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ying Johan Mar 31. 2017

한국 영화 투자의 문제점

예술경영 콘서트-9

이번 회에서는 한국 영화산업의 구조와 투자 시스템 구조를 살펴보려 한다. 조금 어려운 내용일 수 있으나 '아는 만큼 보인다'고 영화산업을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니 집중하기 바란다. 

◆티켓은 1만원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화산업은 문화콘텐츠 산업 중에서도 투자와 회수 시스템이 가장 잘 정착된 분야로 꼽힌다. 이러한 투자구조는 산업 외부자본이 유입되기 전과 후로 나눌 수 있으며, 외부 자본 역시 대기업 자본과 금융자본의 진입 전과 후로 나눌 수 있다. 

 한국형 투자 시스템에서는 CJ, 롯데, 쇼박스 등 3강이 '전략적 투자자(Strategic Investor)'로서 메인 투자를 하면서 투자 유치를 전담한다. 이들 회사가 감독, 배우 섭외 및 비용 관리 등 제작 전반의 기본적 판을 짜고 제작비 중 20~30%의 메인 투자를 하면, 창투사의 콘텐츠 투자조합 및 펀드 7~8개가 모여 부분 투자를 하는 형태다. 이때 지방자치단체나 기타 금융기관, 공공기관들도 함께 부분 투자에 참여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인 영화표 값은 9000~1만원이다. 그중 부가세 10%는 국가가 가져가며, 영화발전기금으로 3%를 가져간다. 그러면 13%를 떼고 남은 87% 중 35%는 극장이 가져가며, 배급사가 10%, 나머지를 제공사와 제작사가 나눠 가진다. 

 그렇다면 여기서 궁금증 한 가지. 영화감독의 몫은 어떻게 될까. 정답은 '개런티(보증금)'만 받는다는 것이다. 영화감독은 개런티만 받을 뿐이고 수익은 모두 영화 제작사가 가져가는 구조다. 예컨대 봉준호 감독이 블록버스터를 만들어 돈을 많이 벌었지만 이것은 인기를 얻어 추후 개런티가 높아진 것이지, 이미 만든 블록버스터 영화 덕분에 돈을 많이 벌어 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영화를 제작하는 돈은 어디에서 왔으며, 투자는 어떤 형식으로 이뤄질까. 흔히 학계에서는 국내 영화투자의 역사를 5단계로 나눠서 설명을 한다. 

◆영화투자의 역사 

 1990년대 이전은 '토착자본 주도기'로 본다. 이 시기에는 외국 영화 수입사들이 일정 편수의 한국 영화에 투자해야만 외화를 수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외화 수입배급업자들이 주요 투자자로 활동해왔다. 이들의 투자가 한국 영화산업을 토착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됐다. 

 1990년대 중·후반에 들어 비디오 붐이 일면서 비디오테이프를 생산·판매하던 삼성, 대우, SK 등 대기업들이 영화산업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를 '대기업 자본 진출기'라고 부른다. 대기업들은 비디오 붐이 케이블TV로 이어지길 기대하며 영화산업에 투자했지만, 시장이 확대되지 못하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고, 결국 IMF 사태가 터지면서 영화시장에서 철수했다. 

 그 뒤 2000년대 초반까지 인터넷 산업 중심의 벤처 붐이 일면서 국내외 금융회사들이 영화산업에 지분투자를 하기 시작한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진입기가 펼쳐졌다. 창업투자회사(창투사)들이 영화에 관심을 보인건 영화산업이 일반 벤처기업 투자와 달리 투자자금을 빨리 회수할 수 있는 틈새시장 성격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영화투자 시장에 자금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투자-공급 과잉'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실미도(2003년), 태극기 휘날리며(2004년) 등 1000만 관객 영화가 탄생하는 성과도 거뒀지만 대폭 늘어난 총 제작비 증가를 따라갈 수 없어 2008년 한국영화 평균 투자수익률은 -43.5%까지 하락했다. 

◆투자 문제점 및 시사점 

 투자 없이는 성장도 없다. 영화투자액이 영화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를 강화하기 위해선 극장 유통수익 및 부가수익 분배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이미 기술했지만 영화 한 편에 대한 극장 마진이 40%에 이를 정도로 높기 때문에 제작사와 배급사가 투자를 위한 수익 창출을 버거워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2012년 13.3%, 2013년 15.2%를 기록하는 등 크게 개선되는 듯한 투자수익률은 2014년 0.3%를 기록하는 데 이어 지난해에는 -7.6%로 다시 크게 악화되는 중이다. 

 정부와 지자체도 건강한 여가 활동 보장이란 측면에서 영화산업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더 강화할 수 있겠다. 예컨대 대기업 투자 배급사의 자본 집중 심화를 완화하기 위해 독립배급 사용 전용관을 제공할 수도 있고, '열정페이'로 대변되는 영화 제작인력의 처우 개선을 위해 임금을 선순위로 보장하는 펀드를 조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영화라는 것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문화적 파급력이 강하다는 측면을 고려해서, 공공부문의 정책 목표를 고민하면서 동시에 한국영화산업의 투자구조 문제를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