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경영 콘서트- 11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영화관이 요즘엔 풍경이 바뀌었다. 팝콘과 콜라까지 갖춰, 혼자만의 여유를 즐기는 '혼족'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영화표 한 장만을 예매한 '나홀로 관객'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전체 고객의 10%를 넘었다. 아예 상영관을 개조해 1인 관객만을 위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극장들도 생겨났다.
혼자 밥 먹는 '혼밥족', 혼자 노는 '혼놀족'이란 말이 유행일 정도로 '혼자 있기'를 즐기는 문화가 사회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혼자 사는 1인 가구도 30년 전인 1985년에는 전체 가구의 7%가 되질 않았지만 이후 꾸준히 늘더니 지난해에는 27%로 4배 가까이 늘었다. 20년 뒤에는 1인 가구가 34.3%로 세 가구 가운데 한 가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상황에서 결혼도 영향을 안 받을 리가 없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혼인·이혼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혼인은 30만2800여 건으로, 전년보다 0.9%(2700여 건) 줄어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粗)혼인율은 5.9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결혼하는 나이도 많이 올라갔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2.6세, 여자 30.0세로 여자 평균 초혼 연령이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통계청은 혼인기에 접어든 20대 후반~30대 초반 남녀 인구가 지난해보다 20만명 정도 줄기도 했지만, 최근 경기 부진으로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사례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부각되는 결혼의 기회비용
젊은 커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다면 이는 경제학적으로 당사자들이 결혼에 따른 편익이 그 비용보다 작다고 알게 모르게 판단한 결과다. 사실 경기가 어려워지고 '헬조선'과 '수저계급론'으로 대변되는 사회가 말해주듯이 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비싼 결혼식 비용과 집값을 말하지 않더라도, 결혼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것들의 가치인 '기회비용'이 점점 부각되는 것이다. 더 많은 자율과 자유를 원하는 젊은 세대에게 가사나 출산 및 육아로 포기해야 하는 것들은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특히 일하는 여성의 경우 결혼 후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에 대한 불안도 결혼 자체를 꺼리게 하는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중 최하위권이다. 우리 주위에 일하면서 육아까지 하는 '워킹맘'들이 얼마나 힘들어 하는지 보면 답이 나오리라.
◆"결혼도 경제적인 선택"
노벨상 수상자이자 시카고학파의 대부(代父)인 게리 베커 교수는 '결혼이론(A theory of marriage)'을 통해 "결혼은 결혼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만족이 혼자 살아갈 때 얻는 만족보다 클 것이라는 기대가 전제됐을 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곧 결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만족이 혼자 살 때 얻을 수 있는 만족보다 클 것이라는 기대가 생길 때 결혼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가 말한 결혼 생활에서 얻는 효용이란 정신적인 안정감, 2인 이상 가구에 돌아가는 각종 제도적 혜택, 나를 부양해줄 수 있는 배우자의 존재 등이 있다. 반면 자기계발, 자유, 적은 경제적 부담에 더 큰 효용을 느끼는 사람은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생활에 만족하고 산다(베커 교수는 결혼, 범죄 등 인간의 모든 행위가 효용을 극대화하려는 합리적 선택의 결과라는 점을 논증함으로써 경제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내용을 담아 '인간행동에 대한 경제적 분석'이라는 논문을 1992년 발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래서 그가 말한 최고의 배우자는 여러 배우자 후보 중에서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람이다. 교육 수준, 종교, 사회계층, 연령 등 공통점이 많은 배우자는 서로의 특성을 강화하게 돼 결혼의 이익을 높인다고 그는 밝혔다.
국가적으로 결혼 성사 비율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하게는 우선 싱글일 때보다 2인 이상 가구에 돌아가는 각종 제도적 혜택을 장려하면 될 것이다. 예전에 한 대선후보가 내세웠던 '결혼만 하면 무조건 1억원씩 무상지급' 공약이 지금 일각에서 진지하게 논의되는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결혼이 개인적 선택의 문제라고 해도 최소한 저출산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라도 앞으로 결혼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