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로밋의 기술지능 Apr 04. 2022

소용돌이와 달팽이관의 비밀

모르면 공포, 알면 과학



일본엔 이토 준지라는 걸출한 공포만화 작가가 있죠.






그의 대표작 중엔 이런 징그러운 소용돌이를 소재로 한 만화도 있는데요..









만화에서 소용돌이 강박증에 걸린 여주의 엄마는 이렇게 몸속에 있는 소용돌이인 달팽이관도 혐 오하면 서스 스스로  제거하려고 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다들 읽어보셨나요? ㅎㅎ


괴담은 호불호가 갈려서 혐 주의를 붙였습니다.



----------------------------------------------



그런데, 오늘 하려는 얘기는 그게 아니고.. ^^



- 다들 아시다시피 


사람 몸속의 귀는 외이와 내이로 나뉘는데요..



- 겉으로 드러난 외이는 소리를 모으는 귓바퀴와 소리의 통로인 귓구멍과 고막으로 이루어지고 


- 속에 감추어진 내이는 세반 고리관과 달팽이관으로 이루어져 있죠..



- 세반 고리관은 몸의 균형을 잡는데 필요한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로


직동 한다는 사실.. 다들 아시죠?


- 그래서 어지럼증의 원인 중 하나로 세반 고리관의 고장을 의심하기도 하죠.


- 그리고 x, y, z 세 방향으로 직각으로 센서가 배치되어있죠. 그래서 3-half-ring-tube인 겁니다.


- 그런데 더 흥미로운 건 바로 달팽이관인데요.. 바로


내이 속 달팽이관이 음파에 데 한 푸리에 변환을 하면서 소리를 주파수별로 인식한다는 사실입니다. 









보라색이 내이 (세반 고리관 + 달팽이관)









달팽이관의 부위별 인지 주파수 대역



- 그림처럼 외부에서 들어온 음파가 달팽이관의 안쪽으로 전달될수록

관이 좁아지면서 센싱 해내는 공진주파수 대역이 달라지게 설계되는 것이죠.


- 그런데 20~20kHz의 넓은 가청주파수 대역을 모두 센싱 하려면 기다란 관이 필요한데

그 길이를 모두 귀에 격납하려면 장소가 좁아서 그래서 달팽이관처럼 소용돌이 모양을 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푸리에 변환으로 주파수 분리 센싱 하는 원리..


인체는 참으로 신비롭고

푸리에 변환은 더욱더 신비롭다는 ~


오늘의 교훈:
모르면 공포(무속, 샤머니즘)이고
알면 과학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아동잡지 특별부록의 추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