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On paper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yingN Mar 12. 2017

애도하는 사람 (2008, 텐도 아라타)

죽음과 맞닿은 매 순간의 삶

원문 @ Wonder Log


올해 초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상을 치르고 명절이 지나 '일상'으로 돌아왔다. 아버지의 죽음은 소설 속 이야기 같다가, 예기치 못한 순간 현실이 되었다.  돌이켜보면 아버지가 없는 '일상'이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내가 어디에 있든 태어나는 순간부터 지금까지 늘 곁에 계셨다. 그리고 나에게 하나뿐인 아버지라는 존재는 더 이상 이 세상에 없다.  


스스로를 위로해야 했다. 감성을 자극하면 무너질 것 같아 깊이 느끼고 생각해야 하는 건 무엇이든 피했다. 이성을 앞세우는 자기계발서나 딱딱한 교양서적을 집어 들었다. 시선을 돌리고 있다보면 시간이 흐르고 아픔이 덜해질 줄 알았다. 완벽한 착각이었다. 나의 우주가 무너졌는데, 몇 백 광년 떨어진 그 우주와 별의 이야기가, 효과적인 공부법 따위가 눈에 들어올리 없었다. 어느 날은 무심한 얼굴로 후라이팬에 계란을 깨뜨리곤 한참을 주저앉아 울었다. 지난 해 말 계란이 귀해졌다는 말에 '내 몫까지 두 개 먹으라'며 손수 후라이를 만들어주셨던 아버지가 생각났다. 예고 없이 찾아오는 그리움의 순간은 힘겹게 붙잡고 있던 나를 무자비하게 흔들었다.  


누군가 죽음에 대해, 아니 죽음 후 남은 이들이 겪는 상실의 아픔을 이야기해주길 바랬다. 절박한 마음으로 찾은 책이 텐도 아라타의 소설 <애도하는 사람>이다. 거창한 수식어를 뒤로하고, 슬플 애(哀), 슬플 도(悼), 슬픔과 죽음이 겹을 이룬 단어만으로도 읽어야할 이유는 충분했다.  


<애도하는 사람>의 주인공 사카쓰키 시즈토는 일본 각지를 돌며 생전 일면식도 없었던 이들을 애도한다. 신문 귀퉁이에 한 줄, 혹은 그마저도 남기지 못한 죽음이 머문 장소로 찾아가 한 손은 하늘로, 한 손은 땅을 향했다 가슴에 모으며 그들을 기억하겠노라 기도하는 식이다.  


정원에 살던 작은 새, 할머니, 소아병동의 아이들, 가까운 친구에 이르기까지 죽음을 가까이하며 그 속에 매몰되지 않기 위해 시작되었을 애도의 길에는 숱한 오해가 따른다. 알지도 못하면서 무슨 자격으로, 위선일 뿐이라는 깊은 의심을 마주하기도 한다. 종교적인 이유라고 적당히 에두를 법한데, 매번 쉬이 이해하지 못할 순수한 목적을 설명한다. 그의 이야기가 본인이 아닌, 어머니 준코와 여행 중 만난 두 타인의 시선으로 전해지는 탓에 진의는 마지막까지 짐작만 할 뿐이다.  


텐도 아라타는 죽음의 경중을 따지는 행위는 거꾸로 살아있는 사람들의 목숨의 무게를 재단하는 것과 같다며, 차별 없이 죽음을 대하는 이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그의 바람대로 시즈토는 어떠한 죽음을 맞이했든, 단 세 가지 질문으로 죽은 이를 기억한다. 


 "고인은 사는 동안 누구를 사랑하고,

 누구에게 사랑받고, 

어떤 일로 사람들에게 감사를 받았나요?"  


책장을 넘기며 미처 묻지 못한 질문과 듣지 못한 답을 준코의 독백 속에서 상상했다. 눈물을 훔치며 쉬기를 몇 번 거듭하며 죽음과 탄생이 결합된 결말에 이르렀다.  


더 이상 아버지의 목소리를 들을 수도, 손 한 번 잡아볼 수 없다는 소설 밖 현실에는 변함이 없다. 젊고 건강했던 모습보다 아프고 약해진 모습의 기억이 짙고 그마저도 희미해져 안타까움이 커진다. 종종은 일상이라는 핑계로 잊고 지낸다는 죄책감에 빠지기도 한다.  


책 한 권으로 인생이 송두리째 바뀌는 극적인 행운은 찾아오지 않았다. 그러나 시즈토의 애도와 준코의 병, 마키노와 유키오의 변화로 죽음과 삶의 아이러니를 자연스럽게 마음에 새겼다.  


우리는 매 순간 죽고 산다. 시작점에서 끝을 향해 달려가는 레이스가 끝나는 지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누군가, 어느 순간과의 접점에서 생사를 오간다. 우리는 살아있지만 잊혀지기도 하고, 죽었지만 기억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삶이란 오롯이 내 것이기도, 완전히 타인의 것이기도 하다.  


죽은 이에 대한 시즈토의 질문은 살아있는 나를 향했다. 나는 누구를 사랑하고, 누구로부터 사랑받고 싶으며, 누구에게 감사를 받고 싶은가. 책을 덮으며 죽는 순간 숫자가, 유령이 되어버리고, 잊혀지는 게 아니라, 누군가의 기억에서 살아갈 수 있는 사람, 그리고 타인을 흔한 다수가 아니라 유일한 하나로 기억해줄 수 있는 사람. 그런 삶으로 매 순간 채워 나가기로 다짐한다.  


그리고 아버지, 

"당신은…… 나를 사랑해준 사람입니다."

"당신은…… 내가 깊이 감사하는 사람입니다."

"당신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사랑할 사람입니다." 


*** 

제목: 애도하는 사람 (悼む人, 2008)

지은이: 텐도 아라타 (天童荒太)

옮긴이: 권남희

출판: 문학동네 (2010)

***   

- 본문 이미지 출처: 문학동네 

- 본 포스팅에 사용된 이미지와 일부 문장은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 있습니다. 단, 본문의 내용은 작성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Copyright © FlyingN@ A Wonder Log · 마음대로 날아간 그 발자취 

(http://wonderxlog.flyingn.net


본 블로그의 모든 글에 대한 저작권은 © FlyingN (Flyingneko, 나는고양이)에 있습니다. 

블로그 내 모든 문구 및 내용, 이미지의 무단 도용 및 복제 사용을 금지합니다.  


공감, 댓글, 추천, 공유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구독하시면 더욱 편리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고, 무분별한 비방은 임의 삭제하겠습니다)  


FlyingN.net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는 내가 죽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