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그배나무 Dec 30. 2021

한의학과 의학의 접점을 찾아서

한방의 '음양 평형'과 양방의 '구조와 기능'

한의학과 의학의 공유 지점은 '몸'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한방생리학에서 몸은 음양평형(陰陽平衡)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 원리는 양방의 '항상성(恒常性, homeostasis)'와 만나게 된다. 양방생리학의 핵심은 항상성인데, 모든 세포와 조직 그리고 기관들이 이것을 유지하고자 협력한다. 한편 음양의 조화가 깨지는 음양실조(陰陽失調) 상태가 한방병리의 핵심인데, 양방병리에서는 질환(disease)으로 표현한다. 음양실조를 음양평형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을 치료라 하여 한방에서는 침, 뜸, 약을 사용한다. 양방은 약을 비롯해서 고도의 외과적 기법을 구사한다.


한방과 양방은 몸은 바라보는 관점이나 치료하는 관점이 출발이 다르다. 치료기법의 간극은 더욱 크다. 하지만 한방이나 양방 모두 인체가 평소에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회복하는데 공유점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몸을 바라보는 기본 관점: '구조와 기능(structure & function)'

몸을 바라보는 양방 생리학의 관점은 '구조와 기능' 으로 수렴된다. 예를 들어 심장은 혈액을  받아서 전신으로 펌프질 하기 좋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즉 혈액을 받아서 다시  전신으로  순환(기능)시키기에 적합하도록 4개의 방으로 되어 있다. 심장근육(구조)은 아주 튼튼하다. 이빨은 음식을  뜯고 잘게 부수고 으깨기(기능)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뜯는 앞니, 부수고 으깨는 어금니의 배열(구조)을 갖추고 있다.



이번에는 체내에서 그 예를 살펴보자.

인체는 생존을 위해 공기 중의 산소를 흡입해서 체내의 세포에 전달해야만 한다. 또한 호흡과정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폐는 어떠한 구조를 갖추고 있을까?

산소의 흡입과 이산화 탄소의 배출을 체내의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폐에는 수많은 혈관 가지들이 고밀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공기를 위부로부터 폐로 운반하는 기도에는 폐근처에서 많은 가지로 갈라지고 작은 기낭(air sac)은 기도에서 뻗어 나온 수많은 가지들의 끝에 뭉쳐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기낭에 들어갈 수 있는 공기와 소혈관에 흐르는 혈액이 접하게 되는 총 표면적은 거의 테니스코트의 넓이와 비슷하다.




한양방 생리학의 핵심원리

한방의 핵심원리는 음양 소장 변화이고 양방생리학은 구조와 기능으로 수렴될 수 있다.

한의학은 음과 양의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변화하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양방은 인체의 각 기관은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1) 음양 소장 변화(陰陽消長變化): 한방생리학의 핵심 원리

한방에서 생리활동 과정은 결국 체내의 음양 소장 변화의 과정으로 본다. 

이것은 기운의 4가지 활동인 승(升), 강(降), 출(出), 입(入)의 운동에 따른 것이다. 즉 기운이 오르거나 내리며 생존 물질인 음식과 공기가 몸속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기혈(氣血), 장부(臟腑), 경락(經絡) 사이의 상호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화롭게 생리활동이 이루어질 때 음양 평형이 잘 이루어진 건강한 상태로 보는 것이다.


  2) 구조와 기능은 연관되어 있다: 양방생리학의 핵심 원리

자동차의 작동(기능)이 각 기관의 형태(구조)와 각 부위의 연계성이 있듯이 인체의 구조와 기능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구조와 기능이란 면에서 괄약근을 바라보면 흥미롭다. 괄약근은 소화기관에서 위장의 위문부, 소장과 대장의 연결부위, 쓸개 부위의 담즙관, 직장의 항문, 방광과 요도의 괄약근이 있다. 


위문부의 괄약근은 음식물 역류를 방지하고 항문괄약근은 대변 배출을 조절한다.

방광벽에는 평활근이 있는데 부교감신경 섬유가지들이 풍부하게 분지 하고 있다. 이것이 흥분하면 방광이 수축해서 요도가 열리게 되면 소변을 배설하게 된다.

방광에서 시작되는 요도부에서는 내요도괄약근과 외요도괄약근이라는 2개의 괄약근이 있어 소변의 흐름을 조절한다. 내요도괄약근(internal urethral sphincter)은 불수의적으로 조절되는데, 방광이 이완되면 방광의 요도구를 닫아버린다. 외요도괄약근(external urethral sphincter)소변이 요도를 따라 배설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은 골격근으로서 수의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방광이 수축되어 내요도괄약근이 열리더라도 소변을 참을 수 있는 것이다.

각종 괄약근의 구조는 각기 그에 따른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형태가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식도, 위장, 소장, 대장은 비어 있는 관구조이다. 이는 이 기관들이 음식물을 통과 및 소화시키기 용이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심장의 구조도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우심실 벽의 두께는 보통 0.3~0.5cm인데, 좌심실벽은 1.3~1.5cm로 더 두껍다. 좌심실근이 더 두꺼운 형태를 갖는 이유는 심장에서 혈액을 방출하는 힘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즉 심장에서 혈액의 방출력을 높이고자 하는 기능을 위한 구조가 심실벽의 두께의 차이로 나타나는 것이다.


아주 작은 세포단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세포막은 이중막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필요한 물질만 통과할 수 있도록 단일막이 아니라 이중막으로되어 있는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한방과 양방 생리학 비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