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든 작든 지역 문화 자원과 예술을 드러내는 것은 지역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작은 미술관·박물관을 지을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다. 지역 문화재를 중앙기관에서 관리하는 것도 국립 박물관에 일괄 소장하는 것도 문재다. 지역에 전시할 공간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가 발생한다. 아쉽고 안타깝다. 문화재는 현장에 있을 때 가치를 발휘한다.
“지역 문화 자원과 예술을 드러내는 것은 지역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미술관도 그렇다. 지역 출신 작가들은 모두 수도권으로 몰려간다. 홍보와 판로 등 모든 것이 대도시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지역에는 변변한 미술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작가도 시설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수도권에 집중된 작가들도 전시와 판로, 기록의 보존 관리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많다. 그런 어려움을 지역에서 풀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지역 회귀를 추진하는 것이다.
지역에 대규모 시설은 필요 없다 할 지라도. 그 지역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는 작은 미술관, 박물관이 필요하다. 그 지역 작가가 중심이 되고 기부나 특성에 맞추어 잘 관리하고 운영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필요하면 좋은 작품을 대여하거나 구매해서 전시하는 방안을 통해 명소화를 만들어 나가면 된다. 지역 시설은 지역 예술가들을 아카이브하고 홍보하고 작품을 판매하게 함으로써 가치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도립미술관. 박물관도 중요하지만, 시군 단위 지자체에서 특성에 맞는 시설을 건립하고 지역 예술인들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지역에 전시공간이 없어 문화재가 타 지역으로 이전되고 예술인들이 보관시설이 없어 자료를 없애고, 사라지게 해서는 안된다. 사전에 그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행정 역할 중 하나다. 작은 미술관, 박물관은 그 역할 중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당장 작품을 보관할 제대로 된 저장고라도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어느 작가 이야기가 허무하게 메아리처럼 울린다.
* 대문사진: 춘천 요선동 갤러리 요 전시풍경
* 20200522 블로그 글 수정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