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들레 Mar 28. 2022

누가 누구를 상처 주나

2014.9. 계간 <니> 36호 '나만 아프다?'

이번 글은 참 쓰기가 힘들다. 꼭 이 글 때문은 아니지만, 방학 중 신청한 교육과정을 들으면서 내 고질병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최대한 미루다가 포기하려는 생각을 먼저 하는 병, 의기소침해지고 침체돼 꼼짝도 하지 않는 병, 그러다가 난 지금도 이렇게 시간을 흘려보내고 있구나 후회하는 병 그리고 무엇보다 지금까지의 내가 창피해 꽁꽁 숨어버리고 싶은 병까지. 꼭 해야 하는 과제의 마감을 앞두면 꼭 나타나는 패턴. 한껏 땅속에 있는 듯 있고 나면 봄에 언 땅 녹듯이 스르르 그래도 살아봐야지 하는 마음이 생긴다. 걱정했던 일도 의외로 순조롭게 풀리고 말이다. 나의 이런 상태를 상처와 연관 짓기가 힘들었다. 



듣는 교육과정 중에 고3 때 담임선생님이 강의하는 부분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흔하지 않은 이름, 내가 졸업한 후 들어온 선생님의 행보로 보아 그분이 분명했다. 그 사실을 알게 됐을 때 반갑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난감했다. 인사를 할 것인가 모른 척할 것인가, 나를 기억하실까, 왜 네가 여기 있냐고 하실까 그런 생각 끝에 그분을 만나는 걸 피하고 싶어졌다. 강의가 있기 전 주말부터 난 아픈 사람 모드가 되어 아무것도 하기 싫고 먹기도 싫었다. 그리곤 강의가 있는 날은 아이가 아프다는 핑계로 결석을 했다. 


내가 정치외교학과를 가고 싶다 했을 때 그분은 거기 나와서 나중에 청와대 출입기자가 되라고 하셨다. 지금은 이해되지만 그 당시에는 무슨 그런 말이 있나 싶었다. 난 외교에 마음이 있어 가는데 웬 청와대? 웬 기자? 저분은 나에게 관심도 없고 잘 알지도 못하니 저런 소리를 하시지 싶었다. 나중에 보니 덕담에 가까웠고 그러나 나랑은 거리가 멀었다. 정외과를 가겠다고 하고선 그런 말도 못 알아들었다는 게 부끄러웠고 그에 상응하는 무언가가 되지 못했고, 또 못 할 거라는 생각에 대면이 겁났다. 


만날 기회를 놓치고 나니 20년 가까이 지났는데 어떻게 변하셨을까 궁금하기도 하고 그렇게 시간이 지났으니 날 기억 못 하실 거란 생각도 들었다. 또 만났다면 지금도 연락하는 고3 친구들에게 좋은 이야깃거리였겠다 싶다. 하지만 난 그렇게 하기로 마음을 먹을 수 없었다. 


대학 선택 이후의 내 삶은 좋다고 말할 수 없게 미진한 느낌이다가, 누가 물어보면 말하기 곤란하고, 사실대로 말하면 듣는 사람이 힘들어지고, 그러다 그냥 생각하기 싫은 것이 돼버렸다. 내 속에 있는 상처라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에 들키기 싫지만 그냥 스쳐서 들리는 말에도 그걸 생각하게 되고 그러면서 가까스로 앉은 딱지를 또 떼어 피가 난다. 


그런 나에게 가장 상처가 되는 말은, 내 상처를 들쑤시는 말은 “나이 값도 못 한다”는 말이다. 내 속에는 대학교 1학년 1학기 새내기 같음이 있기에, 언제까지나 졸업을 미루고 학교 밖으로 나가기를 두려워하는 모습이 있었기에 그 얘기를 들은 맥락은 생각도 않고 내 생각의 중심은 그때로 돌아간다. 엄마 말대로 교대를 갔으면 대학생활 적응을 더 잘했을까? 싫었어도 선생님은 됐겠지란 생각도 들어 후회하는 감정, 난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고 내가 지금 이렇게 나이 먹은 게 뭐 어떠냐고 무작정 억울해지는 감정. 내 동생은 저렇게 어른이 됐는데 난 이게 뭔가 싶은 숨고 싶은 감정 등등 마음은 복잡해진다. 머리는 멈추고 그런데 입은 저대로 움직인다. 그러는 너는 뭐가 그리 잘났냐며 니가 나한테 그런 소리 할 자격 없다고 하며 이성을 잃는다. 동생도 뭐 좀 달라진 줄 알았는데 어쩜 그리 똑같냐며 학을 떼고 한동안 서로 연락을 않게 된다. 




