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희권 Mar 11. 2022

모든 게임에는 끝이 있다.

게임 밖으로 나아간 서른살 즈음 

 어떤 분야건 그 일을 오래 한 분들 중에는 그 일과 자신이 운명적인 것으로 엮여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 직업을 나타내는 말 중 우리말로는 천직이라고 표현되는 영어의 Calling이라는 말은 아마 그런 분들을 위한 것이리라. 

고등학교 다닐 때는 가톨릭 신부가 되고 싶어 예비 신학생 모임을 6개월 정도 나갔었는데, 거기서 소명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다. 신부는 자기가 되고 싶어서 하는 게 아니라 하느님의 부르심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덕분에 그 모임을 그만 나가겠다고 말할 때 아무런 마음의 짐 같은걸 느끼지 않았다. 나한테 그런 소명 같은 건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만 해도) 기도하고 명상하는 삶은 멋지다고 생각했고, 번거로운 소유 없이 독신으로 살다 가는 것도 딱히 나쁠 것 같지 않았다. 그리고 봉사하는 삶은 아름답고 존경스럽지 않은가?(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딱히 누군가 나를 부르거나 한 일은 없었다. 그건 아주 명확한 사실이었다.  


중학생 때 그토록 감명 깊게 읽었던 데미안의 유명한 구절 ‘나는 나 자신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삶을 살고 싶었을 뿐이다. 그런데 그것이 왜 그렇게 어려웠던가?’ 이 구절도 나를 포함 수많은 사람을 불필요하게 힘들게 만든 구절이라 생각한다. (지금 생각하면 이게 상당히 중2병스러운 말이기도 하다. 굉장히 교양 있는 중2가 했음직한)  수십억 년 전 지구 어떤 구석, 평화롭고 따뜻한 햇볕이 비치는 암모니아와 인산염으로 충만한 평화로운 진흙 구덩이에 번개가 떨어져 지구 상에 첫 번째 원시 생명  발생한 이후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삶은 우연과 환경, 그리고 유전에 영향받고 학습된 믿음체계의 결과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우연의 결과라고 해도 자신의 직업을 천직으로 여기는 분들 중에는 존경스러운 분들이 많은데, 그것은 직업 자체보다는 그분들이 하는 일에 임하는 태도, 그리고 그 일이 만들어 내는 사회적인 가치 때문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열심히 살아야 하는 얼마 안 되는 이유 중에 하나도 거기 있지 않을까? 


 내가 20년이라는 세월을 보낸 게임 만드는 일도 사실은 그냥 우연의 산물이다. 나는 딱히 인생에 대단한 목표 같은 것도 없는 사람이었고, 그냥 재미있는 일을 좋아했을 뿐이다. 몇 가지 일을 계기로 그걸 소비하는 입장에서 창작하는 일을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 계기란 것도 지금 생각하면 약간은 슬프고 좀 웃기는 일이었다. 


 딱히 인생의 목표도 없이 직장에서 게임을 하고 그 보고서를 쓰며 살고 있었던 때 나는 소개팅을 하게  됐다. 상대는 방송국에서 글을 쓰는 작가라고 했다. 별 생각도 기대도 없이 나간 자리였지만 세 번째 만났을 때 나는 그 사람을 좋아하게 됐는데 그건 그날이 내 생일이라고 말하자 그분이 내게 위화의 소설 허삼관 매혈기라는 소설을 선물했기 때문이었다. “예쁘고 책 좋아하는 여자”라는 나의 단순하기 그지없는 여성관에 딱 들어맞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요즘과는 달리 당시에는 연애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탐색의 시간이 길었던 데다 내가 당시에는 그 분야의 주변머리가 심각하게 모자랐던 관계로, 주말이 되면 습관적으로 전화를 하고 밥을 먹고 영화를 보거나 이야기를 하고 헤어지는, 마치 도킹에 실패해서 계속 궤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과 우주정거장 같은 데이트를 하곤 했다.  


 그러다가 주말 강남역에 있는 카페에서 만나기로 한 어느 날, 나는 한 시간 정도 지각을 해버리고 말았다. 

