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흐르는물 Mar 22. 2022

지역에도 전용 공연장이 필요하다.

제대로된 공연을 보고싶다.

    

지역 중소도시에도 전용 공연장, 전시장이 필요하다.

혹 간엔 지역에 왜 공연장이 필요하냐고 묻기도 한다. 이런 경우 인구와 경제 논리로만 바라본다. 그렇다면 되묻고 싶다. 왜 공연장, 전시관은 수도권, 대도시에만 집중되어야 하는가? 그들은 사람이 많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소규모 도시에는 대부분 제대로 된 공연장이 없다. 문화예술회관이 주된 공연장 역할을 한다. 이 시설은 다양한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설계되어있다. 그런 곳에서는 제대로 된 공연을 즐기기 어렵다. 무대장치부터 좌석까지 대부분 행사 위주 환경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지역에도 전문 공연을 할 수 있는 소규모 공연장 건립이 시급하다. 상설화된 공연을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도 공연장이 있어야 한다. 대도시 못지않은 공연을 지역에서 보고 들을 수 있다면 굳이 서울로 수도권으로 가겠는가.     


인구와 경제 논리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부문에서도 공유와 향유라는 차원에서 전용 공연장 건립이 시급하다. 문화시설만 지역에 분산되어 있어도 인구이동 변화가 느껴질 것이다. 수도권 집중은 인구에서 시작하여 모든 부문을 장악하고 있다. 그만큼 집중된 에너지가 한 곳에 쏠림으로써 고른 정책은 불가능하다.      


지역분권이라는 것은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삶의 질에 하나인 문화마저도 집중된 상황에 어느 것이 제대로 나누어질 수 있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대도시 기준이 아닌, 지역실정을 반영한 기준을 마련하고 거기에 맞는 문화 예술정책이 필요하다. 대도시 기준에 맞추어 지역 문화예술을 평가할 것 아니라 지역 특성에 맞추어 평가하고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현재의 인구 기준이나 공연장 좌석 등 만 가지고 평가하고 연구하는 정책으로는 지역 문화예술을 살리는 것은 요원한 일이 될 것이다.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 시대 환경이 변화된 만큼 정책도 지역에서 수립하고 정부에서 보완해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 20210629 글 수정 옮김

매거진의 이전글 문화공연도 패키지 상품으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