 하겠는 순간이 도래했다. 위만 문제가 아니라 좌우, 아래가 다 하나같이 제발 좀 지들이 나한테 좀 맞추지, 내가 맞추기만을 기다리는 상황 같았다. 사람에게 치이니 일이 잘 될 리 없었다. 집중할라 치면 인물들의 얼굴이 머리 속을 동동거렸다. 이 일을 저 사람한테 말하면 또 뭐라고 딴지를 걸까, 저 회의에서 어떻게 발표하면 까이지 않고 조용히 넘어갈 수 있을까. 그야말로 주객이 전도되어 본질과 상관없는 쓸데없는 생각들이 머리 속을 꽉 채우며 좀처럼 진도를 나가지 못했다. 


그렇게 조직에서 벼랑 끝에 놓인 것 같았을 때 어느새 내게도 사업이라는 단어가 또아리를 틀었다. 


회사와 나의 관계가 한 쪽은 헤어질 때가 됐다고 생각하고 한 쪽은 아직 아니라고 믿는 연인 관계, 즉 회사는 내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상태, 더 나은 연인을 찾는 게 나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기 시작했고, 나는 이별 통보를 받을 준비가 안 돼 있는 그런 상황에 빗대니 기가 막히게 싱크로가 맞았다. 


내 연인은 절대 자기가 먼저 헤어지자고 악역 맡기는 싫어하는 우유부단의 결정체이고, 이걸 다행으로 여겨야 할 지 불행으로 받아들여야 할 지 판단하기 전에 그런 연인과의 관계를 지속해야 하냐는 자문을 하게 된 이상 이 관계는 건강하지 않은 것. 관계 회복을 하거나, 이별에 대비하거나, 선수를 치거나 셋 중 하나인데, 아마도 예전 같으면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부단히 애를 썼겠지만 성공률이 안 높으니 첫번째 카드는 아웃. 이별을 기정사실화 하고 철저히 대비하거나 선수를 쳐 버리는 것 중 두 개의 카드가 남았다.


언젠가는 할 이별이기에 남은 카드 두개는 시간차만 있지 실상 같은 카드다. 그렇다면 바로 헤어지든, 조금 나중에 헤어지든 이별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 걸까? 


사업은 그렇게 내게 왔다. IMF 때 부도난 아버지 사업 때문에 집에서 사업이란 말은 금기어 이다시피 했고, 내 사업을 한다는 건 월급쟁이 20년 동안 하루 이상 생각 해 본 적 없는 남의 것이었다. 치킨집과 파리바게뜨가 단숨에 떠오르는 퇴직자들의 그런 것 아니면 매 순간 아이디어를 주체할 수 없는 스타텁 창업자들의 그런 것. 


하지만 한 편으론, 영어 공부하려고 들었던 how i built this 같은 팟캐스트에서 유수의 창업자들이 하는 이야기를 들어보면 많이들 우연한 기회와 작은 목적으로 시작하니 사업이 별 것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그렇게 평생 소비자로만 살던 내게 판매자라는 상이 맺혔고, 한번 'why not'을 외치고 나자 그 생각에는 엄청난 추진력이 붙었다. 




to be continued



작가의 이전글 밥벌이의 신성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