당시는 PC 온라인 게임 에버퀘스트에 푹 빠져 있을 때로 일주일에 120시간 이상을 게임만 할때였할 때였는데, 데이트 전날, 내가 속한 길드 ‘노라쓰의 경로당’에서는 당시 열린 얼음 대륙 벨리어스의 가장 상위 던전, 모든 드래곤들의 어머니인 비샨의 사원에 도전하기로 결정했던 것이다.  

 당시 내가 속한 길드는 그 사원에 도전하기 위해 용들과 맞서는 아이스 자이언트들을 수개월간 사냥해왔다. 용들의 사원 가장 깊은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드래곤과 서로 증오하는 사이인 자이언트들을 사냥하여 드래곤들의 환심을 사야 했다. 용들의 믿음을 산 덕에 사원 입구를 지키는 수많은 드래곤들을 지나쳐 들어가, 귀한 아이템을 갖고 있는 그들의 보스가 잠들어 있는 사원의 가장 깊은 곳까지 갈 수 있는 것이다. 그를 쓰러뜨리고 드래곤 슬레이어의 영광과 귀한 아이템들을 얻기 위한 이 수개월짜리 배신극에서 빠질 수는 없었다.   

 길드원 50명이 동시 접속해서 대여섯 번 전원 전멸당하는 소동을 겪고 마침내 드래곤 보스를 쓰러뜨리고 났을 때는 이미 새벽 네시가 지나 있었다. 그러고는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에 들어가 대강 씻고 눈을 붙인다는 게 그냥 곯아떨어져 버린 것이다.


평화롭고 따뜻한 햇볕이 비치는 카페 창가에서 그녀는 다가오는 나를 바라보았다.  

커피를 시키고 자리에 앉자 그녀는 내게 물었다. 


“그래서, 왜 이리 늦었어요?” 


나는 대단히 정직하게 대답했다.


“새벽 네시까지 용 잡았어요.”


“네?”


나는 무척 친절하고 자세히 그녀에게 설명을 했다.

태곳적, 모든 용들의 어머니인 비샨이 발톱을 세워 흔적을 남긴 벨리어스 대륙과 비샨의 자손인 로드 나가펜과 레이디복스 이야기 그리고 얼음대륙 벨리어스를 삼등분하는 아이스 자이언트와 아이스 드워프, 그리고 드래건들의 역사에 대해 설명을 하고 

 대부분 노총각으로 구성된 길드원 50명이 새벽 네시까지 그들의 드래곤의 사원에서 레이드를 진행하며 여러 번 전멸한 끝에 마침내 보스를 쓰러뜨린 이야기까지 했을 때 그녀는 내 말을 끊고 물었다. 


“그래, 그렇게 고생해서 희권 씨는 뭐가 생겼어요?”


나는 대답했다. 


“민첩성 11 올려주고 냉기 방어 20 붙은 팔찌를 주사위 굴려서 먹었어요” 


그녀는 하얀 손등 위에 예쁜 턱을 올려놓고는 

내가 태어나서 그때까지 본 여자의 미소 중에 가장 따뜻한 미소를 지었다. 

나는 생각했다. 


‘ 아 진짜 예쁘다.’ 


그리고 그 이후 그녀는 전화를 받지 않았다. 

두 번째 전화를 할 때쯤 에서야 나는 우리 사이에 생긴 변화를 알 수 있었다.  


꼭 이 사건 때문 만은 아니었지만, 그때쯤 나는 내 삶에 변화를 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게임이라는 마법의 원 안에서의 삶도 충분히 재미있었지만, 모든 게임에는 엔딩이 있다.


무슨 일을 할 것인가?

그전에 철학으로 유학을 가기 위해 준비 했었지만 이제 학문에 그런 열정은 없었다. 

이전 직장을 그만두면서, 다시는 넥타이 매는 직장은 다니지 않겠다는 다짐을 했다.

나는 당시만 해도 내가 정말 잘 안다고 생각하던 (착각이란 걸 깨닫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다.) 

게임을 창작하는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건 내가 즐기던 게임 밖으로 나아가는 것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더 크고 다른 종류의 게임을 시작하겠다는 결정이기도 했다. 

서른 살을 넘긴 어느 날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하프엘프 레인저 아네모네 윈드체이서의 일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