내 상처를 건드렸다 생각이 들면 어떻게든 나도 그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싶다. 하지만 내가 한 말들이 그 사람한테는 하나도 들어 먹히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는 더 화가 나서 미친다. 하지만 그게 지나가면 내가 그렇게 미쳐 있었다는 점이, 내가 성숙하지 못하다는 점이 그 나이 값에 속하는 거구나 싶어 웅크려 들게 된다. 그러면 과거의 상처에 현재의 것까지 합쳐져 더 커지고 난 너무나도 부끄럽게 된다. 그 사실은 내 동생도 익히 알고 있는 거고 나를 조금만 주의 깊게 보는 사람들이라면 다 알아차리게 될 거라는 생각이 든다. 그 사실을 아직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참 부끄럽다. 


지금 생각해보면 사람마다 다 다른 속도로 나이를 먹어가는 것 같다. 분명한 건 지금의 나는 10년 전의 나보다 많은 것을 경험했고 많은 것을 깨달았다. 동생의 기대치와는 다르게 나이를 먹었다고 해서 내가 나이를 잘못 먹은 게 아닐 텐데 그 기대치를 만족시키지 못했다는 점이 나를 작아지게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나 자신이 내가 지내온 삶의 시간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당시에 내가 한 행동이 최선이었나 생각하면 아니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그런 말에 더 흔들린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나를 상처 주는 건 나인 거다. 다른 사람이 던진 말의 씨앗이 나한테 뿌리를 내리게 하기 때문이다. 나에게 그 씨앗들이 잘 자랄 토양이 풍부하기 때문이기도 할 거다. 그동안 나는 나에게 오는 칭찬의 말은 내 것이 아닌 것처럼, 내가 정말 그런가, 내 정말 모습을 알면 그런 소리 못 할 거야라고, 튕겨내고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말, 시선, 태도는 다 나를 향한 것으로 봤다. 그래서 내 안에는 부정적인 내 모습이 잔뜩 깔려 있다. 그러니 처음에는 내가 그런 사람이 아니라고 부정했지만, 어느 순간 점점, 그래도 그런 사람일지도 모른다는 작은 의심이 시작되어 걷잡을 수 없어진다. 그러면 나는 작은 씨앗도 튕겨낼 힘을 잃고 움츠러든다.   


나를 그렇게 휘젓고 지나가는 계기는 누군가의 말이기도 하지만 그 말들이 모여 이뤄진 내 생각이기도 하다. 어느 순간 ‘넌 도대체 그동안 뭐를 하고 산 거니?’란 삐딱한 생각에 걸려들면 그동안 내가 소중하게 가꿔온 것들이 다 보잘것 없어지고 앞으로 남은 삶도 그럴 거란 생각의 늪에 빠진다. 삶에 대한 높은 기대치는 과연 돌아가신 엄마의, 언니를 대단하게 생각하던 동생만의 것인가? 잘은 모르지만 막연하게 이상적으로 가지고 있던 그 무엇에 내가 살아온 바가 맞지 않는다고 계속 쪼아대는 건 나 아닐까?    


분명한 건 내가 상처라고 여기는 것에 집착하지 않게 될 때 내 주변 사람들에 상처를 주지 않으리라는 것. 그 상처가 건드려졌다고 거기에만 집중하면 내 안으로만 침잠해 다른 사람과 제대로 관계 맺을 수 없다. 쓸데없는 말이 나가고 필요한 말도 안 좋게 나갈 뿐만 아니라 내 관심이 필요한 아이에게도 날이 서고 내팽겨 두게 된다. 내 상처라 여기는 부분이 아주 없어지는 걸 바라는 게 아니라 흔적으로 남기를 기대한다. 나에겐 분명 의미 있는 시간이었고 그로 인해 나는 커졌다. 나이테처럼 혹은 자국처럼 기억은 하지만 다 아물어서 더 이상 도지지는 않도록 내 마음에 건강함이 깃들기를 바란다.      



정은선_알트루사를 만나고, 사람들을 만나고 나서부터 나만 보다가 주변 사람, 이웃, 지역에 관심을 갖게 됐다. 남편과 6살 세훈이와 살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집안의 원칙·규칙 만들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