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린 Jan 26. 2024

글을 쓰겠다는 갈망에서 결정으로

로마 이야기, 줌바 라히리


잘하고자 하는 마음이 클수록 망설이고 주저하게 된다. 글을 쓰겠다는 목표는 대학을 들어가고 나서였나, 에세이에 흠뻑 빠져있던 때부터 가슴에 품고 있었다. 그게 벌써 10년이 되어가니, 참 세월이 야속하다. 글쓰기를 시작하는 게 이토록 오래 걸린 이유는, 정말 잘 쓰고 싶었기 때문이다.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할 만한, 매력적인 글을 쓰고 싶었다. 이 사람, 저 사람의 글을 보며 글을 잘 쓰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시간을 오래 보냈다. '이 사람은 마치 내가 그 장면에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참 잘 쓴다!', '우와, 이 사람은 툭툭 내뱉듯이 담백하게 감정을 전달하네.' 여러 사람의 글을 읽는 것에 빠져 정작 '내가 글 쓰는 것'은 어느 순간 뒷전이 되었다. 


글쓰기는 독서보다 어렵다. 무엇을 쓸지 고민해야 하고 그걸 나 혼자 보는 일기에 적을지 불특정다수에게 공유할지 어떤 소재로 글을 써야 꾸준히 쓸 수 있을지 등 시작하기도 전에 넘어야 할 장애물이 한가득이다. 그러다가 ‘내가 정말 잘할 수 있을까?’라는 의심이 마음속에 싹 들어오는 순간, ‘글쓰기는 무슨, 그냥 책이나 읽자!’로 이어졌다. 그러고 나서는 책을 읽으며 작가들의 재능이 부럽다고 자기합리화하며 질투했다. 그런 데 에너지를 쓸 바에야 본인 글 쓰는 데 집중했으면 참 좋았을 텐데 말이다. 비장하게 다짐만 수십 번, 정보 수집만 한가득. 실상은 독서로 회피.


미루고 미루게 되는 심리는 아무래도 완벽주의에 기인하는 듯하다. 내가 이것만 채우면 좀 더 나은 글쓰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 또 글쓰기 환경을 먼저 세팅한 이후에 시작을 해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각종 준비만 철저히 하다 보니 결국 남는 건 초조함과 자기 패배감뿐이었다. 더 이상 글쓰기를 미룰 수 없다는 위기감이 들었다. 완벽하게 준비되지 않았더라도 일단 시작하고 생각해 보자고 결정했다. 그렇게 갈망이 결정이 되었다. 


어느 책에서 읽었는데,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고 우리의 뇌는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디자인되어있다고 한다. 즉, 익숙하게 살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걸 도전할 경우 반발력이 엄청나게 발생하는 거다. 그렇기에 내가 지금까지 책을 읽는 독자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데 익숙해져 있었기에, 나의 이야기를 직접 쓴다는 건 스스로에게 새로운 도전으로 여겨져 지연시간이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무려 10년이나. 나의 완벽주의가 심해서라고 스스로에게 모질게 대하고 싶진 않다. 이건 뇌과학의 영역인거다(?) 변화를 받아들이기 위한 시간이었던 거다. 시간이 오래 걸린 만큼 나에게 글쓰기는 중요한 일이었고, 내가 잘하고 싶은 마음이 크기 때문에 준비 시간을 가진 거라 생각해 본다. 반발력을 이기고 변화를 맞이나 나 자신, 칭찬한다. 자랑스럽다.


이제 시작을 했으니 문제는 꾸준함이다. 슬금슬금 잘하려는 마음이 다시 고개를 내밀기 시작하니 손가락이 굳고 목이 뻣뻣해진다. 잘하고 싶은 마음에 힘이 자꾸 들어간다. 그 마음을 억누르지 않고 가만히 바라보니 조금씩 호흡이 가라앉는다. 아마 글을 쓰는 동안 이런 상황을 계속 마주하게 되겠지. 변화한다는 건 불안정함을 견디는 일인 것 같다. 새로운 시도와 용기 있는 행동이 변화를 이끌어가는 동시에 예전의 나로 다시 돌이키게 하려는 마찰력이 함께 작용한다. 오늘은 변화에 한 발 가까이 선 걸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