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민유 Feb 08. 2022

미운 오리 새끼였던 나

미스코리아였던 우리 엄마의 미모는 모든 사람을 경탄하게 만들었다.

초등학교 때 엄마가 학교에 오시면 선생님들과 친구들이 교무실로 엄마를 보러 갔다.

“우와 너네 어머니 진짜 예쁘시다!!”

아마도 그 이후엔 ‘그런데 너는 왜 그래? 하나도 안 닮았어’라는 말을 하고 싶었겠지. 난 아빠를 닮아 순한 눈에 착하게 생긴 아이였다.


우리 집안은 외모지상주의였고 내 밑에 큰 남동생, 여동생, 막내 남동생이 있는데 그중에서 큰 남동생과 여동생의 외모가 뛰어났다.

당연히 엄마는 그 둘을 편애했다.

사춘기 시절부터 난 우울해지고 끊임없이 여동생과 비교를 했던 것 같다. 그러면서 자존감은 바닥으로 내려갔고 내 스스로 미운 오리 새끼라고 생각했다.


하물며 가족들이 외식을 할 때도 못생긴 내가 부끄러울까 봐 안 따라 나가기도 했다. 사춘기여서 그랬던 것도 있지만 내 안에 수치심이 뿌리 깊게 자리 잡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여동생과 한 방을 썼는데 다툼이 생길 때마다 엄마는 항상 여동생 편을 들었다.

난 억울하고 화가 났지만 그것에 대해 항의를 해본 적이 없다. 그냥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우리 집에서는 미모가 권력이었기 때문이다.


연예인 같이 조막만 한 얼굴에 너무나 슬림하고 날씬하고 게다가 통통 튀는 성격까지 지닌 여동생은 항상 좋다는 남자가 주위에 넘쳐났다.

게다가 패션 감각까지 있어서 너무나 멋스럽게 옷도 잘 입었다. 나에게 여동생은 감히 내가 범접할 수 없는 존재였다.


난 그런 동생이 질투도 났지만 자랑스럽기도 해서 동생 사진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며 자랑을 했었다. 나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다.


하루는 백화점에서 동생과 같이 지나가다가 학부형을 만났다.

우리 딸의 학부형인 그 사람은 평소에 날 너무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그날 동생을 보자 진심으로 놀라며

“ 어머나 언니 동생분이 너무 예뻐요. 친자매 맞아요? 그런데 하나도 안 닮았네요...”.

 “ 네 우리 형제들은 넷이 다 다르게 생겼어요”라고 대답하며 마음속에선 씁쓸함을 느꼈었다.


어디를 가나 동생과 같이 다니면 동생은 주인공이고 인기가 많고 난 존재감이 없어졌다.

정상체중인데도 불구하고 내가 너무 뚱뚱하게 느껴졌고 너무 못생긴 것처럼 느껴졌다.

정말 동생을 좋아하기도 했지만 만나기만 하면 그런 열등감을 느껴야 하니....


그런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했는지도 모르겠다.

40대 이후에 상담 공부를 하며 나의 상처를 치유하기 시작했다. 오랜 시간 상담도 받았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한다는 것은 너무나 힘든 과정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기적인 딸이라는 죄책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