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루 Jul 16. 2022

헛꽃피우다

매일 아침, 새가 지저귀는 소리에 잠을 깬다. 누군가는 행복한 일상이 아니냐고 반문할 테지만 그들이 먹이를 찾고 짝을 부르고 영역을 지키느라 내는 소리는 꽤 소란스럽다. 기분이 좋은 날이면 그들이 부르는 노래는 사랑의 세레나데처럼 들리지만, 컨디션이 그다지 좋지 않은 날에 들을라치면 어느 무명 로커의 샤우트처럼 시끄럽게 느껴진다. 그들은 한결같을 진데 내 심상에 따라 같은 소리도 다르게 들려오는 것이다.


간밤에는 바람이 많이 불었다. 여름 바람이라 을씨년스럽진 않았지만 산 아래에 있는 아파트의 발코니 문이 춤을 추듯 들썩거렸다. 문을 닫고 커튼까지 꼭꼭 여며보았지만 바깥의 기세는 고스란히 거실 안까지 침범해 들어온다.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힘센 장정도 옷깃을 여미게 하는 이 바람에 그네들은 어느 곳에서 어떤 모습으로 몸을 뉠지 갑자기 궁금해졌다. 자려고 침대에 누워서도 무슨 연유인지 도통 그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다시 일어나 스탠드를 켜고 살살 발코니로 걸어 나가 문을 열었다. 기다렸다는 듯이 달려드는 왜바람 소리만 온 사방에 가득하다.


여름은 꽃을 보러 가는 계절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꽃이 피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여름에 더 많은 꽃들이 핀다. 특히나 산수국은 여름 꽃의 절정이다.


산수국은 꽃 가장자리에 네잎클로버를 닮은 예닐곱 개의 꽃이 피는데 이 꽃은 진짜 꽃이 아니다. 벌과 나비를 유혹하는 가짜 꽃, 즉 헛꽃이다. 당연히 이 꽃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 그래서 불두화와 함께 절집에 많이 심어져 있는 꽃인데 그렇다고 산수국이 가짜 꽃만 피는 것은 아니다. 헛꽃에 둘러싸여 볼품없이 옹기종기 모여 피어있는 것이 진짜 꽃, 즉 참꽃이다. 꽃 하나하나가 암술과 수술, 꽃잎으로 이루어져 꽃으로서의 면모는 갖추고 있지만, 작고 보잘것없으니 벌과 나비는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이 당연할 터. 그래서 가장자리에 헛꽃을 만들어 내어 벌 나비를 유혹한다. 영리하다고 해야 할지, 영악하다고 해야 할지, 어쨌거나 오묘한 자연의 이치가 기발하다. 푸른 물이 뚝뚝 떨어질 것 같은 산수국은 처음에 푸른색에서 보라색, 자주색까지 다양한 색깔로 변신해서 더욱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한 달 가까이 글 한 줄 쓰지 못했다. 내가 가르치는 고등학생들의 기말 시험 준비로 바빴다 하더라도 문장 한 두 줄 쓸 시간이 없었을까. 예전에도 가끔 그럴 때가 있었다. 하얀색의 바탕화면에 깜빡이는 커서가 낯설게 보일 때 말이다. 가슴속에 담아두면 될 것을 굳이 조악한 단어로 문장을 만들고 문단을 쌓아, 글로 내어 놓을 필요가 뭐가 있나 회의감이 밀려올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멋부리듯 고뇌하며 피워내는 문장이 허영이다 싶어 백 스페이스를 사정없이 누르고 노트북을 덮게 된다.


십여 년 전 수필 문예지에 내가 쓴 <강 깊은 마을>이란 작품이 실렸을 때,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수필 강의를 하는 교수님의 전화를 받은 적이 있다. 등단작 외에 처음 발표한 수필이었는데, 아마도 내 수필로 수강자들과 수업을 할 모양이었다. 잘 읽었다는 인사와 함께 몇몇 문장들의 의미를 작가에게 듣고 싶어 전화를 하셨다는데 등에서 식은땀이 났다. 당황스러웠고 그저 내가 좋아 쓴 글 노트북에 모셔놓지 않고 발표를 하게 되면 더 이상 내 글이 아니라 남의 글이 되는 모양이라고 그때 생각했다. 그 뒤부터는 멋 모르고 내 멋에 취해 쓴 글을 내어 놓을 수가 없어서 다작을 하지 못하는 수필가가 되고 말았다. 아마도 그 전화를 받지 않았다면 헛꽃을 지금보다 더 많이 피워댔을지도 모를 일이다.


수국은 생존을 위해서 헛꽃을 피우고, 참꽃은 이 헛꽃의 노력으로 열매를 맺는다. 그러니 헛꽃이 꽃이 아니라고 감히 말할 수 없을 터이다. 그런데 나는 무엇을 얻기 위해 지금도 헛꽃을 피우고 있을까. 헛꽃을 이렇게 피우다 보면 내 안의 참꽃이 꽃망울을 터트리고 열매를 맺을 수 있기나 할까. 요즘 글 한 줄 맺기 위해 참글 인양 헛글을 수십 송이 피워내는 나의 욕망에 멀미하듯 속이 울렁거린다.


언제부터 우리 동네에 와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오늘, 올해 들어 첫 뻐꾸기 소리를 들었다.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것 같이 규칙적인 음보로 서글프게 우는 뻐꾸기 소리를 들을 때면 먼 전생의 기억 같은 것이 가슴에서 파도치곤 했다. 그런데 오늘은 새끼를 남의 둥지에 낳아 놓고 가짜로 슬퍼하는 헛울음 같이 들린다.


나는 오늘 또 한 송이의  헛꽃을 피웠다.

매거진의 이전글 음식은 기억이다(Feat. 수제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