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한적용 Sep 09. 2021

주택, 아파트 세금? 여기 다 정리 되있네!!!

한방에 정리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백서


주택 세금? 도대체 얼마 내야되는 거야?



A : 부동산이 미쳤네... 우리도 빨리 투자해야하는 . 거아냐?

B : 요즘에 부동산 규제 강화됐다던데? 세금 많이 내야되는 거아냐?


부동산 규제가 강화됐다고 하는데, 정작 무슨 세금을 얼마나 내야하는 건지???


더구나 이제 공부를 시작한 부린이, 초보 투자자라면 어디서 무엇을 봐야할지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 caleb_woods, 출처 Unsplash




"저도 그랬습니다."


유튜브의 조각 조각 퍼즐 같은 정보들의 영상들을 찾아보면서, 누가 올린 블로그의 카더라를 읽으면서..

다 읽고 나서는, "이 사람이 전문가가 맞는거야?" 하고 의구심이 남아서 찝찝하고...

누가 다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어디 계산해주는 엑셀시트 계산기 없나 찾아 다니고요.


최근에 제가 포스팅한 '쉽게 계산하는 나의 대출한도 LTV-DTU-DSR 계산기'도 마땅히 쉽게 정리된 정보가 없어 직접 구글 시트로 만들어서 공유드리게 되었는데요. (필요하신 분들은 하기 링크 참고!)


하지만 세금 부분은 개개인의 경우의 수가 더 많아서 간단히 엑셀로 정리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xfile02/222468609038


이런 막막함을 제가 먼저 겪어본 일이라, 처음부터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래도 우선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주택에 관련된 세금 종류는 알고 가셔야 할 것 같아요. .

1) 취득세 : 취득할 때 내는 세금

2) 보유세(재산세 + 종부세) : 보유할 때는 내는 세금

3) 양도세 : 매도할 때 차익에 대한 세금


요즘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규제가 정말 무서운데요. '취득한 시점과 순서' 그리고 보유한 주택수, 권리 여부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 종류에 따라 해석이 다르게 때문에 간단하게 정의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엑셀시트로 간단하게 정리가 어려운거 같아요 ^^;;;)  



© walkingondream, 출처 Unsplash





특히, 제가 공부하고 각 세금 별로 정말 중요하다고 느낀 내용을 생각나는 대로 간단히 적어보면...




1) 취득세 :

 취득세는 건물이 아닌 권리(분양권, 입주권)를 매수하는 시점에 보유한 주택수에 따라 취득세를 부가합니다. 때문에 준공 등기 시점에 보유한 주택수와 관계 없이 권리 매수 시점 당시 보유 기준 취득세 중과가 될 수 있으니 꼭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보유세 :

재산세와 종부세의 부과 기준 시점을 잘 알고 있어야 신규 매수를 하더라도 절세를 할수 있습니다. 종부세의 경우 6월 1일이 부과 기준 시점인데, 매수 계획이 있다면, 해당 일 이후에 취득해야 첫 세금을 피해갈 수 있겠죠?!

부동산 투자 법인의 경우, 6월 1일이후 매수해서 1년미만 보유하다 6월 1일 이전에 매각하며 단기적인 트레이딩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3) 양도세 :

다주택자는 어떤 집을 먼저 파느냐에 따라서, 세금 차이가 크게 납니다. 일반적으로는 1주택 세금 감면 조건이기 때문에 가장 비싼 주택을 마지막에 팔아야 하구요. 일시적 2주택 등 모호한 법체계로 지역에 따라서 어느 걸 먼저 팔는게 유리한지 등도 있다고 합니다. (*최근 지방에 추가로 1억미만 1주택 후 3주택자의 일시적 2주택 회피 방안)


아직 이해도 안되고 어려운 부분이 많으실테고, 제가 전문가는 아니니 믿음을 갖기 찝찝도 하시지요?! 


© geralt, 출처 Pixabay




그래서!!! 


국세청과 행정안정부가 발행한 책자가 있어 가장 신뢰성 있어 이 책자를 공유 드립니다.

의외로 모르시는 분들이 많고, 찾기도 어려워하시더라구요. 


해당 기관에서 '주택과 세금'이라는 책을 발간하고 온라인상에서는 무료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본인이 처한 경우를 정리하고, 해당하는 내용을 찾아 보시면 훨씬 세금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거 같아요. 

국세청과 행정안정부에서 발간,  취득/보유/임대/양도/상소/증여 관련 모든 세금 정리하고 있습니다.



▼▽좌표를 공유 드립니다.▼▽

https://www.nts.go.kr/upload/ebook/210322/ecatalogm.html


주택을 사려는 분도 팔려는 분도 이제는 그냥 가만히 보유만 하는 분들도 세금을 이해하고 계셔야 세금 폭탄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조금 어렵지만 천천히 나한테 해당되는 부분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20210909 끄떡이




작가의 이전글 쉽게 계산하는 나의 대출한도 LTV-DTI-DSR계산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