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그배나무 Mar 08. 2022

한방처방을 3차원 벡터(vector)로 나타낸다면?

소자강기탕의 각 약재가 갖는 효능을 벡터(vector)로 나타내자

한의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으로 수학이나 물리학의 벡터(vector) 개념을 적용해볼 수 있다.

한방 처방을 구성하는 각 약물(本草 본초)이 갖는 효능의 특성에 적용해보는 것이다. 즉 따뜻하게 해주는 성질인 '온열성'이 있는 부자(附子), 건강(乾薑)에서 효능의 방향이 '온열성(溫熱性)'이다. 그 크기는 건강보다 부자가 더 크다는 것이다. 건강과 인삼이 같이 사용된다고 했을 때 건강의 '온열성'과 인삼이 갖는 기운을 증강시켜주는 '보기성(補氣性)'이 합쳐져서 '보기성+온열성'의 효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효능의 방향과 크기를 갖는 각각의 약물이 만났을 때의 시너지 효과를 벡터라는 개념으로 치환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 관계성을 벡터(vector)를 통해 그래프 위에 올려놓으면 처방이 제시하는 치료의 방향과 크기를 쉽게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의학이 수학과 만났을 때 추상의 외피를 걷어내 보석 같은 콘텐츠를 내보일 수 있는 것이다.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은 몸이 약하고 차가운 허냉자(虛冷)의 신경성 기침에 자주 쓰이는 처방이다. 이 처방이 사용되는 증상은 목에 이물감을 느끼는 매핵기(梅核氣)와 소화기 증상을 수반하는 특징이 있다. 처방 구성을 보면 반하, 소자, 육계, 진피, 당귀, 전호, 후박, 감초로 되어 있다.


수액대사 중에 생기는 병리적인 체액을 담음(痰飮)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가래도 담음의 일종이다. 담음(痰飮) 제거에 반하곡,소자,진피,전호가 있다. 소화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후박, 진피가 있으며 온열을 위해 육계가 있다. 당귀의 자윤성(滋潤) 성질이 폐기운을 도와주는 윤폐(潤肺)작용과 장기능을 높여주는 정장(整腸) 작용을 통해 호흡기와 소화기 증상 해소에 기여한다.  자감초는 폐기운을 도와 기침을 멈추게 하는 윤폐지해(潤肺鎭咳)작용이 호흡기 증상을 없애는데 기여하고 있다. 병리(病理) 물질인 담음의 호흡기/소화기 유체(滯)에 따른 병리 상태를 정상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개별 약재들이 가지고 있는 효능의 방향과 크기를 벡터로 치환하여 3차원 그래프에 올려놓아 보자.

물론 약성을 수치적으로 정량화시키기 힘들기 때문에 대략적인 성향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에 유념해주기 바란다.





소자강기탕 효능의 벡터(vector)적 표현
벡터는 방향과 크기를 나타낸다. 이를 처방에 적용하면, 약성(藥性)의 방향과 약성의 크기에 해당된다.

개별 약재가 갖는 약성의 방향을 그래프에 나타내 보자.

X축은 온열력(溫熱力: 따듯하게 하는 힘) Y축은 거담력(祛痰力: 담을 제거하는 힘), Z축은 소도력(消導力: 소화를 시키는 힘)으로 설정한다. 약성의 크기는 +(약한 효능), ++(중간 정도), +++(강한 효능)로 나타내도록 하자.


다음으로 구성 약재의 약성의 크기와 방향을 vector(화살표)로 나타내어보자.

육계는 온열성을 갖기에 x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 후박과 당귀의 소도력이 결합되면 온열력과 소도력을 나타내는 XZ평면상으로 vector 가 옮겨진다. 즉 온열력과 소도력이라는 효능의 방향을 벡터의 합의 방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거담성을 지닌 반하곡, 소자, 진피, 전호의 약성이 합쳐지면 약성의 치료효과 방향은 거담성이 강화되므로 거담력과 소도력을 나타내는 vector 화살표가 YZ 축으로 크게 움직인다. 따라서 소자강기탕이 가진 온열성, 소도성 그리고 강력한 거담성을 의미하는 vector 화살표는 X축(온열력)에서 YZ(거담력/소도력)축으로 크게 이동한 vector를 볼 수 있게 된다.


아래의 그래프는 소자강기탕을 구성하는 개별 약물들의 효능의 방향과 크기를 벡터화시켜 그래프 위에 올려놓았다.


소자강기탕의 벡터 그래프




소자강기탕의 3차원 그래프



아래는 소자강기탕을 구성하는 개별 약물들의 효능의 방향과 크기가 합쳐져서 나오는 치료의 방향을 벡터로 나타낸 것이다. 그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동영상으로 구성해보았다.

소자강기탕을 벡터로 표현하는 과정(동영상)


매거진의 이전글 근육계: 한방과 양방의 소통창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