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라텔 Feb 13. 2023

본디(Bondee) 개인정보 유출 논란

들어가며


본디에 대한 글을 며칠 전에 작성했는데, 오늘자 뉴스와 SNS를 보니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은 심각한 문제이기도 하고, 본디 이용 유저이자 브런치에 글을 기고했던 입장에서 이번 문제를 가볍게 넘어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문제가 되는 부분들을 직접 짚어보고, 모두에게 알리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하여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다. 


이용약관


첫째로 논란이 되는 것은 사용자의 기기 데이터(카메라, 사진, 마이크, 연락처 등)에 접근하여 수집 및 이용할 수 있다는 조항이다. 


이 중 IMEI는 민감한 개인정보로 분류되는 사항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일반 앱의 접근 권한 대비 다소 과도한 것이 아니냐며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SNS 상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 (출처: 본디 웹사이트 개인정보처리방침)

다만 본디에서는 대한민국에 적용되는 추가 약관이 존재한다. 추가 약관과 본 방침의 본문 규정이 충돌되는 경우 추가 약관이 우선된다고 한다.

추가 약관 내용

또한 추가 약관에는 원칙적으로 귀하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들어있다. 하지만 본디의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행위는 충분히 유저가 우려를 제기할 수 있는 포인트로 작용한다. 

추가 약관 내용 2

젤리와 본디


개인정보 약관 이외에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메타드림의 본디가 중국 기업인 트루.리의 IP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본디의 웹사이트를 보면 지난해 5월 트루.리 지식 재산권 전량 인수를 결정하고 서비스 글로벌화 과정을 고쳐 본디를 탄생시켰다는 내용이 명확하게 기재되어있다. 

 

(출처: 본디 웹사이트)

사람들이 우려를 표하는 부분이 사실 바로 이 부분이다. 트루.리는 중국 기업이고 본디와 매우 유사한 트루.리의 메타버스 플랫폼 '젤리'가 각종 논란에 휩싸인 바 있기 때문이다. 트루.리의 메타버스 소셜 앱 젤리는 작년 초 중국에서 출시된 직후 중국 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작년 2월 11일 기준 앱스토어에서 1위 채팅 플랫폼 WeChat 을 제치고 다운로드 수 1위를 차지했을 정도다. 2019년 이후 WeChat을 제친 것은 젤리뿐이라고 한다. 예상치 못한 인기로 인한 트래픽 급증이 문제였을까? 이틀 뒤인 2월 13일 젤리는 내부 이슈(렉, 버그, 딜레이, 인터넷 연결 문제, 지속적인 깨짐현상, 로그인 불가 등)을 해결하겠다는 명목 하에 신규 사용자 진입을 중단하고 기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데 집중하기로 선택했다고 발표하고, 앱스토어에서 어플을 내리면서 신규 앱 다운로드를 전면 중단시켰다. 하지만 그 이후 젤리는 다시 돌아오지 않았고 서서히 발자취를 감췄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말 이해가 되지 않는다. WeChat을 제칠 정도의 엄청난 인기를 끌던 앱이 갑자기 사라진다니. 구글링을 아무리 해도 2월 14일 이후 젤리에 대한 흔적을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고, 중국의 위키피디아 격인 'Baidu 백과'에서 젤리에 대한 정보를 찾으려 해보았으나 거기에도 2월 14일 이후에는 아무런 정보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후 젤리의 행보와, 왜 사라졌는지에 대한 정보가 있으신 분은 공유 부탁드립니다.)

 

2월 14일 이후 사건 정보가 없었다. (출처: Baidu 백과)


그렇다면 앞서 언급한 젤리의 논란은 무엇일까? 첫번째는 개인정보 침해와 관련된 논란이다. 일부 사용자자들이 젤리를 다운로드 한 후 스팸 전화와 문자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젤리의 개인정보 침해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두번째는 저작권 침해 논란이다. 젤리의 아바타 아이템들이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다. 젤리의 개발팀은 이러한 의혹에 대해 루머라고 일관했으나 이후 서비스를 잠정 중단하고 서서히 발자취를 감춘 기업이기에 여러 의혹이 100% 해소되지는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중들이 본디에 관해서도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비이성적이라고 볼 수 없다. 젤리와 본디의 아주 높은 유사성도 본디가 사실은 중국 기업일수도 있다는 현재의 의혹을 제기하는 이유로 작용하고 있는 듯하다. 본디의 개성으로 알려진 '50인 친구 제한' 또한 젤리에서 볼 수 있던 기능이다.

메타드림의 Bondee와 매우 유사한 Tru.ly의 Zheli (출처: Zheli)


본디는 이미 지난 달에 해외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 1월 27일, 본디가 신용카드 정보를 유출시키며 승인되지 않은 은행 거래를 일으키는 스캠이라는 소문이 SNS를 떠들석하게 만들었다. 이에 메타드림은 성명문을 발표하며 해당 주장은 거짓이라고 밝힌 바 있다. 

(출처: NME)

끝맺으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현 상황을 정리하고 최대한 팩트 위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개인 정보 침해 문제는 심각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메타드림의 본디가 이와 관련없고 클린한 기업이라 하더라도, 최대한 많은 사람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어플을 계속해서 사용할 것인지 탈퇴하고 삭제할 것인지 스스로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논란을 접하자마자 글을 쓰게 되었는데, 판단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2023-02-16 업데이트)

https://twitter.com/bondee_kr/status/1625268790958374914

본 논란에 대해서 본디가 트위터에 성명문을 올렸습니다.




출처


https://daoinsights.com/works/chinas-viral-metaverse-social-app-zheli-on-a-roller-coaster/

https://technode.com/2022/02/14/chinas-viral-metaverse-social-app-zheli-halts-downloads/

https://v.daum.net/v/20230212063007125

https://baike.baidu.com/pic/%E5%95%AB%E5%96%B1/60094475?fr=lemma

https://www.yicaiglobal.com/news/china-first-metaverse-social-app-is-pulled-by-operator-days-after-topping-charts

매거진의 이전글 챗GPT 한달 사용 후기(Feat. 카카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