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루 Sep 03. 2022

30년 전 아버지가 보낸 크리스마스 카드를 발견했다

9월의 크리스마스

아이들의 십중팔구, 아니 십중구점구는 울 때 "엄마!"하고 울지만, 그 아인 "아빠!"하면서 우는 것이었다. 요즘 언어로 이야기하자면 '오호! 신박한데? 내가 왜 진작 저 생각을 못했지?'였다. 왜냐고? 난 아빠가 좋았으니까. 반대로 말하면 엄마가 싫었으니까. 나중에 알게 된 일이지만 아빠를 찾으며 울던 그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엄마란 존재가 없었다. 아빠밖에 없었으니까 "아빠"하고 우는 것이었다.


어쨌거나 울 때마다 "엄마아아"하고 우는 것이 나는 자존심이 상했다. 꼬마의 냉철한 이성은 '자! 지금부터 너는 울 때마다 "아빠아"하고 우는 거야.'라고 세뇌를 시켰지만, 정작 울 때는 냉철한 이성이 발휘되지 않고 멍청한 본성이 또 엄마를 찾으며 우는 것이었다. 그럴 때마다 분했다. 그리곤 다음엔 꼭 아빠를 부르며 울어야지 다짐했다.


이쯤에서, 엄마가 왜 싫었나 생각해 본다. 별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었고 아빠를 좋아하는 아이였으니까 반대로 엄마를 싫어한다고 생각했을까? 아버지는 영문학, 나는 국문학을 전공한 것만 보더라도 아빠와 나는 쿵짝이 잘 맞는 부녀였고, 하나에서 열까지 엄마는 내가 관심 있는 것엔 무덤덤했다. 나아가 내가 좋아하는 것은 다 쓸데없다고 생각하는 분이셨다. 예를 들면 어릴 때부터 옷을 만들어 입히고 분신처럼 애지중지 하던 바비인형을 중학교에 입학했다는 이유로 사촌동생에게 몰래 줘 버린다거나, 음악을 좋아하는 나를 위해 아버지가 사다주신 내 보물 소니 카세트를 누군가에게 들려 보내는 식이었다. 그리고 어릴 때부터 엄마는 내가 원하는 것은 대체적으로 들어주지 않았다. 물론 그 당시 분했던 마음에 기억을 왜곡하고, 조금 더 나에게 유리하게 기억을 조작했을지도 모르겠다.


초등학교 1학년 때쯤이었나. 여름 무렵에 하늘에 구멍이라도 난 듯 큰 비가 내렸다. 오전반 수업을 마치고 나왔는데 운동장에 물이 들어와 찰박거렸다. 큰 비에 교실 입구마다 아이들을 데리러 온 엄마들로 가득했다. 아무리 고개를 빼고 찾아도 우리 엄마는 없었다. 이 큰 비를 뚫고 혼자 어떻게 가나 싶어 울음이 터진 것은 당연했다. 막 바깥으로 나가려는데 저 멀리 운동장 반대편 끝에 아빠가 우산을 받쳐 들고 서 있었다. 온통 엄마들 투성이니 민망했던 듯 그리 멀리 떨어져 계셨다. 그때의 안도감은 지금도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 날듯이 뛰어가 아빠 품에 안겼다. 아버지는 늘 나의 멘털이 나갈 타이밍에 내 눈앞에 계셨다. 나 또한 어떤 상황에서도 아빠를 잘 찾는 아이였다. 엄마는 늘 나의 주위엔 없었고 계모가 아닐까 어린 마음에 심각하게 고민했던 적도 있었다.


30년 전 아버지가 보내주신 크리스마스 카드를 발견했다


갑자기 시간이 생겨서 해묵은 숙제인 벽장을 정리한 것이 사달이었다. 중학교 때부터 모은 친구들의 편지함을 발견했다. 하나하나 읽어보며 추억에 젖는데 맨 밑에 깔려있던 30여 년 전 아버지께서 보내신 편지 한 통과 크리스마스 카드를 발견했다. 아버지가 외국에서 보낸 거였다. 다 없어진 줄 알았는데 그 오랜 세월과 수많은 이사에도 살아남았던 것이다. 낡은 봉투에 쓰인 돌아가신 아버지의 글씨를 보는 찰나의 순간에, 조금의 주저함도 없이 눈물이 뚝뚝 떨어진다. 시간이 갈수록 눈물을 주체할 수 없었고, 슬픔은 더 명료해졌다.




'외로울 땐 경쾌한 클래식을 들을 것, 가슴이 미어질 것처럼 아플 땐 비트가 강한 록음악을, 들뜬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싶으면 그윽한 첼로 협주곡을 들어라.' 어느 상식적인 사람이 쓴 책에 보니 이렇게 쓰여 있었다.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의 상식에도 크게 어긋나지 않음으로써 일리가 있긴 한데, 상식이란 게 때론 독성을 띄고 있어서 우리의 사고를 마비시키기도 한다. 또 끈끈이처럼 정수박이에 달라붙고, 수입 건전지처럼 강하고 오래가기 마련이다. 상식의 또 다른 면일 것이다.


그런데 내 생각은 좀 다르다. 슬픔은 더한 슬픔으로, 외로움에는 더한 외로움으로 맞서야 한다. 피한다고 잊어지나? 고개 돌린다고 안 보이나? 끝까지 가본 사람은 안다. 지독한 슬픔에 몸을 완전히 내맡긴 순간 머리가 하얗게 되는 경험을. 외로움을 왜 달래야 하며, 가슴이 아프면 아픈 채로 영화의 주인공이 되어보고, 또 들뜬 마음을 굳이 가라앉힐 필요가 무에 있단 말인가.


세상 모든 힘든 일들의 해결은 극에 있다. 슬픔도 아픔도 결국 인수분해를 해 보면 극과 끝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그 속에 문이 있고, 그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모든 것에서 무연해지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그러니 뛸 듯이 기쁠 때는 내일 지구에 종말이 닥칠 것처럼 온종일 떠 있자. 음악도 비트가 아주 강한 걸로 선곡하고 영화는 아주 경쾌한 액션이나 스타일리시한 세미 액션으로 골라야 제격이다. 반대로 슬프고 외로울 땐 죽을 만큼 슬픈 영화와 음악을 골라 크리넥스 상자 오른쪽에 휴지통 왼쪽에 끼고 울고 나면, 다시 살아갈 힘을 얻게 된다.


뜻하지 않은 9월의 크리스마스. 아빠, 나도 메리 크리스마스!

매거진의 이전글 엘리베이터 안에서 섬을 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